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OD(Learning On Demand) 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기능개선 연구

        손진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2 정책과제 Vol.11 No.-

        방송대는 LOD(Learning On Demand) 서비스를 통해 이러닝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고 사용자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어 온라인 학습 지원에 대한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콘텐츠 과목 수를 확대하고 홈페이지를 개선함과 동시에 인터넷 상담처리 메뉴와 학습자 참여광장을 통해 학습자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질적인 개선은 주로 기술적인 문제 해결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고 다른 학습자들과 상호작용하며 적극적인 학습활동을 강화하는 관점에서 LOD 서비스를 개선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방송대 LOD 서비스에서 지적되어온 기술적인 문제 해결을 포함하여 보다 나은 교수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로 거듭나기 위해 현재의 LOD 기능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방송대 LOD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고 문헌 자료 및 사이트 분석을 통해 LOD 기능명세표를 개발하였다. 기능명세표를 중심으로 교육관련기관 11개(사이버대 3, 일반대 2, 방송관련 3, 교육전문 3)에 대한 LOD 서비스 현황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기관의 사례분석 결과를 토대로 방송대 LOD 서비스 기능개선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세부 기능들을 학습자 관점과 운영자 관점으로 구분한 후, 각 세부 기능별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4가지 단계(기존 기능유지, 기능개선, 기능 추가, 특성화)로 구분하여 차세대 LOD 서비스 프레임워크로 제시하였다. 특히 학습자 관점의 프레임워크는 LOD 서비스의 기본 기능을 제외하고 교수학습 활동에 도움이 되는 기능을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요구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기능에 대해 학습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와 필요도를 파악하였으며 방송대에서 현실적으로 필요로 하는 차세대 LOD 서비스 기능개선 항목을 6개 영역, 20개 기능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LOD 서비스의 콘텐츠 및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측면에서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9개 영역, 20개 기능을 선정하였다. LOD 기능개선 구현방안으로는 방송대 LOD 시스템에 단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적용 시기를 단기(~2012.1학기), 중기(2012.2학기~2014.1학기), 장기(2014.2학기~2016.1학기)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학습자 관점에서 20개 기능은 단기 9개(스크랩, 수화 지원, 모바일 지원, 강의다운로드, 사이트 연계, 주제별 랭킹검색, 사용자 의견 게시, 인기강의 목록, 오리엔테이션 영상), 중기 11개(나의 수강 포트폴리오, 수화 지원, 메모, 이어보기, SNS 공유, 추천 강좌, 자막 지원, 강의내용 스크립트, LOD 전담 콜센터, 연계 과정 안내, 모바일 지원), 장기 5개(관련 동영상 이동, 자막 지원, 매체별 시연,수화 지원, 모바일 지원)로 구성되었는데 이들 중에는 시기에 따라 대상 범위를 확대하는 기능이 있어 중복되기도 하였다. 운영자 관점에서 20개 기능은 단기 7개 (I-PIN 등록, 외국인 등록, 사용자 정보 수정, 강의별게시판, 공인인증서 등록, ID/PW 정보 관리, TV 편성표관리), 중기 5개(키워드관리, 자료관리, 인기콘텐츠, 매입현황관리, 결제내역관리), 장기 8개(콘텐츠 사용자 통계, 콘텐츠활용 통계, 사용자 현황 통계, 접속 현황 통계, 사용자별 수강 기록, SNS 콘텐츠 공유, 콘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연계 과정 안내)로 구성되었다. 이들 기능들은 방송대에서 제공되는 강의 콘텐츠 유형에 대한 고려는 물론 향후 방송대 LOD를 통해 서비스되어야 하는 발전적인 기능까지 모두 고려하였으며 각 기능의 구체적인 상세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기능 요소별로예시 및 사례 화면이 프로토타입의 역할을 하고 있어 정보전산원의 기능 개선을 위한 적용 및 실제 시스템 구현에 도움이 되도록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고려사항으로는 LOD 개선에 인력 운영이나 예산 편성 등 개별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부분이 있고, 업무 프로세스를 수정해야 하는 등 행정적으로 개편되어야 하는 부분에 기능개선에 연계되도록 다각적인 업무 협의 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LOD 운영 및 모니터링을 통한 사용자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하여 LOD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특성화된 차세대 LOD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LOD 기능개선 요소들과 함께 방송대 LOD 서비스 확대를 위한 고려사항으로 메타비디오 솔루션 도입, 학습참여 및 진도분석 기능, 동영상 화질개선 서비스 등을 제시하였다.

      • 인공지능 기반의 방송대 상담 챗봇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손진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1 정책과제 Vol.2021 No.-

        연구의필요성및목적 ⚪ 인공지능기술은4차산업혁명시대에중심이되는기술로인공지능기술을기 반으로하는다양한서비스들이생산되고있고,그중인공지능을기반으로하는 자연어처리 영역에서 챗봇 기술은 사람이 담당하고 있는 상담 업무에 도움을 주거나상담업무를대체할수있는효과적인기술중하나임 ⚪ 우리 대학의 상담 업무는 2019년도(8월~12월)와 2020년도(1월∼12월)을 기준으 로일평균약1000여건의질의가있었으며, 그중60∼65%에해당하는600건 정도에대해응답을하고있으나35∼40%에대한질의에대해서는응답을못 하고있음 ⚪ 이러한결과는상담업무시간및상담인원제한으로인해업무시간및업무시 간이외답변할수없는시간적,공간적제약이원인이며,이는우리대학에대 한상담의신뢰성및만족도를떨어뜨릴수있음 ⚪ 우리대학은이미대규모의전화상담음성데이터및텍스트데이터를보유하 고있으나,이데이터를활용하지않고있음 ⚪ 이러한문제점들을해소하기위하여우리대학이보유하고있는데이터를가공 및분석고, 상담업무의일부를기계가담당하도록챗봇을도입할필요가있으 나중장기적인계획이요구됨 ⚪ 이러한배경에서본연구는우리대학의시스템및행정,현황등을고려한5개 년계획을구성하고,상담서비스센터에서보유하고있는데이터중일부를사 용하여프로토타입으로개발하는것을목적으로함 연구방법및절차 ⚪ 본연구의구체적인연구방법및절차는문헌연구, 방송대상담서비스현황 분석,방송대상담데이터분석,챗봇의효과적인활용을위한5개년계획,챗봇 서비스프로토타입개발로세부내용은아래와같음 주요연구결과 ⚪ 본연구의주요연구결과는방송대상담서비스현황분석, 방송대상담데이 터분석,챗봇의효과적인활용을위한5개년계획수립,프로토타입개발,방송 대상담서비스도입으로구분할수있음 ⚪ 방송대상담서비스현황분석 -우리학교에서수행하고있는상담서비스현황분석에서는상담서비스에투 입되는상담인원및상담내용을분석하였으며,학사상담에총8명,IT상담에 총9명,합계17명이고,주요상담내용으로는학사내용및원격IT지원을담 당하고있음.우리대학의학생수를고려했을때,너무적은수의상담인원이 투입된것을확인할수있음 -또한본연구에서는상담서비스통계를분석하기위하여각상담그룹에대한 카테고리는입학및편입,학사상담,IT상담이고,2012년에서2020년까지의인 입호및응답호를기반으로한응답률을분석하였음 - 분석결과연평균약348,051건의인입호와약225,688의응답호가발생하였으 며,이에따른응답률은약63%로저조한것으로확인됨

      • KCI등재

        사회관계망에서 중요 노드 식별을 위한 지역정보 기반 매개 중심도

        손진곤,김용환,한연희,Shon, Jin Gon,Kim, Yong-Hwan,Han, Youn-H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2 No.5

        전통적인 사회관계망 분석에 있어서 각 노드의 매개 중심도는 메시지 전달 측면에서의 각 노드들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는 척도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매개 중심도를 산출하기 위한 계산 복잡도가 높기 때문에 노드의 수와 간선의 수가 매우 많은 대규모 사회관계망에서는 각 노드의 매개 중심도를 산출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들마다 자신의 지역정보, 즉 이웃노드들이 지닌 각각의 이웃노드 정보를 활용하여 구성가능한 확장 자아 네트워크(Expanded Ego Network)를 새롭게 정의하고 이러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Expa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를 정의한다. 일반적인 사회관계망의 특성인 척도 없는 네트워크(Scale-free Network)를 생성할 수 있는 Barab$\acute{a}$si-Albert 네트워크 모델을 사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확장 자아 매개 중심도의 각 노드별 순위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으로 산출한 매개 중심도의 각 노드별 순위와 거의 일치함을 보인다. In traditional social network analysis, the betweenness centrality measure has been heavily use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nodes in terms of message delivery. Since the time complexity to calculate the betweenness centrality is very high, however, it is difficult to get it of each node in large-scale social network where there are so many nodes and edges. In this paper, we define a new type of network, called the expanded ego network, which is built only with each node's local information, i.e., neighbor information of the node's neighbor nodes, and also define a new measure, called the expe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 Through the intensive experiment with Barab$\acute{a}$si-Albert network model to generate the scale-free networks which most social networks have as their embedded feature, we also show that the nodes' importance rank based on the expanded ego betweenness centrality has high similarity with that based on the traditional betweenness centrality.

      • KCI등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ntent Model for m-Learning

        손진곤,김병욱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0 No.4

        It is difficult for mobile learners to maintain a high level of concentrationwhen learning content for more than an hour while they are on the move. Despite theattention span issue, many m-learning systems still provide their mobile learners withthe same content once used in e-learning systems. This has called for an investigationto identify the suitable characteristics of the m-learning environment. With this in mind,we have conducted a survey in hopes of determining the requirements for developingmore suitable m-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havedeveloped a content model comprised of two types: a segment type and a supplementtype. In addition, we have implemented a prototype system of the content model forApple iPhones and Android smartphones in order to investigate a feasibility study ofthe model application.

      • 방송대 비전 및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연구(1차년도)

        손진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1 정책과제 Vol.10 No.-

        이 연구는 2022년 개교 50주년을 맞이하여 변화하는 미래의 교육환경에 대비하기 위한 방송대학의 새로운 비전과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그 1차년도 과제로서, 학내외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해 방송대의 비전을 도출하고 핵심가치 정립을 통한 기본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진외에도 7,690여명의 방송대학 구성원(교수, 교직원, 재학생, 동문)의 설문참여와 4차례에 걸쳐 워크숍에 참여한 187명 구성원들의 진지한 논의들, 고등교육 및 평생교육, 원격교육 분야의 10여명의 외부전문가들의 포럼 및 심포지움, 14명의 외부전문가의 심층인터뷰, 방송대의 이미지와 발전방향에 대한 5,062명의 대국민 설문결과 등 총 1만 2천 800여명의 의견들을 수렴해 완성되었다. 연구기간은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말까지였으며, 방송대 비전에 대한 학내외 의견수렴을 위해 다양한 연구방법이 활용되었다. 방송대는 개교이후 39년 동안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교육의 기회를 확장하고 자기계발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에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평생학습사회를 대비해 그동안 국립 원격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교육의 공공성과 개방성 확대에 기여해왔다. 그러나 최근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신.편입생 자원의 감소와 약진하는 사이버대학들, 일반대학과의 평생교육 경쟁 그리고 매체 기술의 진보 등, 급변하는 고등교육 환경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제는 새로운 방송대의 정체성을 모색하고 도약을 위한 중, 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할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팀은 기존의 방송대 정체성과 비전에 관한 정책연구들을 검토하고, 국내외 주요 대학들의 비전을 고찰했으며, 대학을 둘러싼 미래 환경에 대한 전문가들의 예측 및 전망자료들을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팀은 역할분담을 통해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한 온라인, 오프라인 설문조사와 워크숍, 평생교육 및 원격교육에 대한 전망과 심층인터뷰, 포럼과 심포지움 결과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2022년 비전과 사명, 핵심 가치를 도출하였다.

      • 컴퓨터 통신 프로토콜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손진곤,백두권 한국경영과학회 1990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통신 프로토콜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를 하였다. 먼저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와 기능을 설명하였고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모델을 분류하였다. 또한, 통신 프로토콜의 모델 중에 Timed Petri Net. (TPN) 모델에 시간함수 ??를 부여함으로써 TPN을 구조적으로 정의하였으며 TPN Based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스템 시뮬레이션 분야의 이산사건 시스템 명세(DEVS: Discrete EVent Simulation) 개념을 도입하였다. 중요한 연구 결과로서 TPN모델이 DEVS모델이라는 정리를 제시하고 증명하였다. 이 정리에 따르면, TPN모델을 시뮬레이션 할 때 시뮬레이션을 위해 모델을 설계할 필요없이 DEVS모델로 변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modelling and simlation of Conputer communication protocols theoretically. After describng a deginition and functions of communication protocols , we have classifiedmodels for protocol design. And, in those protocol models, by endowing Timed Petri Net(TPN) models with a time function τ, we have proposed a structual definition of TPN models. Furthermore, in order to complement. Petri Net Based models with some Problems, we have introduced the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DEVS) concept in system simulation field. As an important resuIt of our study, we have presented a theorem, which says that a TPN model becomes a DEVS model, and proved it.

      • KCI등재

        컴퓨터 통신 프로토콜의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손진곤,백두권,황종선 한국경영과학회 1990 經營 科學 Vol.7 No.1

        In this paper, we study modelling and simulation of computer communication protocols theoretically. First of all, we explain the basic concept of modelling and simulation. After describing a definition and functions of communication protocols, we classify models for protocol design. And we describe a protocol modelling with Petri Net models in somewhat detail. Furthermore, in order to simulate computer communication protocols expressed by Timed Petri Net(TPS) models, we introduce the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DEVS) concept in system simulation fields. As an important result of our study, we present a theorem, which asserts that a TPN model becomes a DEVS model, and prove it. According to the theorem,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efficient simulation by using the DEVS model transformed from a TPN model when we intend the TPN model to be simulated, otherwise we must design another simulation model for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