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손상 환자의 재활단계 변비발생과 영향요인

        신동순(Shin, Dongsoon),김성림(Kim, Sunglim),장인숙(Jang, Insook),김영지(Kim, YoungJi),한주환(Han, Joohwan),김은영(Kim, Eunyoung),도나령(Do, Naryeong),송영신(Song, Youngshin) 기본간호학회 2017 기본간호학회지 Vol.2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first onset of constipation during the rehabilitation stage and risk factors for constipa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vascular disease (CVD).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retrospective study were 214 CVD patients admitted to rehabilitation units. First onset of constip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constipation such as dependency level were recorded for 14 days during the rehabilitation stage. Survival analysis with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Results: Age, patients’severity, types of diet, and dependency level were different between constipation and non-constipation groups. In survival analysis, 99% of participants developed constipation within 14 days after admission to rehabilitation units. Median constipation occurrence time was 7.4 days. Patients who were immobile and had tube feedings were more likely to develop constipation 4.07 times (95% CI: 1.018~16.301, p=.047) and 2.09 times (95% CI: 1.001~4.377, p=.050) respectively compared to patients who were independent and had a regular diet, respectively. Conclusion: Most CVD patients experienced constipation within 2 weeks after entering the rehabilitation stage. Constipation was linked to types of diet and dependency level. These factors associated with constip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caring for patients in rehabilitation.

      • KCI등재

        영화 <청년경찰> 속 ‘조선족’과 ‘대림동’의 문제적 재현

        신동순 ( Shin Dongsoon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20 中國學論叢 Vol.0 No.69

        This paper tries to analyze how hate speech that causes discomfort and alienation in the “Midnight Runners” film, and the point and meaning of hate expression in the ‘Korean-Chinese’ and ‘Daerim-dong’ spaces that the film reproduces. The movie is starring police college students Ki-joon and Hee-yeol, and the film follows their gaze and it recreates hate speech ‘Korean-Chinese’. Reproduces the ‘Korean-Chinese’ aversion through Yoon-jung’s abduction and ova over-injections, organ trafficking, group assault and chase, gynecological ova extraction and mass fighting. It also recreates Daerim-dong as a place where criminals who should be deported live, not as a space in Seoul. It strengthens heterogeneity and causes fear. Surrounded by the Chinatown in Daelim-dong, ‘Daerim Station Exit 12’ is reproduced as a crime-maximizing space. With Dorim-ro in front of Exit 12 of Daelim Station in between, it is divided into ‘Korean-Chinese’ streets, which are spaces of day and night, creating boundaries and producing a sense of disgust. This paper examined how the point of ‘Korean-Chinese’ crime and the ‘Korean-Chinese’ space in Daerim-dong are distorted and compartmentalized at which poi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 KCI등재

        리안(李安)영화와 ‘여성’ 재현의 정치

        신동순 ( Shin Dongso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51 No.-

        논문은 리안(李安)영화가 진행하는 여성 재현(응시)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리안의 문화적 정체성에 주목하며, 때로는 주류가 아닌 주변인으로 위축되고 억눌려졌던 자신의 불안한 위치와 정체성을 여성과 동일시했다고 하는 감독의 영화의식 속에서 ‘여성’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논문은 서양사회에서 대만인 디아스포라 동양 남성 감독 리안이 영화에서 ‘여성’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 동양 남성으로서 가부장제 남성 의식을 내면화하고 있는 그가 ‘여성’에 대해 어떤 응시를 진행하는지 주변인(이방인)으로서 중심을 어떻게 해체하고 있는지 그의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리안 영화는 여성들이 국가권력에 의해 구국의식 안으로 포획되고 있는 지점을 연출하고 있다. 국가는 그녀들에게 구국이라는 대의의 책무와 책임을 강제하고, 이런 국가에 그녀들은 때로 균열을 진행한다. 식민 조국의 해방에 적극 동참하지만 그 속에서 국가가 보여주는 기만성을 폭로하고, 또 생명을 조작하며 안보 강화만을 주장하는 국가의식의 허위성을 폭로한다. 또 그의 영화는 동ㆍ서양의 부권(父權)과 부권(夫權)을 해체하기도 한다. 감독은 중국 여성의 신체가 식민자 앞에서 발가벗겨져 전시되고 구국이라는 이름으로 강제되는지 주목한다. 그녀들의 신체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억눌려 이상 징후를 보이거나 아들을 낳는 생산의 도구로 강요되고, 중화 전통 문화 아래 감정의 표출을 억압당하며 절제된 감정의 신체로 표상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how Ang Lee depicts Asian and Western women in his films. We focus on two parts of his consciousness First, Ang Lee does not consider himself a feminist, he understands the world in terms of women who play societal roles. Second, Ang Lee's films reflect his identity in a juxtaposition model, in which he is a member of mainstream American society and also holds an onlooker's viewpoint at the same time. He depicts women, who are often marginalized or considered the minority, and their feminist ideals, as means that break down the authority of the father and the man, the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male dominant nationalism. Chinese women in movies divide apart traditional Chinese patriarchal ideology and male-dominated anti-Japanese sentiments. Also, the Western women in his films reveal the non-stereotypical appearance of Western society in the 1970s and 1980s, with daily tension, anxiety, abdominal pain and anger, silence and anxiety about homosexual husbands, and excessive obsession. The director’s portrayal of women not only separates the male-centered and Western-centered discourse, but also reveals a self-division of internalized masculine patriarchal Asian thought consciousness.

      • KCI등재

        대구, 마산, 광주, 제주지역 학교급식의 나트륨 및 칼륨 함량 분석

        임현숙(Hyeon-Sook Lim),고양숙(Yang Sook Ko),신동순(Dongsoon Shin),허영란(Young-Ran Heo),정혜정(Hae-Jung Chung),채인숙(In-Sook Chae),김화영(Hwa Young Kim),김미혜(Mi-Hye Kim),임동길(Dong-Gil Leem),이연경(Yeon-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8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점심으로 제공되는 학교급식의 나트륨과 칼륨 함량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되었다. 대구, 마산, 광주 및 제주에 소재한 초등학교 12개교와 중학교 12개교에서 대략 열흘 동안 제공된 872 종의 음식을 수거하였으며, 이들 음식을 4종의 주식류, 15종의 부식류 및 5종의 후식류로 구분하였다. 각 음식의 나트륨과 칼륨 함량을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였고 Na/K 비율을 산출하였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된 총 24종의 음식군 중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음료류, 과일류, 우유/유제품류 및 밥류의 네 음식군만 나트륨의 위해 기준이 낮은 “저(low) 나트륨(<120 mg/100 g)” 범위에 속하였고, 초등학교의 경우는 장아찌류, 소스류, 볶음류, 김치류 및 생채류 등 5종의 음식군과 중학교의 경우는 이들 외에 찜류와 구이류를 포함한 7종의 음식군이 “고(high) 나트륨(≥500mg/100 g)” 범위에 해당하였으며, 나머지 음식군은 “중 나트륨(120∼500 mg/100 g)” 범위에 들었다. “중 나트륨” 범위에 속한 음식군 중에서도 주식류의 일품요리류, 죽류, 특히 습식음식인 면류와 후식류에서 떡류와 빵/스낵류는 나트륨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이러한 결과, 점심 한 끼로 제공된 음식의 나트륨 함량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각 974 mg과 1,466 mg으로 해당 연령대의 충분섭취량의 1/3 분량에 비해 각각 225%와 293%로 높았다. 이와 함께 동일한 음식의 나트륨 함량이 학교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밝힌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식에서 조정 가능한 나트륨 함량이 통제되지 않았음을 시사해주었다. 나트륨 위해기준이 높은 음식군을 비롯해 각 음식의 레시피에 나트륨을 함유하는 소금이나 간장 등 장류나 소스류의 적정 사용량을 명시하고 이의 사용을 상시 모니터링하거나, 저염 음식을 개발하거나, 나트륨 함량이 높은 가공식품의 사용을 줄이거나 또는 나트륨을 제거하거나, 후식류의 경우는 학교에서 조리하지 않으므로 나트륨 함량이 낮은 음식을 선택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트륨 저감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한편 학교급식에서 제공된 음식군의 칼륨 함량은 나트륨에 비해 큰 변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식류에서는 밥류의 칼륨 함량은 낮은 편이었고 일품요리류, 죽류 및 면류는 높았는바, 이들 음식군의 나트륨 함량이 높은 점을 상쇄하였다. 그러나 부식류 중에서 습식음식군의 칼륨 함량이 건식음식군에 비해 절반 정도로 낮은 편이었다. 후식류에서는 과일류가 높았던 반면에 떡류가 낮은 편이어서 떡류는 나트륨 함량은 높고 칼륨 함량은 낮은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 점심 한 끼로 제공된 음식의 칼륨 함량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각 378 mg과 528mg으로 해당 연령대의 충분섭취량의 1/3에 비해 각각 35% 와 45%로 낮았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식에서 칼륨 함량을 높이려는 노력이 없었음을 알려준다. 따라서 국류, 찌개류 및 탕/전골류 등 습식음식에 칼륨 함량이 높은 재료를 많이 사용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며 또한 후식으로 떡류 사용을 억제하고 칼륨 함량이 높은 과일류나 우유/유제품류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 각 음식군의 Na/K 비율은 칼륨 함량보다는 나트륨 함량에 의해 결정되는 양상이었다. 즉 주식류에서는 일품요리류와 죽류, 특히 면류가 밥류에 비해 두 배 정도 높았고, 부식류 중에서는 장아찌류, 소스류, 볶음류 등이 높은 반면에 샐러드류와 생채류가 낮았으며, 후식류에서는 떡류와 빵/스낵류가 높았고 음료류, 과일류 및 우유/유제품류가 낮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교급식의 Na/K 비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나트륨 함량을 줄이는 동시에 칼륨 함량을 높이려는 시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마산, 광주와 제주 등 네 지역 사이 에 몇몇 음식의 나트륨이나 칼륨 함량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나트륨의 경우 특히 초등학교에서 광주지역 학교의 여러 음식군이 타 지역에 비해 대체로 높았으며, 칼륨의 경우는 초등학교나 중학교 모두에서 대구나 마산지역 학교의 몇몇 음식군이 광주나 제주지역보다 높은 편이었다. 한편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이에 나트륨이나 칼륨 함량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은 편이었다. 다만 나트륨의 경우 초등학교의 국류와 찜류가 중학교보다 높았고, 반대로 중학교의 전류는 초등학교보다 높았다. 칼륨의 경우는 숙채류와 찌개류에서만 초등학교가 중학교보다 높았다. 그러나 지역 간에 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이에 나트륨이나 칼륨 함량에 차이를 보인 것은 동일한 음식에서 나타난 나트륨이나 칼륨 함량의 차이에 비해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다. 나트륨 섭취량은 짠맛에 대한 민감성과 선호도에 영향을 받으며, 나트륨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식습관은 어린시절에 형성되어 나이가 들수록 강화된다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에서의 학교급식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식사에 큰 영향을 끼칠뿐만 아니라 영양교육에 있어서도 중요한 기회이다. 본 연구결과가 학교급식의 나트륨 저감화와 칼륨의 충분 섭취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odium (Na) and potassium (K) content of school meals served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in Korea. In this study, 872 kinds of school meal dishes were collected from twelve elementary and twelve junior high schools located in four different cities in Korea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The dish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main categories; staple dish, subsidiary dish, and dessert. Each main category was further sub-classified into 4 kinds of staple dishes, 15 kinds of subsidiary dishes, and 5 kinds of dessert dishes. The Na and K content of dishes were then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The Na content of individual dishe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ranging from 9 to 2,717 mg/100 g. Among the staple dishes, cooked rice contained relatively less Na, but other staple dishes such as a la carte, noodle, and rice-gruel contained considerably high amounts of Na. Regarding the subsidiary dishes, the Na content of salad was low, but those of Jangachi, stir-fried dishes, and kimchi were considerably high. Among the dessert dishes, beverages, fruit, and milk/dairy products contained relatively low amount of Na, while rice cakes and baked goods, and snacks contained noticeably high amounts of Na. Unlike the Na content, the K content between the dishes did not show much variability. Cooked rice and rice cakes contained relatively low amounts of K, similar to other dishes, and ranged from 104 to 220 mg/100 g. The Na/K ratio was especially high in rice cakes and Jangachi, while of the ratio in beverages, milk/dairy products, salad, and fruit were pretty low. The total content of Na and K and the Na/K ratio of elementary school meals were 974 mg, 378 mg and 2.7, respectively, and those in junior high school meals was 1,466 mg, 528 mg and 3.0. The results show that most school meals provide a significant amount of Na but significantly small amounts of K, as suggested by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