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실리콘고무 실관 격막에 의한 아황산 가스의 투과에 관한 연구

        송주영,김주봉,김동윤 한국화학공학회 198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2 No.5

        본 논문은 실리콘고무 실관 고분자 격막을 이용하여 N₂-SO₂가스 혼합계중의 SO₂가스 분리를 위한 순수 및 혼합 가스의 투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특히 관의 입구 가스 유속과 압력 강하에 대한 상관 관계의 이론식과 실관 외부 즉 shell측의 길이와 cut변화에 대한 SO₂가스 농도 구배 관계식을 이용하여 실험결과와 비교 검토한 결과 SO₂가스의 투과도는 분압의 변화에 대단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실리콘 고무는 SO₂가스에 대해 선택성을 가지고 N₂와 SO₂가스의 혼합계에서는 cut를 parameter로한 모세관의 길이에 대한 shell측의 SO₂가스 농도 구배가 이론식과 잘 일치하였다. This work is a study on the permeation of sulfur dioxide gas from nitrogen-sulfur dioxide gas mixture through the silicone rubber hollow fiber membrane. Especially,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xperimental data with the theoretical model about the relation between axial pressure loss and the inlet flow rate and on the composition profiles of sulfur dioxide gas in the shell side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hollow fiber under parameter cut change.

      • KCI등재

        효율적 군용 드론 작전 운영을 위한 Drone Force Deployment Optimization 알고리즘

        송주영,장현덕,정종문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1

        One of the major advancement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use of Internet of Drones (IoD), which combines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drone technology. IoD technology is especially important for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operating C4ISR operations in actual battlefields supporting various combat situ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s of limited battery capacity of drones and lack of budgeting criteria for military drone transcription, introduction, and operation. If the mission area is defined and corresponding multi-drone hovering check points and mission completion time limits are set, then an energy and time co-optimized scheduling and operation control scheme is needed. Because such a scheme does not exist, in this paper, a Drone Force Deployment Optimization (DFDO) scheme is proposed to help schedule multi-drone operation scheduling and networked based remote multi-drone control. 본 논문에서는 4차산업의 혁명의 핵심 기술 중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과 드론(Drone)을 접목시킨 드론 인터넷(Internet of Drones)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IoD 기술은 실제 전장에서 실제 전장과 C4ISR 작전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영하는데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드론의 제한된 배터리 용량과 군의 드론 전사 육성 및 도입, 운용에 따른 예산 책정 기준 부재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목표가 있다. 이에 따라 드론 투입 작전 상황 발생 시 임무 지역 (Mission area)이 정해지고 그에 따른 임무 지점 (Hovering point) 과 임무 완료 제한시간이 정해질 경우, 최소한 몇 대의 작전 드론을 투입하여야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작전 운용이 가능한지작전 투입 드론의 대수를 최적화해주는 DFDO(Drone Force Deployment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챔퍼 매칭(Chamfer Matching) 알고리즘을 활용한 모의치료 영상과 포탈(Portal) 영상의 비교, 분석

        송주영,나병식,정웅기,안성자,남택근,서태석 한국의학물리학회 2003 의학물리 Vol.14 No.3

        방사선 치료시 치료계획과 실제 치료가 정확히 일치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의치료 영상과 포탈 영상과의 비교, 분석은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모의치료 영상과 포탈 영상의 비교 및 오차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영상정합 방법의 하나인 챔퍼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한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정확성과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가상의 포탈 영상을 사용하여 분석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분석한 결과, 이동에서 평균 0.64 mm, 회전에서 평균 0.32 $^{\circ}$, 스케일에서 평균 1.61% 이내의 오차를 보여 그 정확성을 입증하였고, 인체 모사 팬텀을 대상으로 한 실제 포탈 영상에서도 이동에서 평균 1.55 mm, 회전에서 평균 0.80 $^{\circ}$, 스케일에서 1.72% 이내의 오차를 보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모의치료 영상과 포탈 영상의 비교, 분석에 있어 챔퍼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개발한 분석 프로그램은 필름을 기반으로 한 모의치료 영상과 포탈 영상의 비교와 오차의 정량적 분석에 효율적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 portal image and a simulation image is a very important process in radiotherapy for verifying the accuracy of an actual treatment field. In this study, we applied a chamfer-matching algorithm to compare a portal image with a simulation image and verified the accuracy of the algorithm to analyze the field matching error in the portal image. We also developed an analysis program that could analyze the two images more effectively with a chamfer-matching method and demonstrated its efficacy through a feasibility study. With virtual portal images,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algorithm were acceptable considering the average error of shift (0.64 mm), rotation (0.32$^{\circ}$), and scale (1.61%). When the portal images of a head and neck phantom were analyzed, the accuracy and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analysis program was proven considering the acceptable average error of shift (1.55 mm), rotation (0.80$^{\circ}$), and scale (1.72%). We verified the applicability of a chamfer-matching algorithm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 portal image with a simulation image. The analysis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 practical tool to calculate the quantitative error of the treatment field in a portal image.

      • KCI등재

        위상기반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시 오차 분석 프로그램 개발

        송주영,나병식,정웅기,안성자,남택근,윤미선,Song, Ju-Young,Nah, Byung-Sik,Chung, Woong-Ki,Ahn, Sung-Ja,Nam, Taek-Keun,Yoon, Mi-Sun 한국의학물리학회 2006 의학물리 Vol.17 No.3

        방사선 치료 시 환자 호흡에 의한 치료부위의 움직임 영향을 줄이기 위해 환자 복부에 배치한 적외선 반사체 표식자의 호흡에 따른 주기적 움직임을 분석하여 안정된 일정 영역에서만 방사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방법이 임상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호흡연동 방사선치료에서 표식자의 운동 주기 중 안정된 특정 위상영역을 기반으로 방사선 조사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은 진폭변위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보다 안정적으로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치료 시 방사선 조사 구간 내 표식자 진폭의 변화가 발생해도 설정 위상 기반영역에만 포함되면 방사선이 조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실제 호흡량의 변위에 따른 내부 장기의 움직임 정도를 정확히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위상기반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표식자 진폭의 변화와 이로 인한 치료 부위의 움직임에 의한 오차를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확성과 임상 적용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모의치료 시 설정된 방사선 조사 구간 내 가상의 진폭 변위를 주어 작성한 치료 기록 파일과 팬텀을 사용하여 임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폭 변위의 크기와 불규칙한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환경 설정 후 방사선을 조사하고 생성된 치료 기록 파일들을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을 때, 정확한 오차 구간의 판별과 오차 계산이 수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위상기반 호흡연동 방사선 치료 환자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설정된 허용기준을 벗어나는 지점의 오차 영역 인식과 오차 계산이 정확히 수행됨을 확인하여, 향후 위상기반 호흡연동 방사선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선 조사 구간 내 환자 호흡량의 변화로 인한 치료 표적의 변위 오차 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which Irradiates only in the stable respiratory period with analyzing the periodic motion of a reflective marker on the patient's abdomen has been applied to the precise radiation treat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organ motion induced by the respiration. This respiratory gating system establishes irradiation region using the amplitude-based or phase-based method. Although phase-based method Is preferred because of the stability in the real treatment conditions, it has some limits to explain the exact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r motion and organ motion. Even when the variation of amplitude which can introduce target motion considered as an error is produced, the phase-based method has the possibility to irradiate including the error positions. In this study, the error analysis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tumor position's variation correlated with the variation of marker's amplitude which can be occurred during a phase-based respiratory sating treatment. The analysis program was tested with a virtual treatment record file and with a record file using moving phantom which were modified considering the irregular amplitude's variation simulating the real clinical situations. In both cases, accurate discrimination of error points and error calculation were produced. When the treatment record files of a real patient were analyzed with the program, the accurate recognition and calculation of the error points were also verified. The analysis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a useful tool for the analysis of errors due to the irregular variation of patients' respiration during the phase-base 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reatment.

      • KCI등재

        다엽콜리메터와 삼차원 방사선치료계획장치를 이용한 가상 선량보상체 설계 알고리듬

        송주영,이병용,최태진 한국의학물리학회 2001 의학물리 Vol.12 No.2

        물리적인 형태의 선량 보상체 제작 없이 삼차원 방사선치료계획장치 및 다엽콜리메터를 이용한 방사선의 세기변조를 통해 선량보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가상 선량보상체 설계 알고리듬을 고안하고 그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선량보상체 설계를 위한 모델로서 신체표면의 굴곡을 묘사할 수 있는 스티로폼 제작물과 소형 물팬텀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삼차원 방사선치료계획장치에 입력하고, 주어진 조건하에서의 예상 선량분포를 구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가상 선량보상체 구현에 필요한 플루언스 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다엽콜리메터의 구동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다엽콜리메타 구동 알고리듬은 Ma의 이론을 근거로 설계하였으며, 모든 프로그램은 IDL5.4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설계된 가상 선량보상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선량보상체를 적용하였을 때와 적용하지 않았을 경우 각각에 대해 팬텀에 장착한 필름에 방사선을 조사한 후 그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가상 선량보상체를 적용하였을 경우 적용하지 않았을 시 보였던 조직결손에 의한 높은 선량분포 영역이 제거되어 목적하고자 한 균일한 선량분포를 구현할 수 있음을 보였다. The virtual compensator which are realized using a multileaf collimator(MLC) and three-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Planning(3D RTP) system was designed. And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virtual compensator was done to verify that it can do the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compensator properly. As a model for the design of compensator, styrofoam phantom and mini water phantom were prepared to simulate the missing tissue area and the calculated dose distribution was produced through the 3D RTP system. The fluence maps which are basic materials for the design of virtual compensator were produced based on the dose distribution and the MLC leaf sequence file was made for the realization of the produced fluence map. Ma's algorithm were applied to design the MLC leaf sequence and all the design tools were programmed with IDL5.4.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designed virtual compensator, the results of irradiation with or without a virtual compensator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irradiated films inserted into the mini water phantom. The higher dose area produced due to the missing tissue was removed and intended regular dose distribution was achieved when the virtual compensator was app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