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시대의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성욱준(Sung, Wookjoon) 서울행정학회 2014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스마트폰의 초기 확산이 정보리터러시와 정보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속변수는 정보이용능력이며, 주요 변수로 스마트 기기의 보유 여부,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서 성별, 연령, 교육, 소득 등을 사용하였다. 특히 스마트 기기에 대한 정보격차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보유여부를 조절변수로 하여 성별, 연령, 교육,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 기기의 보유는 정보리터러시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었다. 둘째, 스마트시대에도 성별, 교육, 소득이 정보격차에 영향을 주지만, 연령별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스마트폰의 보유 여부는 교육수준에 따른 정보리터러시의 격차 정도를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smart devices on the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divide issues. The dependent variable is digital literacy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access to smart device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nd age, and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education, income, occupation, and area of resid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used the retention of smartphone for interaction term. The research results reveal that smart devi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information literacy and also negate the effects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digital divide.

      • KCI등재

        게임 셧다운(shutdown)제 정책이 청소년의 게임사용시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성욱준(Sung, Wookjo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정부의 두 번에 걸친 셧다운제 정책이 청소년의 게임이용 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2010-2012년의 3년간 미디어 패널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청소년의 게임사용 시간이며 독립변수는 게임셧다운제, 부모의 게임통제, 물리적 게임 환경이다. 통제변수로는 나이, 성별, 소득, 주말여부, 특별한 날 여부, 방학 여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두 번에 걸친 게임 셧다운 제도는 모두 청소년의 게임이용 시간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앞으로 우리나라 게임규제 관련 정책 방향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olicies of online game shutdown on the game time of youth. The dependent variavle is the game time of youth. The dependent variavles are online game shutdown, Selective Shut Down System, the parent control of the game, physical game environment. Control variables include age, gender, income, weekend, a special day and vacation. The result shows the ploicies of both policies of shutdown were not affected. The policy change of online game regulation is required.

      • KCI등재

        개인정보보호법 입법 과정에 관한 연구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성욱준 ( WookJoon Sung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2

        이 연구는 개인정보보호법 제정 사례를 정책흐름모형을 이용한 시기별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노무현 정부시기에 초점사건의 대두와 대통령의 적극적 관심 하에 정책이 시작되어 정부의제의 창은 열렸지만, 정책선도자의 부재로 결정의제의 창이 열리지 않음으로써 정책 산출에 실패하였다. 이명박 시기에 정권 교체에서 오는 정치적 흐름의 변화와 행정안전부라는 정책선도자의 정책대안에 대한 지속적인 수정·협상 노력이 정책의 창을 통해 최종 정책 산출에 이르게 하였다. 이 사례는 우리나라의 입법과정에서 정치흐름과 정책선도자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고 있으며, 앞으로 정책흐름모형을 입법과정 분석에 보다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awmaking proc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by utilizing policy streams model. In Roh government(2003-2008), the window of decision agenda didn’t open due to the absence of policy entrepreneur although the window of governmental agenda opened by focuses event and the president’s attention. Policy actors failed to produce policy output. However, in Lee government(2008-2013), policy actors produced the policy output by the change of political stream(the regime change) and the role of policy entrepreneur(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is case shows once again that policy stream and policy entrepreneur in lawmak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Also researchers are able to apply policy streams model more widely in lawmaking process analysis.

      • KCI등재

        공공부문 스마트워크 정책수용요인에 대한 연구 -스마트워크센터 사용자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성욱준 ( WookJoon Sung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1

        이 연구는 공공부문 스마트워크센터 정책에 대한 사용자들의 정책수용요인을 분석하였다. 정책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기술적 측면의 수용요인(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보안 위험)과 정책적 측면의 수용요인(정책이해, 정부신뢰, 보상 기대, 조직문화, 지리적 접근성)으로 구성하였으며, 통제변수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나이, 학력, 직급, 재직기간, 사용회수)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지된 유용성, 정책이해, 지리접 접근성, 조직문화가 스마트워크센터 정책수용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워크센터의 지속적 확산을 위해 시설 및 기술의 개선과 함께 직무분석, 복무규정 개선, 조직문화의 개선 등과 같은 실질적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ceptance factors of smart work policy, using the user survey of smart work center.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policy acceptance were composed of technical aspect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risk) and political aspects (understanding of policy and trust in policy, perceived reward, organizational culture, geographical location as a requisite of promotion). Control variables were divided into sex, age, academic background, rank, period of service, and user experie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usefulness, policy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geographical accessibility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mart work center policy acceptance. In order to continuously disseminate smart work center in Korea, not only extension of installations of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expansion of facilities, but substantial changes such as adoption of job analysis, revision of Public Official Regulations, and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are also essential.

      • KCI등재

        공공부문 빅데이터 정책 활성화 연구

        성욱준 ( WookJoon Sung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2

        이 연구는 AHP 분석을 통해 공공부문 빅데이터 분석·활용의 확산을 위한 정책 우선과제를 도출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공부문 빅데이터 정책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는 기술·인프라 수준, 법·제도 수준, 인식·문화 수준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기술 인프라 수준은 기술개발과 인력양성으로, 법·제도 정비는 법제정비와 추진체계 정비로 나누었으며, 인식·문화 확산은 홍보·인식개선과 역기능우려 개선으로 중분류하는 등 총 12개의 세부 과제로 나누었다. AHP 설문 결과 법제 정비가 중요도와 긴급성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로 나타났고, 활용문화의 확산, 조직 내 추진체계의 정비 등이 우선 정책과제로 분석되었다.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outline policy priorities through AHP analysis that can upgrade big data policy in the public sector. Policy factors for big data diffusion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technology·infrastructure improvement, law·policy improvement, and awareness·culture improvement. Among total 12 policy challeng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p priorities in terms of importance and urgency were the enactment of Big Data Act, the of the big data awareness diffusion, the improvement of policy organization system, and the balance between the use of big data and privacy.

      • KCI등재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 정책수용 의도에 관한 연구: 개인의 인식과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장창기(Jang, Changki),성욱준(Sung, WookJoon)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정보화정책 Vol.29 No.1

        본 연구는 인공지능에 관한 개인의 인식과 디지털 정보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수준이 인공지능 기반 공공서비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2017년에 수행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수용모형과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개인의 긍정적 인식은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된 공공민원서비스에 대한 혜택에 대한 태도를 강화하고, 우려는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혜택과 우려를 모두 강화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프라이버시 염려보다는 개인이 인식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혜택을 통해 공공민원서비스를 이용할 의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개인의 지각된 혜택은 공공민원서비스 이용의도를 강화하고, 프라이버시 염려는 이용의도에 부정적 영향이 확인되었다. 특히, 프라이버시 염려보다는 지각된 이용 편의성과 유용성의 영향이 이용의도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관한 시민의 긍정적 인식 강화,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오류에 대한 책임 소재에 대한 제도적 보완, 프라이버시 보호와 관련된 기술적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individual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on the accep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ublic services. For empirical analysis,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planned behavior theory using survey data of 2017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ly, the positive perception of individual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lays a role in reinforcing attitudes toward benefits and reducing concerns about public service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Secondly,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reinforces both benefits and concern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ut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use public services was reinforced through the benef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erceived by individuals, rather than privacy concerns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benefits of individuals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reinforced the intention to use public civil services, and privacy concerns nega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a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as opposed to privacy concerns, further reinforces the intention to use. Both citizens" positive perceptions regard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nstitutional complementation of responsibility for error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e strengthened, and technical problems related to privacy protection are solved.

      • KCI등재

        온라인 콘텐츠 구독 서비스 이용에 대한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 제품 구매 성향, 성격 유형,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임지안 ( Lim Ji-an ),성욱준 ( Sung Wookjoon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 정보화정책 Vol.31 No.2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utilization of online contents subscription services. In this study, the current number of online contents services subscribed to i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conspicuous product purchasing tendencies, personality types, experience with online contents consumption, and digital literacy.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digital literacy, agreeableness, and sociability among personality traits, as well as experience with online contents consumption, significantly impact the use of online contents subscription services. However, conspicuous product purchasing tendencies and personality traits such as openness and extrover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tilization of online contents subscription services.

      • KCI등재

        방송 · 통신융합 환경에서 장애인 방송 접근 정책에 관한 연구

        이민상(Minsang Yi),성욱준(Wookjoon Sung)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5

        이 연구에서는 방송 · 통신 융합 환경에서 시 · 청각장애인용 TV 보급 사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사업의 개선 방안 후보로서 시 · 청각장애인용 TV 안 셋톱박스 내장, 시 · 청각장애인용 스마트 TV로 전환, 셋톱박스의 장애인 특화기능 개발 등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유료방송 및 TV 산업 관련 전문가, 장애인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각 대안들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대안을 추진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정부와 사업자간 협업 및 협업모델 구성을 통한 참여 사업자 확대, 참여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법 · 제도 개선을 위한 장애인 방송접근권 보장에 관한 고시 개정, 장애인 방송 기술 표준 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dissemination of TV for the blind and deaf in the convergence environment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s candidates for improvement of the project, it presents three alternatives: ①built-in set-top box in the TV, ②converting to a smart TV, and ③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functions for the disabled in the set-top box. Through interviews with pay-TV and TV industry experts and disability experts, their opinions on each alternative were collected. To promote alternatives, this study suggests: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s and companies, provision of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companies, and revision related law and broadcasting technology standards.

      • KCI등재

        스마트시대 정보보호정책에 관한 연구

        김동욱(Kim Dongwook),성욱준(Sung Wookjoo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정보보호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설문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정보보호 정책 및 전략에 관한 우선순위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HP 설문에서는 안전한 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정보보호 정책을 정보보호 기반분야, 정보보호 정책활동 분야로 나누었다<계층 1>. 이 중 정보보호 기반분야는 법제도기반, 인적기반, 기술적 기반, 사회적 인식으로 나누고, 정보보호 정책활동은 주요기반시설보호, 개인정보보호, 정보보호 산업진흥, 국가안보활동의 각 4가지로 나누었으며<계층 2>, <계층 3>을 다시 총 16개의 정보보호 정책 대안으로 세분하였다. 정보보호정책의 우선순위에 대한 분석 결과 정책중요도 측면에서는 법제도정비의 순위가 가장 높았고, 전문인력 처우개선과 추진체계 정비에 대한 정책요구가 높았다. 정책시급성 측면에서는 추진체계정비가 가장 높은 순위로 나타났고 법제도 기반정비, 전문인력 처우개선, 사이버침해대응 활동에 대한 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중요성과 시급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분석에서는 정보보호 관련 법제정비, 추진체계정비, 전문인력 처우개선 등이 중요도와 시급성이 모두 높은 최우선 정책과제로 나타났다. 최근 정보보호 관련 사고로 정보보호에 대한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정보보호 분야의 보다 체계적인 대응과 정책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ill propose the policy priorities of cyber information security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survey. The policy categories for AHP survey consist in the found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and activity of information security(1st hierarchy). In the second hierarchy, the foundation of information security was classified into laws-system, human resources, h/w-s/w technology and sociocultural awareness. And the activity of information security was divided into infrastructure protection, privacy protection, related industry promotion, and national security. Information policy alternatives were composed of 16 categories in the third hierarchy. According to the AHP result, in the perspective of policy importance, the modification of related laws was the first agenda in the policy priority, better treatment of professionals was the second, and the re-establishment of policy system was the third. In the perspective of policy urgency, the re-establishment of policy system was the first item, the modification of related laws was the second, and better treatment of professionals is the third.

      • KCI등재

        온라인 정치참여에서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 디지털 기기 이용자의 기기 운용 기술 격차를 중심으로

        장창기 ( Jang Changki ),성욱준 ( Sung Wookjoon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 정보화정책 Vol.27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digital divide between digital device usage motivation and operational skills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s 2018 digital divide survey data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8 and applying the Heckman selection model to control the sample selection bias that may occur between internet users and non-users. The result shows the gap in motivation and device operational skills of individual citizens using digital devices has significant impact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n socio-economic terms, it shows the age, education level and regional factors also have significant impact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while gender and income levels do not.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there are different patterns of digital divide between digital devices, identifying the motivation to use a digital device as an important factor for mobile device users, and the device operational skills, for personal computer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