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어휘 선택과 표현의 효과 -상하위어를 중심으로-

        신명선 ( Myeong Seon Sin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0

        본고는 구체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 표현자가 상하위어 중 상위어나 하위어를 선택하는 인지적 처리 기제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 표현의 효과를 고찰한 논문이다. 본고에서는 특히 상하위어가 갖는 기본적 특성에 주목하여 인지적 처리 기제와 표현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 상하위어 중 상위어나 하위어를 선택하는 과정은 ‘표현 층위’와 ‘표현 방향’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표현자의 의도를 실현하는 과정이다. 상위어를 선택할수록 개념의 추상성이 높아진다. 상하위어 선택에 따른 표현의 효과는 표현 층위와 표현 방향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표현 층위 선택과 관련하여서는, 상위어를 선택하면 범주의 공통적 특성이 강조되고 하위어를 선택하면 범주 구성원의 변별적 특성이 강조됨을 논하였다. 표현 방향 선택과 관련해서는, 특정 범주 선택의 의도가 부각됨으로써 표현자의 관점이나 태도가 표명된다는 점과 타범주와의 비교에 의해 대조 효과가 유발됨을 기술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a expresser`s cognitive data-processing mechanism which deals with hyponymy in communication. And this describes a expressive`s effect caused by hyponymy`s usage. While describing, this paper specially focus on a hyponymy`s peculiarity. A expresser`s vocabulary selective mechanism in communication is related to ``expressive level`` and ``expressive direction``. Hyperonym`s selection raise the abstraction. The other side, hyponym`s selection raise the concreteness. A expressive`s effect caused by hyponymy`s usage can be described in ``expressive level`` and ``expressive direction``. The former have the effect of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 of category(a common feature or a point of difference). The latter have the effect emphasizing comparison hyperonym with hyponym and a expressive`s viewpoi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수행평가 정책의 특징과 발전 방향 연구 :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행 양상의 원인에 대한 정책적 반추를 중심으로

        신명선 ( Myeong Seon Sin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본고는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행 양상에서 드러난 여러 문제점에 대한 원인을 정책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수행평가 정책의 공시적·통시적 고찰을 바탕으로, 정책 개발의 논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바람직한 발전 방향 탐색의 통로를 찾고자 했다. 우리나라 수행평가 정책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정책 도입의 초기에 정책 수단의 실현 가능성이 충분히 점검되지 못했으며, 정책 집행 단계에서 정책의 환경 변화에 보다 주도면밀하게 대처하지 못했다. 둘째, 수행평가 실행은 전통적인 학교 구조의 전면적인 변화를 요구하는 개혁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경우 교육 제도나 교육과정 등에 대한 개혁 없이 교사의 책무성에 기반하여 단순히 평가 체제만을 바꾸려 했다. 양적 평가 및 객관적 평가를 중시하는 교육 전통, 성취 기준의 수행 기준화의 어려움, 교사의 평가 전문성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불신, 학교의 행정적 여건, 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불철저한 이해, 입시 준비로서의 학교 운영의 실체 등과 같은 학교 내외적인 변수들을 교육 정책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우리나라에서 수행평가가 제대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근본적 변화를 담보하는 지원과 교육 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cause of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failure. The cause of policy failure is as follows. First, policy`s realization possibility was not examined completely at the early stage of policy. And that policy have been practiced not voluntarily but defensively at the execution stage of policy. Secondly, that policy has been practiced depended on a teacher`s sense of responsibility without the amendment of the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It was not considered that the education tradition in Korean society such as the emphasis of quantitative and objective assessment, the disbelief of teacher`s assessment ability, the abstract features of curriculum as a performance standards and the school as a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CSAT arrangement and so on will be influence on the policy. We have prepared the support system of teacher for a righteous practice of performance assessment policy. And It`s also necessary to improve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

        독서감상문의 장르적 특수성과 쓰기 교육

        신명선 ( Sin Myeong-seon )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8 텍스트언어학 Vol.44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genre specificity of reading report, and analyzes the students’ reading report by focusing on the cohesive marker, and then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reading report education. Reading report is different from other texts in that the world of books and the world of readers interchange. In order to write a good reading report, you need to be able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worlds and integrate them naturally. After analyzing students’ reading report, students were very immature in the ways and strategies of connecting the two worlds. It is difficult to write a good reading report only by explicit and formal presentation of the text structure such as ‘contents of book + appreciation’. It is required to raise aware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genre and its ability to grasp the rhetorical situation. And you have to develop your thinking ability to integrate the world of the book with the world of the reader.

      • KCI등재
      • KCI등재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에 대한 고찰

        신명선 ( Myeong Seon Sin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1 No.-

        본고는 2007년 2월 28일 고시된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의 특징을 밝히고, 문법 교육 내용의 본질 구현을 위한 관련 과제를 탐색하였다. 개정 문법 교육과정은 7차 문법 교육과정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점에서 차별 화된다. 첫째는 ``탐구`` 범주 설정을 통해 ``탐구 과정`` 그 자체를 교육 내용에 반영 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맥락`` 범주의 설정을 통해 ``학습자``와 ``사회``를 교육 내용에 응축시키려 노력했다는 점이다. 셋째는 탐구의 대상을 구체적인 ``텍스트``로 명시했다는 점이다. 개정 문법 교육과정의 이와 같은 의도는 그 방향의 타당성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의도가 구체화되지 못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실제 교육 내용은 7차 교육 내용과 크게 차별화되지 않는다. 개정 문법 교육과정의 의도가 실질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문법 탐구 과정``에 대한 천착을 통해 ``문법 탐구 경험``만이 갖는 특질을 밝힐 필요가 있다. 또한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하나의 문법 범주를 탐구해 가는 학습 주체의 경험을 분석하여, 맥락과 학습 주체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 내용을 실질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텍스트를 중심으로 문법을 탐구해가는 교수·학습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텍스트 중심`` 문법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make the characteristic of grammar curriculum(is announced in 2007) clear and to bring up a research task that embodies the essence of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The characteristic of 2007 revised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is as follows. First, ``a exploration process`` was regarded as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establishment of ``exploration`` category. Second, the grammar curriculum reflected ``learner`` and ``contexts`` onto educational contents. Third, the grammar curriculum elucidated the subject of exploration as ``text``. By the way, that`s intention of grammar curriculum was not materialized in grammar educational contents. We must have attack the characteristic of grammar exploration process at the grass-roots for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we must have analyzed the experience of learner who explore grammar in context. Then, we can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reflected ``learner`` and ``contexts``. Lastly, it is necessary to present ``text-centered educational contents`` concre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