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교사의 여성성 이미지에 대한 인식연구

        손연주 ( Son Yeon Ju ),임부연 ( Lim Boo Y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1

        유아교육에서는 지속적으로 페미니즘과 여성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에 대한 시각은 교사에게 긍정적인 여성성의 방향으로 주로 연구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페미니즘과 여성성에 관련된 교사교육을 접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들이 여성성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 5명을 대상으로 마인드맵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실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포스트휴먼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바라보았으며, 교사들의 여성성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유아교사에게 요구되어지는 돌봄, 배려로 대표되는 여성성 이미지는 유아교사들로 하여금 엄마의 역할과 경계를 모호하게 하였고, 이로 인해 교사는 소진됨과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여성성이라는 고정된 이미지는 교사를 억압하고 있었고, 교직문화에 맞는 가면을 쓰도록 요구하였다. 그들은 이를 당연시 여기는 교직문화와 여성 유아교사의 근무환경 문제들을 소수자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여성성이라는 주체에서 탈주하고자 하는 욕망을 보였다. 셋째, 그들의 목소리는 돌봄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겠다는 파괴적 의미의 접근은 아니었으며, 그러한 역할이 ‘여성성’이 아닌 포스트휴먼 윤리학에서와 같이 공동체적으로 실천되어야 하는 것임을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여성성을 바라보던 시각을 포스트휴먼 페미니즘으로 접근하여 그 속에 은폐된 억압과 소수자적 교사의 목소리를 들어볼 수 있었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분법적 젠더 개념과 사회적으로 고정된 주체 개념을 탈피하여 포스트휴먼 시대에 맞추어진 복잡한 섹슈얼리티에 대한 조명과 윤리학적 방향을 시사하였다.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about feminism and femininity, often viewed in a positive direction. This study questioned this tendency and conducted an in - depth interview using mind map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feminism and femininity. The result was interpreted from the perspecive of Post Human Feminism. The study showed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ing femininity as follows. First, the feminine image requir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s early childhood teachers obscure the roles and boundaries of their mothers. This caused the teacher to experience difficulties. Second, the fixed image of femininity acted as a suppression to teachers and required them to use masks that fit the teaching cul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eir desire to escape from the image of femininity. Third, it was not a destructive approach to not doing the role of care, but also that such a role should be expressed in post-human ethics, not 'femininity'. This study revealed hidden suppression in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femininity. In addition, it was meaningful to hear the voices of the minority teachers and to discuss the fact that the rol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uld be performed as a post-human being by breaking away from the notion of femininity.

      • KCI등재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행위 실재적 실행과 운동

        손연주(Yeon-Ju Son),임부연(Boo-Yeun Lim)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y-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2019 National Nuri-Curriculum’) actually work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interpret the agential realistic implementation and movement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find their meanings.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took the form of Arts-based research method. The pieces of art were ‘in-depth interview based on art’, ‘a journey with a camera’, and ‘artistic (text) writing of a researcher’. First, in the art-based in-depth interview, a total of 7 early childhood educators located in different networks participated. In a class in which thre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were employed, a total of 16 observations were conducted in each class for about three months. The data collection period for this study was from December 2021 to June 2022. For the collected data,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hat crossed the boundary betwee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were as stated below. The results were expressed in an art text called "The Circle of Evolution". This means that the behaviors and movements of the curriculum are both individually connected and connected at the same time, operating and generating in a complex process of coevolution. First, in this, play and experience were functioning as movements that produced movements. Second,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as becoming self-expansive movement of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 other words, play can be both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and the repetition of experimental methods led to the slow development of content knowledg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ed that the implementation and movement of the play-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vividly aliv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ttempts to see the various movements of the curriculum as a self-organization will continue.

      • KCI등재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본 ‘놀이를 통한 배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손연주(Yeon-Ju Son),김성원(Seong Won Kim),이향숙(Hyang Sook Lee),윤정진(JeongJin You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교사가 유아의 ‘놀이를 통한 배움’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은유 분석을 통해 살펴봄에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유아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약 12일간 설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놀이를 통한 배움은 11개의 하위범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시 점진적으로 구성되는 배움, 지금-여기에서 지속되는 배움, 측정불가능한 잠재적 배움, 감각과 감성에 기반한 예술적 배움의 4개 상위범주로 유형화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놀이를 통한 배움의 인식 유형을 알아보고, 다양화된 배움의 논의를 살펴보았으며, 배움에 대한 긍정성과 동시에 보이지 않는 배움에 관한 불안을 함께 가짐을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가 놀이를 통한 배움에 관한 교사교육 및 후속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미래사회의 유아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 놀이로 융화되어가기

        손연주(Son Yeon-Ju)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과 학문 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미래사회에 유아수학교육이 가야할 방향성을 고찰함에 있다. 또한 포스트휴먼 시대와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화두가 된 현 시점에서 수학적 윤리와 수행성을 강조하는 수학 교육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다양한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유아수학교육의 흐름 대해 알아보고, 방향성과 그 실제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미래 사회는 교과 간의 경계가 약화되고 모든 것이 어우러지는 복잡계 속에서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그 특징으로 갖는다. 그 속에서 유아수학교육은 수학이 놀이가 되고 놀이가 곧 수학이 된다. 이러한 선순환적 경험 속에 수학적 역량을 증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는 수학적 언어와 기호로 놀이하기, 놀이를 통한 수학적 신체 되기, 수학 놀이에서의 기계-되기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결론: 이를 통해 유아 수학 교육이 한 영역 내의 수학이라는 한 학문의 경계 내에 갇히지 않고, 놀이와 삶으로 융화되어 가는 사건화 된 수학적 경험이 다채롭게 발현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future society where boundary between curriculum and science is broken down. This study was also wante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ing ethics and performance.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examined the flow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children based on various literature studies and suggested directionality and its actuality. Results: Future society has weakened the boundaries between subjects, and has its characteristics as uncertainties and ambiguities. In this regard, mathematic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ecomes play and play becomes mathematics. In this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promote mathematical competence. Specifically, it proposed to play with open mathematical language and sign, becoming a mathematical body through play, and machine-becoming in mathematical play. Conclusion: It is hoped that child mathematics education will not be trapped in a narrow frame of mathematics within one area. In addition, This study hope that mathematical experiences that are integrated into play and life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 KCI등재

        정치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놀이생태: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손연주(Son, Yeon-Ju),임부연(Lim, Boo-Yeu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3

        최근 유아중심ㆍ놀이중심 누리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놀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본 연구 또한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놀이가 갖는 운동성을 정치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놀이는 항상 고정된 기표를 갖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역사에 따른 정치학적 장과 복잡하게 접속되어 있으며 끊임없이 생동한다. 본 연구는 하나의 놀이라는 단편적 접속이 아닌 맥락적 놀이 계보학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정치학에 따라 움직이는 놀이생태의 흐름을 해석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방법은 해석학적 글쓰기이다. 이러한 정치학의 관점에서 철학ㆍ역사적 장의 놀이생태를 먼저 살펴보면 첫째, 소수자의 지위에 선 고대ㆍ근대의 놀이생태가 있었고 여기서는 인간만이 주체로 인식되었다. 둘째, 현대의 놀이 생태는 놀이 그 자체에 주목한 존재론적, 예술적 놀이였으며 셋째, 탈현대에서 미래로 나아가는 놀이는 놀이하는 인간과 놀이 그 자체, 그 안의 물질과 비물질적 내부작용을 살피는 놀이공동체가 되어간다. 이러한 놀이생태의 계보는 유아교육에 배치될 때 차이화가 이루어진다. 유아교육 장의 놀이생태는 첫째, 유아의 계에 갇힌 고대ㆍ근대의 놀이 판타지이며 둘째, 학습과 발달을 위해 계획된 현대의 놀이생태가 있었다. 이미 도래한 미래의 놀이생태는 분열분석적이고 다양체적 놀이로 공동체를 향해 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놀이가 갖는 생태성에 주목하고, 이러한 흐름이 정치학과 연결되어 있다는 새로운 시선을 던져주었음에 의의가 있다. Interest in plays has recently spread with regard to the revision of the Nu-ri Curriculum. Play does not always have fixed signatures, but is connected to the "arrangement-political" field according to the times and is steeped with history, and is constantly al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low of play ecology that moves according to "arrangement-politic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xtual play genealogy. Furthermore, the study method is hermeneutical writing. In this study, "arrangement-politics" has a mnemonic meaning of being placed and considering contemporary national politics. Also "arrangement-politics" is has a dynamic and molecular flow. From the viewpoint of arrangement-politics, the ecology of philosophy and historical play is firstly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ecology of ancient and modern plays was in the position of being in the minority. Second, modern(contemporary) play ecology is an ontological and artistic play that has focused on the play itself. Third, the play that moves from the postmodern to the future becomes the play community that considers the play’s people and the play together. The genealogy of these play ecologies is differentiated when plac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rst, the play ecology of ancient⋅modern times is a fantasy that applies only to infancy. Second, modern(contemporary) play ecology goes through planning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The future play ecology that has already arrived is opening towards the community with multiplicity plays. This study focuses on the ecological nature of play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flow is connected with ‘arrangement-politic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미

        임부연(Lim Boo Yeun),손연주(Son Yeon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유아교육은 ‘놀이를 통한 배움’을 교육과정의 이념으로 지지하여 왔고 놀이와 학습을 분리하지 않으며 통합적 관점에서 제시하여 왔으나, 종종 놀이와 학습이 발달을 위한 도구나 지식성취를 위한 방법적 차원으로 오해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이를 극복해 보는 노력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놀이와 배움을 연속적 관계, 즉 놀이~배움의 분리불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는 유아교육의 근원으로 놀이의 가치를 다시 한 번 환기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놀이~배 움의 표기법은 놀이와 배움을 연속성의 개념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이를 ‘교육과정’의 관계 속에서 보려 노력함으로써 ‘놀이~교육과정~배움’의 엮임과 발산을 제안하였다. 무엇보다 ‘놀이’를 삶과 연계된 복잡한 리좀적 관계에서 ‘배움’이 놀이-사건화 된 경험 속에서 내부 작용적으로 발생한다는 사유는 학교 교육이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경험과 배움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나아가야 하는 교육과정 담론을 지지해 줄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아들의 ‘놀이~배움’ 속에서 다소 형식을 가지며 쉽게 좁혀지기 어려운 ‘유아교육과정’의 구체적 내용을 실제적으로 제안해 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놀이~교육과정~배움의 담론이 더욱 심화되기를 기대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play ~ learn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related to existing plays. But often play in early childhood is misunderstood as a way to learn or develop.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continuous relation between play and learning and its meaning again. So,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and practice between play and learning in the context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Play has the attribute of Dionysus pleasantness connected with the life of children. At this point, learning occurs internally in the play-eventified experiences of children. And the play and the learning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forming the ‘rhizome’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play of the children who live in the curriculum is a voluntary and competent learning in itsel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vivid mobility of the curriculum in play ~ learning of children.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facts were found in the lives of children who are spreading in various ways.

      • KCI등재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임부연(Lim, Boo-Yeun),손연주(Son, Yeon Ju)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으로 고시된 ‘누리과정’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교사역할의 문제를 교육내용과 연결하여 탐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Aoki가 제안한 ‘간 거주자’로서의 역할, 즉 ‘국가와 유아 사이에 거주하는 자’로서의 교사역할에 초점을 두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시도하였으며, 특히 국가교육과정에서 주요한 의제를 제안하고 있는 Ted Aoki 논문에 초점을 두어 해석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역할에서 ‘국가’의 의미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의 문제는 국가교육과정의 성공적 안착에 중요한 요소이다. 2019 개정 누리과정은 교사의 역할을 ‘유아를 지원하는 자’로 제안하고 있는데, 현재 ‘국가와 유아, 놀이’를 둘러싼 교사의 역할변화에 따라 가져오는 혼란을 교사의 국가가 제시하는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를 유아와 연계하여 실행하는 관점에서 풀어보고자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를 위하여 개정 누리과정의 시행 이전부터 오랫동안 유아교사의 역할로 인식되어온 1)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유아의 사이의 존재자 2) 놀이와 유아 사이 존재자로서의 의미를 먼저 살펴 본 이후, 개정 누리과정의 시행에 따라 변화가 요구되는 교사역할을 3) 국가와 유아(놀이)사이의 존재자로서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에 대한 관점에서 교사가 충실하게 지각하고 있어야 할 국가교육고정에서 국가가 제안한 교육내용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이를 유아의 놀이를 통한 배움과 연결해 내는 교사역할의 필요성을 강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유아교사는 본인이 명료하게 지각하고 있어야 할 대상으로써 ‘국가’와 ‘유아’의 의미에 기반하여 국가와 유아 사이의 존재자로서 역할에 충실하고, 이를 통해 유아가 중심이 되는 놀이가 살아나는 국가 교육과정의 실행이 가능함으로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a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 for National Nuri Curriculum based on a perspective of an existent indwelling in between a nation and student. Especially, the term ‘nation’ in this study means to refined to ‘content’ named ‘five areas’in Nuri curriculum. Method: In o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heoretical analysis regarding philosophical approaches of role of teachers in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ories particularly focused on teachers in dealing with national curriculum,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dea of Ted Aoki. who sees role of teachers as indwelling between, which is very complex and important in oder to success of national curriculum in schools. Results: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eemed to misunderstand their royalty to teaching themes as if content. They had omit teaching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but teaching theme of knowledge. In other ways, som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nded to take care of only children’s play as if contents, so not concerning with real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at all. This tendency seem to proble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ing not administrational of national curriculum. Conclusion: Thus,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intended to overcome this problems of misunderstanding of practice of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successfully administer National Nuri Curriculum.,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recognize firmly their role of indwelling between nation and young children.

      • KCI등재

        도축폐수에서 분리된 Aeromonas hydrophlia에 의한 도축폐수의 성상 변화

        손연주,박재림 한국환경과학회 200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2 No.10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heck changes of components in the slaughter waste by the bacteria isolated from slaughter wastes from Gyungnam Province from May to June 2000, and to find useful organism for treatment of the waste. Bacteria used in this study were .4eromonas hydrophila. as the dominant of the waste. Optimum conditions for bacterial culture were obtained as the temperature of 35'C, pH 6.5, and shaking of 120 rpm in nutrient broth. The mean values of dissolved oxygen was 4.14 ㎎ℓ; biochemical oxygen demand, 1731.21 ㎎ℓ; ratio of BOD/COD, 0.53-0.64; ratio of T-P/T-N, 1.0-1.41; and viable counts of the waste. 5.47x10^(7) CFU. Little change in total nitrogen observed by 36 hr of the culture. The largest amount of increasing NH₄4)^(+)-N was observed in the sample that 10% of the waste added in nutrient broth with A. hydrophila showing the value of 29.19 ㎎ℓ at the beginning to 570.36 ㎎ℓ by 36 hr of culture. However, the highest increasing ratio between initial amount and finals at 36 hr of culture showed as 41.6 times when 3% of the waste added. NO3 -N was decreased showing the value of 71.27 ㎎ℓ to 32.14 ㎎ℓ by 24 hr of culture with the organism when 10% of the waste added in nutrient broth. Total phosphorus was decreased showing the value from 188.74 ㎎ℓ to 101.41 ㎎ℓ after 12 hr of culture with the organism when 5% of the waste added in nutrient broth, while T-P was decreased gradually by 24 hr of culture from 193.8 to 101.4 ㎎ℓ when 10% of the waste added.

      • KCI등재

        낙동강 중 , 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과 세균의 계절적 동태

        박재림,하경,손연주,주기재 한국환경과학회 200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0 No.4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observe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and viable counts of bacteria from the mid to lower reaches of Nakdong River. An intensive monitoring was conducted from May to December 1999 biweekly at 6 sites in a main channel and 3 tributaries. Although there are several sites with high nutrient loading from the basin, all of study sites showed mesotrophic states owing to high discharge(June∼September). Relatively low algal biomass and CFUs(mean of chl. a, 12.3±11.5 ㎍/ℓ, CFUs : 1.8×10 exp (7)) were observed during the rainy season. The diatom population was dominant(over 85% of total community) year-long with peaks (Stephanodiscus hantzschii) in the fall and winter. Dominance of blue-green algal groups during the summer was not observed in the summer. Microorganisms peaked in the summer and fall (June∼September), affected mainly by the inputs of phytoplankton and nutrients. Biomass of phytoplankton and CFU counts were higher in the Kumho River than the other tributaries and main chann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