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산어촌 관계인구 현황과 의의

        성주인,송미령,한이철,정학성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2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Vol.- No.208

        인구 감소, 저출생·고령화, 국토 불균형으로 인한 지속가능성 위기 속에서 농산어촌이 지닌 잠재력 부상 • 인구 감소, 저출생·고령화 심화, 인구와 자원의 수도권·대도시 집중이 지속된 결과 국민의 삶의 질이 저하되고 국가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음. • 반면 2010년경부터 귀농·귀촌 인구 유입 추세가 꾸준히 이어지며, 농산어촌에서 자신의 버킷리스트를 실현할 의향을 지닌 도시민도 폭넓게 분포하고 있어 농산어촌이 국민들의 주거 및 여가 장소이자 자아 실현을 위한 활동 공간으로 부상함. 폭넓은 관계인구 저변은 농산어촌 활성화의 새로운 기회요인이 될 전망 • 관계인구는 정주인구와 교류인구의 중간 개념으로서, 특정 지역에 완전히 이주·정착하지 않았으나 정기·비정기적으로 지역을 방문하면서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람을 의미함. • 도시민 조사 결과 특정한 활동을 위해 지속적으로 농산어촌에 방문하는 실질적 관계인구는 도시민의 19.3%로 추정되고, 부모·지인 방문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농산어촌 관계인구는 35.3%로 추정되며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농산어촌 관계인구는 잠재적 정주인구, 지역공동체 사업을 이끄는 인적 자원, 지역사회에 대한 외부 지원 세력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농산어촌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 농산어촌에서 희망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도시민 입장에서도 버킷리스트 추구 및 자아실현의 기회가 되는 등 관계인구 확대 전략은 도농상생 균형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음. 기존 귀농·귀촌 정책을 확대하여 관계인구의 농산어촌 활동을 강화하는 정책 추진 필요 • 현행 정책은 창업·창농, 취업·취농 및 이주·정착 지원에 집중됨. 향후 도시민들이 농산어촌에 관심을 갖고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경제·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며 관계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함. • 특히 관계인구의 수요가 높은 농산어촌 정보 제공, 빈집·임대주택 등 체류할 공간 지원, 생활서비스 확충, 일자리 지원, 도시민의 농산어촌 활동을 돕는 지역 조직 지원 등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

      • 제2장 농촌정책의 새 지평, 농촌 재생

        성주인,한이철,민경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연구보고서 Vol.- No.-

        1) 왜 농촌 재생인가 ∙ 농촌 지역은 인구 과소화와 주민 고령화 심화 문제를 겪어 왔으며, 대도시는 극심한 집값 상승과 교통 혼잡, 생활비 증가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런데 최근 농촌의 잠재력을 살려서 도시와 농촌이 처한 문제에 동시에 대응하는 ‘농촌 재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특히 코로나 19 확산으로 저밀도 분산 사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농촌은 한국판 뉴딜의 핵심공간으로 조명받고 있다. 이처럼 농촌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황이지만, 농촌 공간의 재생을 위한 비전, 전략, 방향 등은 제시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구체화가 요구된다. 2) 농촌 재생의 여건과 과제 ∙ 농촌 인구는 1970년대 이후 줄곧 감소하다가 2015년 무렵부터 증가 추세로 반전되는 극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장래 농촌 인구는 2015년 936만 명에서 2040년 1,015만 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하지만 대도시 근교지역과 나머지 지역 간 인구 격차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과거에 비해 농촌 주민들의 정주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농촌의 정주 기반과 서비스 이용 여건은 취약하다. 코로나19의 확산은 정주공간으로서 농촌의 잠재력과 수요를 높이는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농촌의 열악한 기초생활서비스의 문제점을 더욱 확실히 드러내는 측면도 있다. ∙ 농촌이 지닌 강점인 환경‧경관 자원이 훼손되고 가치가 저하되는 사례가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농촌다운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난개발 시설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농촌 마을이 공동화되는 가운데 분산적인 주거지 개발이 함께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장래 지속 가능한 농촌 정주체계 형성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공간 정비가 필요하다. 3) 국내‧외 사례와 시사점 ∙ 농촌에서 새로운 활동을 하려는 도시민들의 요구를 실현하도록 도움으로써 인구 과소화 완화 및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려는 시도들이 사례에서 확인된다. 국내외 사례지역에서 기반이 부족한 청년층 등이 원활히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 일자리 등을 제공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 유휴 시설을 활용한 서비스 거점시설을 매개로 농촌의 불리한 정주 여건을 극복하려는 창의적인 시도가 여러 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다. 나아가 스마트 기술 인프라가 적절히 뒷받침되어 농촌이 새로운 경제활동 장소로 떠오르는 사례들도 확인된다. ∙ 농촌 자원의 가치 제고, 주거환경 보전을 위해 지역 구성원들이 주도하는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여러 사례들이 보여준다. 따라서 지역 단위에서 이러한 활동이 확산되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시책이 요청된다. 4) 농촌 재생의 방향과 과제 ∙ (도농상생에 입각한 지역 활성화) 농촌 재생은 현재 농촌에 거주하는 주민과 농업인만이 아니라 도시민을 포함한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지역에서 다양한 인적 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다양한 유형의 도시민 주거공간을 조성하고, 사회적 경제 영역의 일자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조화로운 농촌 공간 형성) 농촌이 보유한 가치 있는 자원을 살리고 매력도를 높이는 데 역점을 둔다. 조화롭고 쾌적한 농촌다운 주거환경을 되살리기 위한 공간 정비 시책을 확대한다. 농촌공간정비프로젝트를 시범 추진하며, 이를 바탕으로 전국적으로 사업을 확대하도록 제도화 및 국민 공감대 형성을 추진한다. ∙ (필수적인 생활서비스 수준 확보) 다양한 연령‧계층의 주민들이 도시가 아닌 농촌에서도 필수적인 생활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여 분산 거주 시대에 국민들이 원하는 곳에서 불편 없이 살아갈 수 있도록 뒷받침한다. 미래형 스마트 기술을 농촌 생활서비스 개선에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실험을 추진해야 한다. ∙ (정책 추진 방식 변화) 지역별로 특성화된 농촌 재생 모델을 지역 주체들이 추진할 수 있도록 농촌협약을 바탕으로 하여 부처 사업들을 연계 지원하는 체계를 정립한다. 기존 주민, 귀농‧귀촌인, 도시 창조계층, 청년 등 다양한 인적 자원이 참여하는 지역활동그룹을 형성토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 재생 확산을 위한 지역 단위 거버넌스를 구축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