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심리학의 중요성

        소정연,최창진,한승범,민상윤,Soh, Jungyeon,Choi, Changjin,Han, Seungbum,Min, Sangyoon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2012 소프트웨어공학회지 Vol.25 No.3

        Since the industrial society has emerged into the knowledge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software has enlarged its scale, the importance of the 'people' has surfaced at its peak. Even though the People, the Process and the Technology are mentioned as the core in the field of software engineering, the pragmatic aspect of it tends to lack adequate interest in the People. In other disciplines, several method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the people. In this paper, we have organized the psychological researches that other fields have studied into four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it covers how to apply a person-to-person psychological method referred to as mentoring. Second, we discuss about a team that utilizes the MBTI system in organizing their structure. Third, we look at a case of the propaganda; the psychological application for the masses. Finally, we cover on the new social media. We investigate on the possible considerations in applying the psychological techniques in the field of software development to utilize the advantages from each methods. 소프트웨어의 규모가 커지고 지식 사회로 전환됨에 따라, '사람'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도 People, Process, Technology 모두 중요하다고 언급이 되지만, 실무에서는 People 측면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다른 학문 분야에서는 사람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학문들에서는 어떻게 사람에 대한 심리를 연구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네 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였다. 첫째로, 사람과 사람에 대한 심리학 적용에 대한 멘토링을 다룬다. 둘째로, 팀에 대한 것으로 MBTI를 이용한 조직구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셋째로, 대중에 대한 심리학 적용 사례인 프로파간다를 살펴보고 넷째로, 새로운 소셜 미디어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각 방법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로 이런 기법을 재해석하여 활용하기 위해 어떤 부분을 조심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온라인 동영상 강의의 자동 해설 시스템

        박동,소정,김유진,임순범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2022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7 No.2

        Video lectures, which account for a large part of the non-face-to-face lecture system, conduct classes based on visual data. However, blind students cannot find out the contents of the screen and cannot understand the class properly, and it leads to the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to study. For this reason, this paper proposes a service that uses the automatic voice commentary system of the online video lecture screen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class of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ensure the right to learn. We proceeded with requirement analysis and a prototype test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First of all, it's necessary to know the timing of the appearance of each slide in order to provide an appropriate description for each screen. Thus, we designed the similarity discrimination algorithm between the frame and the image to identify the timing of screen transition and the slide number. Then, the system creates commentary files based on text, images, and tables within each slide, and generates video files that read the commentary files by voice using Text-to-Speech technology. Finally, it merges the original lecture and commentary videos as one video according to the order of slide appearance. After conducting the usability evaluation, we confirm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lecture content increased when students listened to the explanation on the screen with the proposed service. It was notably more effective when providing descriptions of objects such as pictures and tables. Through this, we found that the proposed system was helpful in learning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who took video lectures. 비대면 강의 시스템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동영상 강의는 시각자료를 기반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그러나시각장애 학생은 화면의 내용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수업 내용 이해도가 떨어지고, 이는 곧 학습권 침해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각장애 학생의 수업 이해도를 높이고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동영상 강의 화면의 컨텐츠에대해 자동으로 음성 해설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안한다. 우선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요구사항 분석과 프로토타입 테스트가 선행되었다. 가장 먼저, 화면 별로 알맞은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별 등장 시점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프레임과 이미지 간 유사도 판별 알고리즘을 통해 화면 전환 시점과 슬라이드 번호를 파악한다. 이어서 각 슬라이드 내의 텍스트, 이미지, 표를 중심으로 해설본을 생성한 뒤, Text-to-Speech 기술을 사용하여 해설본을 음성으로 낭독해주는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원본 강의와 해설 영상을 슬라이드 등장 순서에 알맞게 병합한다. 사용성 평가 실험을 진행한 결과, 제안한 서비스를 사용하여 화면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 때 강의 내용 이해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림과 표와 같은 개체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때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서비스가 시각장애 학생의 동영상 강의 수강 시 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공정성의 조절효과 분석: 공무원 직급별 비교를 중심으로

        소정,이수영,조소 한국거버넌스학회 202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30 No.3

        코로나 19 이후 인사체계 전반에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이 비교되면서 공직 침체 분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하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전체 공무원을 관리자 직급과 비관리자 직급으로 나누어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도에 유의하게 부(-)의 영향력을 미치며, 조직 내 공정성에 대한 인식은 이를 완화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무원 전체 및 비관리자 직급의 경우 분배공정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 사이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관리자 직급의 경우 상호작용공정성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극복과 조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서 조직 내 공정성의 확보가 중요하며, 직급별로 다른 관리 기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감소 및 조직효과성 제고를 위한 이론 및 조직 관리적 관점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mpirically elucid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public servants, aiming to deriv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alleviating job stress and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job stress significantly exerts a nega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can act as a mitigating mechanism. Distributive justice manifest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r the overall group of public servants and non-managerial ranks, while interactional justice exhibit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r managerial rank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ecuring organizational justice as a moderating variable positively influencing the alleviation of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mong public servants, with implications for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public servants’ rank. Overall,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al dynamics in the context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rovides insights for practitioners seeking to improve job stress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in public service settings.

      • KCI등재

        샘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 분석을 통해 본 한국 다문화주의의 발전과 한계

        소정(Sojeong Park),김지윤(Jiyoon Kim),장시(Siyeon Jang),채태준(Taejun Cha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6 No.1

        본 연구는 최근 형성되고 있는 국내의 복잡한 다문화주의의 지형과 새로운 인종주의적 현상들을 배경으로 가나 출신의 방송 스타인 샘 오취리를 통해 한국 다문화주의의 발전과 한계를 짚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취리는 국내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스타덤을 형성했지만 블랙페이스 문제와 관련된 이른바 ‘관짝소년단 논란’을 겪으면서 활동을 중단한 인물로서, 본 연구는 그를 한국 미디어와 사회의 다문화성을 진단하는 하나의 담론적 텍스트로 바라본다. 스타 이미지란 스타 개인이 보유한 특정 성질만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 및 대중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때, 인종적 성격과 스타로서의 성격의 접합을 통해 만들어진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와 인종주의의 한 단면을 드러낸다.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를 구성하는 홍보, 평판, 역할, 비평 영역의 미디어 텍스트들을 관찰한 결과, 오취리는 유사 한국인으로서, 한국적 정서를 매개하는 재담꾼으로서, 한국의 다문화성을 증명해줄 흑인의 대표자로서의 이미지를 통해 한국 미디어 및 사회 안에서 긍정적으로 포용될 수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관짝소년단 논란은 대중들이 이러한 이미지를 벗어난 오취리를 발견하게 된 계기였고, 오취리의 이미지는 흑인에게 부여되어 온 종래의 부정적 관념들로 대체 및 재구성되었다. 오취리의 스타 이미지가 구축 및 해체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주의에 내재한 모순 및 한계를 다양성, 대표성, 진정성의 차원에서 개념화하여 논의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주의가 언제든 타자성을 복원할 수 있는 불안정한 담론에서 단단한 토대를 지닌 일상의 감수성으로 성장해야 함을 주장한다. Facing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ism and the emerging racial issu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ism through the case of Sam Okyere, a Ghanaian TV star in South Korea. Appearing on various Korean TV programs, Okyere has formed stardom but discontinued his activities due to the recent controversy on blackface. We interpret him as a discursive text through which we can diagnose the multiculturality of Korean media and society. As star image is not merely formed by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star, but in a relation to society and the public, Okyre’s star image articulated by his racial traits and star personality reveals the current stage of multiculturalism and racism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looks into various media texts that arguably function as promotion, publicity, role, and criticism in making star image. The findings show that Okyere was embraced in the Korean media and society through the star image as a ‘quasi-Korean’, ‘raconteur’ who successfully understood and mediated Korean humour, and ‘representative of black people’ that proved the advancement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However, the controversy of blackface deviated his star image, and his image was thereby replaced and reconfigurated with the conventional negative stereotypes on black people. Exploring how Okyere’s star image is constructed and dismantled, this study discusses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embedded in Korean multiculturalismty. Finally, this study argues for a higher cultural sensitivity to multiculturalism and anti-racism.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