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손창우(Shon, Changwoo),이승재(Lee, Seungjae),황종남(Hwang, Jongnam)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2

        이 연구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하 ‘찾동’)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티케어 정착을 위한 동 단위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찾동 2단계(’16. 7. 1 ~ ’17. 6. 30) 사업에 참여한 17개 자치구 만 65세, 만 70세 노인 중 1,000명을 자치구별 비례할당 및 임의 추출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의 경우, 개인 및 자치구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다수준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서비스 미충족을 높이는 개인적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고소득, 독거 및 노인가구), 건강수준(복합만성질환, 건강문해력, 우울), 찾동 경험(간호사 1회 방문, 적은 서 비스 제공시간 및 낮은 이해도), 사회신뢰(낮은 정부신뢰)로 나타났으며, 자치구 요인으로는 사업 시행기간이 짧을수록, 재정자주도가 낮을수록 서비스 미충족 확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케어의 효율성 제고를 위 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관리 서비스 수혜 대상을 현재의 65세 및 70세 노인 전수 방문에서 중장기적으로 경제적 또는 건강 취약가구로 사업의 초점대상을 좁혀서, 제한된 예산 속에서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둘째, 방문 대상 연령을 만 65세에서 만 66세로 전환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사업과 결과를 공유하여, 사업의 효율성이 높이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 찾동 사업은 시군구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국민건강관리를 행정동 단위로 낮추어 국민들이 체감도를 높이고, 지역사회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연구가 향후 커뮤니티케어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 및 정책 대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arious factors influencing the needs of Seoul’s newly implemented outreach community services for older adult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s in Seoul. A multi-level regression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by face-to-face interviews from 1,000 individuals aged 65 and 70 in 17 districts, where participated in the Seoul’s outreach community servic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ocioeconomic status (higher income and living alone), health status (having multiple chronic conditions and depression, lower health literacy), limited experience of the outreach community services, and low government trust at the individual leve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unmet need for the community outreach services. In addition, shorter participation period of the outreach services and financial independency at the district level were associated with higher unmet need for the service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by focusing on vulnerable groups such as individuals with lower income and worse health status. In addition, the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s may need to target individuals aged 66 to increasing efficiency of the services through utilizing results of life-cycle health checkup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립병원의 코로나19 대응을 통해 본 공공병원의 시사점 고찰

        손창우 ( Changwoo Shon ) 한국병원경영학회 2020 병원경영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the main functions and implications of public hospitals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future epidemic crisis based on analyzing the accessibility to designat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edical institutions of Seoul and examining the main features of the quarantine of Seoul municipal hospitals. Method: To analyze the response and function of Seoul municipal hospitals, we reviewed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258 article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ress releases from January to the end of April, 48 article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daily newsletters, 2019 Health Bureau Budget report. We also referred to internal data of Seoul Children's Hospital, Seoul Seobuk Hospital, and Seoul Eunpyeong Hospital during the same period. Besides, the accessibility to medical institutions was analyzed by using the COVID-19 data which was announced daily basis. Results: The accessibility of COVID-19 patients liv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eoul to a medical institutions was 16.2km on a distance basis, and it was the lowest accessibility among four regions of Seoul since it took about 40 minutes by car. On the other hand, patients living in the Northeast part had the highest accessibility, as the access to medical institutions was 10.7km and 27 minutes by car. Also, the main functions of the municipal hospital of Seoul against COVID-19 were to shift the public hospital function to COVID-19 patients only hospitals, to perform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by medical doctors, and to support the operation of self-isolation facilities, community treatment centers and triage roo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Conclus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COVID-19, we suggested that the functions of public hospitals will be reorganized as the reinforcement of infectious disease treatment and mental health for quarantined patients, cooperation with private hospitals, supporting for strengthening community health capacity and preparation for another epidemic.

      • KCI등재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서다람(Daram Seo),손창우(Changwoo Shon)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2

        이 연구는 한국형 커뮤니티 케어의 기초가 되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방문건강관리 사업을 중심으로,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티 케어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3단계(’17년 7월 ~ ’18년 6월) 및 4단계(’18년 7월 ~ ’19년 6월)에 참여한 만 65세, 만 70세 노인을 모집단으로 하여, 자치구별 비례할당 방식으로 추출한 2,200명(3단계 24개구 1,100명, 4단계 25개구 1,1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불성실 응답 180건을 제외한 2,020명을 최종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만성질환 유병상태를 기준으로 하위집단을 나누었고,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만성질환이없는 노인들은 건강교육 및 상담 서비스를, 만성질환을 1개 가지고 있는 단일 만성질환 노인은 지역사회자원 연계서비스를, 만성질환을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복합 만성질환 노인은 자신의 건강상태평가 및 지역사회자원 연계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 서비스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만성질환 유병상태와 상관없이 노인이 인식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시간은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었으며, 설명 이해도는 단일, 복합 만성질환자 모두에게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이었다. 지역사회를중심으로 한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의 핵심 요소이므로 향후 커뮤니티 케어의 지속성과 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노인의 만성질환 유병상태에 따른 지역사회 중심의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겠다. 다만,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첫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유하고 있는 대상자의 건강정보를 지자체로 공유하는 연계시스템 구축과 둘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의 질향상을 위한 방문간호사 역량강화 교육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와 제언이 향후 커뮤니티 케어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and to develop effective community care models by using the results of Seoul’s outreach service which is the basis for Korean community ca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elderly aged 65 and 70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s outreach community services 3rd stage (July 2017 - June 2018) and 4th stage (July 2018 to June 2019). 2,200 people were extracted by the proportional allocation method and home visit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m. Subjec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based on chronic disease prevalence, and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derly without chronic diseases were more satisfied when they received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services, the elderly with one chronic disease were more satisfied when they received Community resource-linked services.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ith two or more chronic diseases,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is increased when health condition assessment and Community resource-linked services are provid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have chronic diseases, service delivery time was a factor that increased satisfaction in home visiting health care. And the degree of explanation understanding was a factor that increased satisfaction for both single and complex chronic patients.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 is a key component of the ongoing community care. In order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and effectiveness of community care in the future, Community-oriented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the degree of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ly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provide more effective services, however, it is necessary (1) to establish a linkage system to share health information of the subject hel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o local governments and (2) to provide capacity-building education for visiting nur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 s ed a s bas ic data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community care.

      • KCI등재후보

        커뮤니티케어, 다가오는 초고령사회 부담에서 지역사회계속 거주에 이르는 지름길

        강희택(Hee-Taik Kang),손창우(Changwoo Shon),전성연(Sung-Youn Chun),한동헌(Dong-Hun Han),황진욱(Jinwook Hwang),이용제(Yong-Jae Lee),유지원(Ji Won Yoo)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9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20 No.1

        Successful or health aging may not be enough of explaining all perspectives of aging-related consequences in the upcoming super-aged society. Korea has experienced a rapid decline in the traditional family structure and a soar in nuclear families or solitude. Korea sustains paradoxically dissociated delivery of health care and welfare despite a decade of policy implementation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November 20th, 2018, to resolve these challenges,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claimed a comprehensive blueprint, “community-based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Community-based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is considered as a shortcut to “Aging in Place”, later life residential sustainability in the same community and a proven better living outcome compared with institutionalization. As the frontline practitioners of caring older adults, this proclamation needs more practical details of integrating health care, physical dependence, monetary status, and eventually, placement. Despite differ-ent health care system structure and preferences of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current review aims at assisting Korean practitioners with understanding the all-relevant trajectories of an elderly lung-cancer surviving man in Ohio, where remains geographic mixture of rural and metropolitan characteristics.

      • KCI등재

        서울시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관계

        황종남 ( Jongnam Hwang ),손창우 ( Changwoo Shon ) 대한보건협회 2021 대한보건연구 Vol.47 No.4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미충족 의료 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지역사회 건강조사 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거주 성인남녀 만 19세 이상 응답자 19,646명(여성:11,117; 남성:8,529 )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인식은 만족과 불만족으로 구분하였으며, 지난 1년간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한 경험 유무에 따라 미충족 의료 경험유무 집단을 분류하고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분석결과,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불만족할 경우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1.96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 의료의 이유에 따라 개인적 요인과 시스템 요인으로 층화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의료이용 장애와 개인적 사유에 따른 미충족 의료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미충족 의료 개선을 위해서는 보건의료제도와 물리적 접근성의 개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의료서비스 환경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s and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urban dwellers in Seoul. Methods : For this study,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CHS) were utilized, and a total number of 19,646 residing in Seoul were included in the analytic models.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 number of physician per 1,000 people by 25 districts. Results :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a poor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s was associated with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In addition, a poor community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was associated with personal reason-, and systematic reason-related unmet healthcare need. Conclusions :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dividual’s perception of healthcare servi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xperience of unmet healthcare needs,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based policy development for improving social aspect of healthcare services in addition to physical condi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코로나19 확산 초기의 사회경제적 특성별 사회적 거리두기 준수

        강은정(Eunjeong Kang),김선정(Sun Jung Kim),손창우(Changwoo Shon),고광욱(Kwangwook Koh)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3월 22일부터 4월 19일까지 실시된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의 사회경제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캠페인 시행이 끝난 직후인 2020년 5월 13일~5월 19일에 온라인리서치 회사인 Embrain을 통해 실시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전국의 19세 이상 70세 미만 성인 1,117명으로 구성되었다. 6가지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은 불필요한 모임의 연기 또는 취소, 외출자제, 개인위생수칙 준수, 아프면 집에서 쉬기, 2미터 거리두기, 주변 소독과 환기 등 6가지 수칙이 포함되어 있었다. 전체 항목의 준수율을 10점 척도로 정의하였다.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주택유형과 근로형태가 사회적 거리두기 점수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맞춤형의 캠페인 개발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ing practices by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national campaign on strong social distancing from March 22 through April 19.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online survey performed by Embrain from May 13 through May 19. The sample consisted of 1,117 adults aged between 19 and 69. The campaign included six rules: to postpone or cancel unnecessary meeting, to refrain from going out, to keep personal hygiene, to stay home when sick, to ventilate frequently. Social distancing scores were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items observed on a scale of 10.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ype of housing and type of work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ocial distancing scores. Study results imply that customized campaigns are needed for those from lower socioeconomic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