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과 존재이해

        손영삼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코기토 Vol.- No.96

        We ask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a philosophy? and What does mean it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 to research on a philosopher’s philosophy? We research on Heidegger’s philosophy. Every philosophy begins with a man’s doing-philosophy. While doing philosophy, someone becomes a philosophy student, a philosophy researcher, and a philosopher. Philosophy researchers generally investigate into a philosopher’s philosophy, and try to have a unique system for their own philosophy. In this research, a philosopher's philosophy is a ladder for the philosophy researchers. Not all philosophy researchers need the ladder, but we take Heidegger's philosophy as the ladder. In investigating into Heidegger's philosophy, we have arrived at some achievements in our own way. Now we are going to review these achievements by ask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According to what we get as Heidegger's philosophy, we always inevitably do philosophy as long as we exist in human beings. How do we, doing-philosophy,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Pointing out that the philosophy, investigating into the nature of beings, does not ask the question on Being, Heidegger tries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How does Dasein understand Being?" while analyzing Dasein ontologically in Sein und Zeit. Not asking questions on Being is called Being-forgetting by Heidegger. This Being-forgetting i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and then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As long as philosophy originates from the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s, so does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from the forgetting of human beings. There are attempts to find the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what Heidegger called Being-forgetting. However, Heidegger found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e forgetting of philosophy, not to ask questions on Being. The Being, forgotten at the dimension of human beings, is understood at the dimension of Dasein, and this Being-understanding continues to the philosophy, and then to human beings. In this respect,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cannot be Being-forgetting of human beings’. Analyzing of Dasein in Sein und Zeit, Heidegger discusses o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The ordinariness of Dasein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naturalness, and non-originality seems to be passive or negative compared to the originality. There are attempts to find roots,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the ordinariness and the non-originality of Dasein. However, Heidegger's strategy, distinguishing between the ordinariness and the naturalness of Dasein, and between the originality and non-originality of Dasein, is not intended to show that any problems arise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In this respect, we cannot find the root, from which we commit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in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According to Heidegger,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stem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How can we explain moral, ethical, and legal errors in our lives, especially the philosopher Heidegger's participation in the Nazis? In the following study, we will try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in the process from the Being-understanding of Dasein to a doing-philosophy of human being.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함께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는 일은 철학 연구자에게 무슨 의의를 갖는가?”라는 물음을 우리는 지난하게 묻고 있다. 우리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어느 철학이든지 모두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로부터 시작된다. 철학하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누군가는 철학도가 되고, 철학 연구자가 되고, 철학자가 된다. 철학 연구자는 대체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을 연구하면서 자신의 철학하기에 고유한 체계를 갖추려고 기획한다. 이 일에서 어느 한 철학자의 철학은 철학 연구자에게 일종의 사다리이다. 비록 모든 철학 연구자에게 사다리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우리는 철학자인 하이데거의 철학을 사다리로 삼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하이데거의 철학을 나름대로 연구하면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루고는 있다. 이제 우리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물음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는 무엇인가? 우리가 하이데거의 철학이라고 파악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우리는 인간으로 실존하는 한, 언제나 필연적으로 철학한다. 그런데 철학하는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른다. 도대체 무엇을 위한 철학인가? 존재자의 본질을 탐구하는 철학이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다고 지적하면서,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 에서 현존재(Dasein)를 존재론적으로 분석하는 가운데 “현존재는 존재를 어떻게 이해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했다.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태도를 하이데거는 존재망각(Seinsvergessenheit)이라고 일컫는다. 이 존재망각은 우선 철학의 존재망각이지만,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고 우리는 파악하고 있다: 철학이 어느 한 인간의 (철학)하기에서 비롯되는 한, 철학의 존재망각도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하이데거가 존재망각이라 일컫는 것에서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존재에 대한 물음을 묻지 않는 망각에 빠진 철학의 밑바탕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Seinsverständnis)를 찾아내었다. 인간의 차원에서는 망각되고 있는 존재가 현존재의 차원에서는 이해되고 있으며, 이 존재이해가 존재망각에 빠진 인간에게 나아가서는 철학에 이어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가 인간의 존재망각일 수는 없다. 존재와 시간 의 현존재 분석론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일상성(Alltäglichkeit)과 비본래성(Uneigentlichkeit)에 대해 논의한다. 현존재의 일상성은 근원성(Ursprünglichkeit)에 비해 그리고 비본래성은 본래성(Eigentlichkeit)에 비해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와 같은 현존재의 일상성과 비본래성에서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현존재의 일상성과 근원성을 구별하고, 비본래성과 본래성을 구별하는 하이데거의 전략은 현존재의 존재이해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보자면, 우리가 삶에서 도덕적, 윤리적, 법적 오류를 저지르게 되는 뿌리를 우리는 현존재의 존재이해, 특히 일상성이나 비본래성에서 찾을 수는 없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 ...

      • KCI등재

        기초존재론의 근원성

        손영삼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8 No.-

        이 글에서 우리는 하이데거의 철학이 기초존재론으로서 근원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고자 한다. 철학이 본디 근원에 대한 논의를 목표로 삼고 있지만, 그때마다 논의된 근원이 인간의 수수께끼를 어느 정도로 풀어줄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존재와 시간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를 근원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의 존재이해는 어떻게 가능한가?”를 묻고 있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을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인 실존에 대한 존재론적 분석으로 보여주고 있다. 현존재의 존재론적 분석론에서 현존재의 실존은 세계-내-존재, 관심, 시간성의 측면에서 분석되었거나 분석될 예정이었다. 우리는 이 글에서 세계-내-존재의 분석에서 하이데거 철학의 근원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세계-내-존재의 분석은 내-존재 자체가 처해 있음, 이해, 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이데거는 처해 있음, 이해, 말을 기초적 실존범주로 파악한다. 이 기초적 실존범주는 현존재의 실존, 곧 현-존재를 구성하는 기초로서 현존재의 존재성격이다. 현-존재는 현존재의 처해 있음에서 비롯한다. 현존재의 처해 있음은 현존재가 그 때마다 존재하고 있는 상황으로서 존재이해의 실마리라는 점에서 현-존재를 구성하는 기초이며, 실존의 근원이다. 현존재의 처해 있음은 인간의 처지가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근원이며,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심리학이 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철저하게 파악해야 하는 기초이다. 현존재의 이해는 처해 있음을 실마리로 삼는다. 존재해야 하는 현존재는 그 때마다의 처해 있음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해는 현-존재를 구성하는 기초이며, 실존의 근원이다. 현존재의 이해는 인간의 이해가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근원이며, 인간의 이해를 탐구하는 해석학이 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철저하게 파악해야 하는 기초이다. 현존재의 말은 인간의 언어가 그 뿌리를 두고 있는 근원이며, 인간의 언어를 탐구하는 언어학이 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철저하게 파악해야 하는 기초이다. 이와 같이 현존재의 존재인 실존을 구성하는 기초적 실존범주를 분석하는 기초존재론은 인간의 삶과 학문을 가능하게 하는 근원에 대한 논의라는 점에서 근원성을 갖는다. In dieser Abhandlung werden wir Heideggers Philosophie als Auffassung der Ursprung verstehen und auslegen. Auch wenn Philosophie eigentlich eine Auffassung der Ursprung zielt, ist es aber problematisch, ob diese Ursprung ein Schüssel für Lösung der menschlischen Problem wäre. In Sein und Zeit bestimmt Heidegger das Seinsverständnis des Daseins als Ursprung des Seins. Heidegger fragt nach der Möglichkeit vom Seinsverständnis des Daseins in Sein und Zeit Heidegger zeigt die Antwort auf dieser Frage in der Daseinsanalitik. In dieser Analitik wird die Existenz des Daseins als In-der-Welt-sein, Sorge, und Zeitlichkeit analysiert. Wir wollen die Ursprünglichkeit der Heideggers Philosophie in dieser Abhandlung verstehen. Die Analysis des In-der-Welt-seins zeigt, daß das In-Sein selbst des Daseins auf Befindlichkeit, Verstehen, und Rede konstituiert ist. Heidegger bestimmt Befindlichkeit, Verstehen, und Rede als fundamentale Existentialien. Diese fundamentale Existentialien sind die Seinscharaktere des Daseins, die die Existenz des Daseins, das Da-sein kostituieren. Das Da-sein fängt mit der Befindlichkeit des Daseins an. Die Befindlichkeit ist das Fundament des Da-seins, indem sie als Situation der Existenz der Faden des Seinsverständnisses ist. Sie ist der Ursprung der Existenz. Und auch sie ist der Ursprung der Stimmung im Leben des Menschen und das Fundament der Psychologie. Das Verstehen des Daseins versteht die Befindlichkeit. Das Verstehen ist auch das Fundament des Da-seins, weil das Dasein ist, indem es immer noch die Befindlichkeit versteht. Das Verstehen des Menschen wurzelt in dem Verstehen des Daseins, und das Fundament der Hermeneutik liegt im Seinsverständnis. Die Rede des Daseins ist die Einheit zwischen Befindlichkeit und Verstehen im Seinsverständnis. Sie ist der Ursprung von der Sprache des Menschen, und die Sprachwissenschaft findet ihrem Fundament in der Rede des Daseins In der Auffassung der Ursprung und das Fundament von dem Leben des Menschen, der Wissenschaften, der Ontologie können wir die Ursprünglichkeit der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finden.

      • KCI등재

        인문학과 로컬

        손영삼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9 No.-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을 인문학이 연구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로컬은 인간이 사는 터가 아니라, 이 터 에 인간이 의미라는 옷을 입힌 문화의 차원이다. 인문학은 인간을 위한 인간에 대한 인간의 학문이다. 위의 물음에 대한 답은 결국 “인간이란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에 따른다.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일이 또한 인문학이다. 하지만 “인간이란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적어도 아직까지는 궁극적인 자리에 이르 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문은 생명을 가진 인간이 살아남기 위한 물음을 묻는 활동이면서 또한 그 결과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살아남는다 는 것은 두 가지의 측면을 갖는다. 첫째, 생명을 잇는다. 둘째, 인간(나)답게 산다. 인간은 생명이 이어지는 한에서 인간답게 살 수 있다. 물론 “생명을 어떻게 이어갈 것인가?”에 대한 길잡이는 “인간다운 삶을 어떻게 살 수 있는가? ”라는 물음이며, 이 물음은 또한 “인간이란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물음에 달려 있다. 그런데 이 물음을 직접적이 고 근원적으로 묻는 인문학은 다른 학문영역에 비해 그다지 실용적이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인문학의 실용성에 대한 의문은 인문학의 확실성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비롯한다. 하지만 인문학의 연구 대상인 인 간은 자연적 인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적 인간이다. 문화적 인간에 대한 연구는 사실의 문제를 설명하는 것 을 넘어 권리의 문제를 해석하는 것이다. 권리의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상상력에 의해 사실의 근원을 파고들어 야 한다. 여기에서 인문학의 확실성에 대한 의문이 비롯한다. 하지만 인문학의 확실성은 다른 학문영역과는 달리 엄밀성과 근원성에서 판단되어야 한다.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은 인간이 의미라는 옷을 입힌 문화의 차원이기 때문에 로컬에 대한 연구는 사실의 문제에 대한 다른 학문영역의 연구 성과를 수용하되, 엄밀성과 근원성을 확보하려는 인문학의 입장과 태도로 권리의 문제 를 해석하지 않으면, 인문학의 연구 성과에 대한 실용성 시비에 대응하기 어렵다. 결국 로컬에 대한 연구는 권리의 문제에 대한 인문학의 연구와 사실의 문제에 대한 다른 학문영역의 연구가 어우러질 때 비로소 확실성을 갖춘 성과 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성과는 로컬리톨로지라는 새로운 인문학이 이룩할 것이다. 로컬에 대한 인문학의 연구는 사이버 스페이스의 버츄얼 리얼리티로부터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사이 버 스페이스의 버츄얼 리얼리티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사이버 스페이스는 확 장된 로컬이며, 버츄얼 리얼리티는 확장된 현실이다. 비록 사이버 스페이스와 그 속의 버츄얼 리얼리티가 형성되는 물리적 형식과 방법은 자연으로부터 문화로 이행하는 과정과는 다르지만, 사이버 스페이스와 버츄얼 리얼리티에 대한 인간의 입장과 태도는 자연으로부터 비롯하는 문화에 대한 인간의 입장과 태도와 다르지 않다.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을 인문학이 연구하는 것은 단순히 인문학의 연구 성과를 현실에 적용하여 인문학의 현실적 적실성을 증명하는 것을 넘어 인간이 안고 있는 근원적인 문제를 해소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인간의 문제는 자연적 인 차원의 해결을 넘어 문화적인 차원의 해소를 성취할 때 비로소 궁극적인 답에 이르게 될 것이다. 여기에 새로운 인문학인 로컬리톨로지를 정립해야 하는 대의와 명분이 있다. What does it mean for the humanities to research a local, in which human being is? A local is not a site, on which human being dwells, but a kind of place, into which human being put his own meaning, i.e. a cultural dimension. The humanities is a science by human being, on human being, and for human being. An answer to that question goes after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o is human being at all? The humanities is a science to find an answer to this question. But the question, "Who is human being at all?", seems to be answered not ultimately yet. All of sciences are an activity, for human being to survive, and its fruits too. For human being, surviving has two aspects: 1. to keep on living, 2. to be as its owner. Human being can be as its owner so long as it keep on living. Of course, the question "how to be human being as its owner" leads the question "how to keep on living" to an answer, and also tag along with the question "who human being is at all" to its answer. Even though the humanities asks this question directly and by the roots, it seems to be not so practical as any other sciences. The suspicion of the humanities' practicality comes from a suspicion of the humanities' certainty. But human being as the subject of research in the humanities is not only the natural but also the cultural. The research of the natural is to explain a matter of fact(quid facti), and the research of the cultural is to interpret a matter of right(quid juris). In oder to interpret a matter of right, the humanities must penetrate into the origin of fact by imagination. From this situation, a suspicion of the humanities' certainty may begin. But the humanities' certainty should be evaluated in strictness and originality of the position and attitude in its research. Because a local is a kind of place, into which human being put his own meaning, the humanities' research into a local accepts fruits of any other sciences' research on a matter of fact in a local. Therefore, if the humanities did not interpret a matter of right in the strictness and originality, a suspicion of the humanities' certainty were not overcome. Finally, when humanities' research of a matter of right and any other sciences of a matter of fact are in harmony, the research into a local could achieve fruits with certainty. Humanities' research into a local has a possibility to solve problems of virtual reality in cyberspace. Cyberspace is an extended local, and virtual reality is an extended reality in local. Although physical form and method to be built cyberspace and virtual reality is different from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from the natural into the cultural, human being's position and attitude to cyberspace and virtual reality is not different from its position and attitude to the culture, which is headed by the nature. Humanities' research into a local bears a signification to solve the original problems of human being, besides to demonstrate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the humanities. The problems of human being could be answered ultimately, when the solution of the cutural dimension is achieved after the settlement of the natural dimension.

      • KCI등재

        현존재 분석과 현존재 분석론

        손영삼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6 No.-

        M. 보스의 현존재 분석은 정신치료 또는 정신의학에서 자연과학적 입장과 태도를 넘어설 수 있는 길잡이를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에서 찾았다. 현존재 분석론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존재이해를 밝혀 드러내고자 했다. 이 분석론에서 이해되고 해석되는 현존재를 보스는 인간의 본성으로 파악했다. 이 인간의 본성에 근거하여 정신병리 또는 정신장애 현상을 이해하고 해석하려는 현존재 분석은 현실에 대한 철학의 적용으로서 우리의 관심 대상이다. 철학을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용하는 철학과 적용되는 현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 야 한다. 보스의 현존재 분석은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으로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보완하려는 의도를 가진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이 비록 자연과학적 입장과 태도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그 밑바탕에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가 놓여 있는 것으로 보스는 파악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비록 어렴풋하나마 존재이해가 모든 인간의 삶 밑바탕에 놓여 있으며, 이 존재이해의 근원이 현존재의 존재이해이다. 이런 점에서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에도 그 밑바탕에는 존재이해가 놓여 있을 것이며, 이 존재이해를 밝혀 드러내는 일이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보완하는 일이기도 하며, 그 결과가 보스의 현존재 분석이다. 이와 같이 보스의 현존재 분석은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을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으로 보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현존재 분석에서 정신건강은 현존재의 존재론적 구조에 따른 현상이며, 그렇지 않은 현상은 정신병리 또는 정신장애로 이해될 것이다. 그런데 정신병리 또는 정신 장애로 이해되는 현상이 현존재의 비본래성에서 비롯하는가, 아니면 인간의 존재망각에서 비롯하는가? 이것이 문제이다.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에서는 현존재의 실존이 분석되고 있으며, 보스의 현존재 분석에서는 인간의 정신 현상이 분석되고 있다. 현존재의 실존과 인간의 정신 현상 사이의 관계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한, 현존재 분석에 따른 진단과 치료는 그 근본의도와는 달리 어림짐작으로 그칠 수 있다.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에서 현존재의 비본래성은 인간의 일상적 삶에서 나타나는 어떤 현상과 일대 일 대응관계를 가지지는 않으며, 비본래성은 현존재의 존재론적 구조에 따라 본래성으로 바뀔 수 있다. 인간의 존재망각은 인간의 근원에 현존재의 존재이해가 놓여 있다는 것에 대한 망각이다. 이를테면,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에 존재망각이라는 지적이 가능하며, 이 존재망각을 보스가 일깨우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M. Boss' Daseinsanalyse erblickte einen Leidfaden in Heideggers Daseinsanalytik, mit welchem sie naturwissenschaftliche Einstellung und Verhaltung in Psychiatrie und Psychotherapie ueberwinden koennte. In der Daseinsanalytik wollte Heidegger das Seinsverstaendnis des Daseins aufschliessen. Das in dieser Analytik verstandene und ausgelegte Dasein fasste Boss als Wesen des Menschen auf. Insofern Daseinsanalyse, die psychische Phaenomene auf Grund dieses Wesen vom Menschen zu verstehen und auslegen, eine Anwendung der Philosophie auf die Wirklichkeit ist, zieht sie auf sich unser Interesse. Um Philosophie auf die Wirklichkeit anzuwenden, soll das Verstaendnis fuer die Philosophie und die Wirklichkeit vorausgesetzt werden. Boss' Daseinanalyse hatte die Absicht, Freuds Psychoanalyse mit Heideggers Daseinanalytik zu bewahren. Obgleich Freuds Psychoanalyse sich nicht aus naturwissenschaftlicher Einstellung und Verhaltung befreien konnte, ihr zu Grunde liegt das Verstaendnis vom Wesen des Menschen. Nach Heidegger, liegt ein Seinsverstaendnis allem Menschenleben zugrunde, und der Ursprung dieses Verstaendnises ist das Seinsverstaendnis des Daseins. In dieser Hinsicht liegt das Seinsverstaendnis des Daseins auch der Psychoanalyse von Freud zugrund, und das Aufschliessen des Seinsverstaendnis des Daseins in Freuds Psychoanalyse ist es, diese zu bewahren. In dieser Daseinsanalyse ist Gesundheit ein ontologischer Struktur angemessenes Phaenomen, und Krankheit ist ein ontologischer Struktur unangemessenes Phaenomen. Aber dann ist dieses Phaenomen aus der Uneigentlichkeit des Daseins oder aus der Seinsvergessenheit des Menschen? In Heideggers Daseinsanalytik wird die Existenz des Daseins analysiert, und in Boss' Daseinsanalyse wird das psychische Phaenomen des Menschen. Wenn das Verhaeltnis zwischen die Existenz des Daseins und das psychische Phaenomen des Menschen nur ausdruecklich aufschliessen wird, dann wird die Daseinsanalyse ein Weg zum eigentlichen Zweck und Ziel. In der Heideggers Philosophie soll die Seinsvergessenheit des Menschen und die Uneigentlichkeit des Daseins voneinander untersieden werden.

      • KCI등재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과 근대 과학기술

        손영삼 대동철학회 2002 大同哲學 Vol.18 No.-

        인문적 사유와 과학기술적 문화는 서로 떨어질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적 문화에 대한 최근의 논의에서 인문적 사유의 결여에 관한 견해가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의 의도는 하이데거 기초존재론을 근거로 과학기술적 문화의 한 축을 이루는 근대 과학기술의 본성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인문적 사유의 결여가 자연과학과 기술에만 고유한 현상은 아니지만, 근대의 자연과학과 기술의 본성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과학기술적 문화가 안고 있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열쇠를 찾고자 한다. 하이데거는 전통적 형이상학의 존재망각이라는 사태를 기초존재론의 실마리로 삼는다. 존재망각이란 존재자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서 존재의 진리가 숨겨져 있는 사태이다. 존재의 진리는 존재자를 존재자이도록 하는 존재가 그 자체에서 이해되고 해석된 진리이다. 그런데 전통적 형이상학은 존재에 관한 물음을 묻지 않음으로써 존재의 진리에 이르지 못하는 존재망각에 빠져 있다고 하이데거는 지적하고, 그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기초존재론을 제안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을 근거로 전통적 형이상학이 빠져 있는 존재망각의 뿌리가 존재자에 대한 인간의 일상적인 자연적 태도로부터 비롯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존재자에 대한 인간의 일상적인 자연적 태도를 가능하게 하는 사유 일반을 우리는 일상적 형이상학이라 부른다. 일상적 형이상학이 존재자에 대한 인간의 태도를 근거지우는 한, 존재자에 대한 인간의 태도들 가운데 하나인 자연과학과 기술도 존재의 진리에 근거할 수 없다. 존재의 진리에 근거하지 않는 자연과학과 기술은 인간을 위한 뜻과 길에 이바지할 수 없다. 왜냐하면 무엇이 참으로 인간을 위한 뜻과 길인가는 존재의 진리에 근거하여 파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존재의 진리에 근거할 때 비로소 인간에 대한 존재자라는 존재자의 진리가 밝혀질 수 있을 것이다. 현존재의 존재이해에 의해 존재자가 존재자로 규정되어 비로소 인간에게 존재자가 주어지는 사태를 우리는 존재자의 진리라 일컫는다. 존재망각에서 벗어나서 존재의 진리를 파악하고, 존재의 진리에 근거하여 존재자의 진리에 이르러 인간을 위한 뜻과 길을 찾고, 이 뜻과 길을 따라 자연과학과 기술이 인간에게 이바지하는 것이 요청된다. 물론 이와 같은 요청은 자연과학과 기술에 대한 것이라기보다는 자연과학과 기술을 운용하고 그 성과를 사용하는 인간 자체에 대한 것이다. In gegenwärtigen kritischen Beurteilungen über die naturwissenschaftlich-technische Kultur sind die Ansichten von Mangel des humanistischen Denkens übermächtig, trotzdem das humanistische Denken und die naturwissenschaftlich-technische Kultur voneinander nicht trennen dürfen. Die Absicht dieser Schrift liegt in der aufgrund der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Überlegung vom Wesen der neuzeitlichen Naturwissenschaft-Technik, die eine Achse der naturwissenschaftlich-technischen Kultur bildet. Obgleich der Mangel des humanistischen Denken die eigenen Sache nicht allein der Naturwissenschaft und der Technik ist, aber wollen wir doch mit der Überlegung vom Wesen der neuzeitlichen Naturwissenschaft-Technik einen Schlüssel finden, welcher die Problem der naturwissenschaftlich-technischen Kultur auflösen könnte. Zu den Leitfaden für seine Fundamentalontologie macht Heidegger die Seinsvergessenheit der bisherigen Metaphysik. Die Seinsvergessenheit ist die Sache, daß die Wahrheit des Seins in Verstehen und Auslegung vom Seiende verborgen ist. Die Wahrheit des Seins ist die Wahrheit, in der das Sein an ihm selbst verstanden und ausgelegt wird, das Seiendes als Seiendes bestimmt. Aber die bisherige Metaphysik ist in der Seinsvergessenheit gefallen, indem sie die Frage nach dem Sein nicht gefragt hatte. Für die Überwindung der bisherigen Metaphysik stellte Heidegger die Fundamentalontologie als einen anderen Antrag. In dieser Schrift werden wir die Wurzel der Seinsvergessenheit von der bisherige Metaphysik im alltäglich-natürlichen Verhalten des Menschen zum Seienden auf dem Grunde der Fundamentalontologie Heideggers erfassen. Wir werden das Denken überhaupt die alltägliche Metaphysik nennen, das das alltäglich-natürlichen Verhalten des Menschen zum Seiendem ermöglicht. Die Naturwissenschaft und die Technik können als ein Verhalten des Menschen zum Seiendem auch nicht auf der Seinswahrheit grunden, solange die alltägliche Metaphysik das Verhalten des Menschen zum Seiendem grundet. Die Naturwissenschaft und die Technik, die nicht auf der Seinswahrheit grunden, können nicht zu dem Sinn und dem Weg für den Menschen dienen, weil es nur aufgrund der Seinswahrheit entscheiden kann, was der Sinn und der Weg für den Menschen echt ist. Erst auf dem Grunde der Seinswahrheit kann die Wahrheit des Seienden enthüllen, daß das Seiende nur das Seiende für den Menschen ist. Die Wahrheit des Seienden ist die Sache, daß das Seiende dem Menschen gegeben wird, indem das Seiende als das Seiende durch das Verstehen des Daseins bestimmt wird. Die Naturwissenschaft und die Technik sollen die Seinswahrheit erfassen, aufgrund dieses die Seiendeswahrheit erreichen, und schließlich den Sinn und den Weg für den Menschen finden, damit sie zu dem Sinn und dem Weg für den Menschen dienen können. Natürlich diesen Dienst soll nicht die Naturwissenschaft und die Technik, aber der Mensch selbst machen, wer die Naturwissenschaft und die Technik verwendet, und ihre Früchte gebraucht.

      • KCI등재

        로고테라피에 적용된 실존 분석에 대한 검토

        손영삼 대동철학회 2009 大同哲學 Vol.49 No.-

        이 글에서 우리는 프랑클의 로고테라피에 적용된 실존 분석을 검토하고자 한다. 프랑클의 로고테라피는 빈스방거와 보스의 현존재 분석과 더불어 심리치료에 철학, 특히 인간에 대한 근원적 이해와 해석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심리치료의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서 이미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 비록 자연과학적 태도와 입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지만,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나름대로 시도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로고테라피와 현존재 분석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기본적 바탕으로 삼고는 있으나, 철학에 의거하여 인간의 인간다움을 보다 더 철저하게 이해하고 해석하여 프로리트의 정신분석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빈스방거와 보스의 현존재 분석은 심리치료에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을 적용하였다.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론은 현존재의 존재인 실존을 분석하는 기초존재론이다. 현존재 분석은 현존재 분석론에서 분석되는 현존재를 인간의 인간다움을 보다 더 철저하게 이해하고 해석하는 실마리로 삼았다. 그런데 현존재 분석에서 현존재는 인간과 구별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현존재 분석론의 현존재는 인간의 본성과 연관을 가진 것이기는 하지만 인간과 구별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존재 분석에서 현존재와 인간의 직접적인 현실적 연관성이 밝혀지지 않는다면, 현존재 분석은 인간을 근원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 인간의 심리를 치료하는 일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프랑클의 로고테라피도 인간의 실존을 근원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여 신경증, 특히 인간의 실존적 공허로부터 비롯하는 noogene 신경증을 치료하고자 한다. 로고테라피에 적용되는 실존 분석은 의미와 가치가 인간의 현실적인 상황에서 경험되는 사태를 직시하며, 자유 의지,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 삶의 의미를 중심으로 인간의 실존을 파악한다. 인간이 의미를 부여하거나 만들지 않고 스스로 현실에서 찾아 발견한다는 점에서 로고테라피는 인간의 자기 초월이라는 특성에 주목한다. 인간 실존의 자기 초월을 프랑클은 인간으로 존재한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로 보고 있다. 여기서 초월은 의도의 실현을 통한 변화, 곧 초주관적인 영역의 성립을 말한다. 인간의 실존적 공허는 의미를 찾으려는 의지의 좌절, 곧 실존적 좌절에서 비롯하며, 이와 같은 상황으로부터 noogene 신경증이 드러난다. 이 신경증의 치료는 환자가 스스로 삶의 의미를 찾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로고테라피는 의미와 가치가 선험적인 것이 아니라 경험적이라는 주장의 근원적 근거를 인간의 실존에서 찾아 제시해야만 할 것이다. In dieser Abhandlung werden wir die Existenzanalyse von Frankls Logotherapie ueberpruefen. Mit der Daseinsanalyse von Binswanger und Boss, wandte Logotherapie Philosophie, vor allem urspruengliche Verstehen des Menschen in der Psychotherapie an. Die Frage der Psychotherapie, "Wie wird der Mensch verstanden und ausgelegt?", hat schon in der Psychoanalyse von Freud begonnen. Die Psychoanalyse koennte sich zwar aus naturwissenschaftlicher Stellung losloesen, aber erkennen wir an, dass sie sich das Wesen des Menschen zu verstehen anstrengte. Die Wurzel von Logotherapie und Daseinsanalyse ist Freuds Psychoanalyse, trotzdem wollten sie die Menschlichkeit urspruenglicher verstehen und auslegen. Daseinsanalyse von Binswanger und Boss wandte Heideggers Daseinsanalytik in der Psychotherapie an. Daseinsanalytik ist Fundamentalontologie, die Existenz, Sein des Daseins analysiert. Daseinsanalyse hatte Dasein als Leitfaden, Menschlichkeit gruendlicher zu verstehen. Aber in Daseinsanalyse unterscheidet Dasein sich nicht vom Menschen. Dasein in der Daseinsanalytik bezieht sich zwar auf das Wesen des Menschen, aber muss es sich vom Menschen unterscheiden. Wenn der Bezug des Daseins auf den Menschen nicht erklaert wuerde, so koennte Daseinsanalyse ihr Recht auf Psychotherapie des Menschen nicht haben, den Menschen urspruenglich zu verstehen und auslegen. Frankls Logotherapie wollte Existenz des Menschen urspruenglich verstehen und auslegen, und dann noogene Neurose aus dem existentiellen Vakuum aerztlich behandeln. Existenzanalyse erfasste, Sinn und Wert wuerde in alltaeglicher Situation des Menschen erfahren. Und sie versteht die Existenz des Menschen mit freiem Wille, Wille zum Sinn, und Sinn des Leben. Lgotherapie richt ihre Aufmerksamkeit auf die Selbsttranszendenz des Menschen, weil der Mensch den Sinn nicht gibt oder macht, sondern sich in der Welt sucht und findet. Frankl versteht die Selbsttranszendenz des Menschen als echten Sinn von Menschenleben. Diese Transzendenz ist Veraenderung durch Verwirklichung der Intention, Entstehung des trans-subjektiven Feld. Das existentielle Vakuum des Menschen entstammt der Frustration des Willens zum Sinn, existentieller Frustration. Aus dieser Situation entsteht noogene Neurose. Heilbehandlung dieser Neurose ist Findung vom Sinne des Lebens.

      • KCI등재
      • KCI등재

        아젠다 “로컬리티의 인문학”의 수행을 위한 제언

        손영삼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1 No.-

        이 글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인문한국(HK)연구단이 아젠다 “로컬리티의 인문학”을 수행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을 제안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 아젠다는 인문학의 태도와 방법으로 로컬리티를 연구하여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이 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진단하고 처방하며 치료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로컬의 로컬리티를 연구하는 인문학인 로컬리톨로지의 정립을 목표로 삼고 있다. 아젠다 “로컬리티의 인문학”은 우리나라 인문학의 위기를 극복하고 진흥하려는 의도에 따라 기획되어 수행되고 있는 아젠다들 가운데 하나이다. 아젠다 “로컬리티의 인문학”에서 ‘로컬’은 비록 지역 또는 지방 등을 뜻하는 영어 ‘local’의 한글 표기이지만, 중앙과 지방 또는 중심과 주변을 가리지 않고 인간이 사는 곳들을 두루 일컫고자 하는 이름이다. 이 이름은 아젠다를 기획하면서 임시로 선택된 것이며, 아젠다를 수행하면서 걸맞은 이름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사정은 인간이 사는 곳들이 강자와 약자 또는 다수와 소수로 구별되고 심지어는 약자 또는 소수가 차별되는 현실적 사태가 연상될 수 있는 ‘지방’과 아젠다의 수행에서 연구되는 인간이 사는 곳이 각 지역학의 연구대상인 특정한 곳과 혼동될 수 있는 ‘지역’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으려는 데에서 비롯된다.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을 인문학이 연구하는 것은 무슨 의미를 갖는가? 인간에 의한 인간에 대한 인간을 위한 학문인 인문학이 로컬을 연구하는 것은 비록 많이 늦었기는 하나 인간이 사는 곳들에 대한 선입견과 편견에 따른 오해를 이제야 비로소 인간의 근원에 근거하여 바로 잡을 수 있는 길을 찾는 일이다. 땅이 삶의 터가 되어 인간이 사는 곳이 되며, 인간이 사는 곳이 모여 마을이 되고 나라가 되고 누리가 된다. 그러므로 마을이든 나라든 누리든 모두 인간이 사는 곳인 로컬이며, 인간다운 삶을 살고자 하는 뜻이 펼쳐지는 자리이다. 따라서 로컬에 대한 연구를 이끄는 근본물음은 “인간이란 도대체 누구인가?”이다. 이와 근본물음을 근거로 “로컬이란 도대체 무엇인가?”라는 주도물음을 물으면서 아젠다 “로컬리티의 인문학”은 현상적 로컬들의 근원성인 로컬리티를 밝혀 드러낼 것이다. 이 로컬리티가 현상적 로컬들이 안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들을 진단하고 처방하며 치료하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물론 이 일은 인문학이 본디 그러한 것처럼 처음에는 숲길을 거쳐 오솔길을 가게 될 것이나 차츰 넓고 큰 길을 만들어 가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아젠다 “로컬리티의 인문학”을 수행하기 위한 전략과 전술은 연구결과의 근원성과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ntends to make a proposal for implementing the agenda "Locality and Humanities" of the Center for Locality and Humanities in the Korean Studies Institut of PNU. The purpose of this agenda is to diagnose, prescribe, and treat actual problems, with which the locals(로컬들 in Korean) are confronted. The local is a kind of place, in which human beings live. The aim of this agenda is to establish the localitology(로컬리톨로지 in Korean), that is a new humanties. This agenda is one of them to overcome the crisis of humanities in Korea, and promote the humanities. In the agenda "Locality and Humanities", the term '로컬' is 'the local' in Hangul, korean alphabet. Although 'local' in English designates a provincial, a peripheral, or a region, '로컬' in Korean designates all places, where human beings live in accordance with the will to well-being. The term '로컬' will be replaced with a proper term in Korean. What does it mean, for the humanites to study on the local? Even though it is too late, the humanities' study on the local can find a sound road for resolving ill-prepared misunderstanding about places, where human beings live. It is advisable , because the humanities is science by human being, on human being, and for human being. For the agenda "Locality and Humanities", the question "who is the human being?" is the main, and the question "what is the local?" is the leading. With these questions, the locality will be found in appearances of the local. For this, a strategy and tactics of implementing the agenda "Locality and Humanities" must secure orignality and unity of the results in studying the loc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