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질적 연구

        서혜애 ( Hae Ae Seo ),박경희 ( Kyung Hee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 계발의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과학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 구성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2005년 기준 중학교과학교사로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1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교육교사의 전문성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은 과학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과학지식, 실생활 관련 과학지식, 과학사 및 과학관 지식, 일반 상식이었다. 그 다음 요인은 과학교육학 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과학탐구 능력교수방법 지식, 과학실험수행능력이었다. 셋째 요인은 과학영재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지식으로 하위요인은 창의성 교수방법 지식, 영재교수?학습방법 지식이었다. 넷째 요인은 교육학지식으로 하위 요인으로 학생에 대한 이해이며, 다섯째 요인은 교사전문성 계발 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연수 이수 필요성 인식, 전문가와 네트워크 구축, 교과연구회 등 연구단체 활동, 인터넷 활용, 팀티칭?공개 수업, 영재교육 학위추구이었다. 여섯째, 교사 성격적 특성으로 리더십, 적극적 태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to their professionalism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t middle school levels. Eighteen teacher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for a qualitative research. It was found that elements of professionalism in science gifted education include knowledge of science, knowledge of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gifted education, knowledge of general pedagogy, and 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It was suggested that science teachers of gifted education need to develop a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ism in order to maintain a high quality of science gifted education. Furthermore, inservice program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should reflect a balanc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erms of elements of professionalism.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한국 - 이스라엘 과학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효율성

        서혜애 ( Hae Ae Seo ),윤기순 ( Ki Soon Yoon ),권덕기 ( Duck Kee Kwon ),송방호 ( Bang Ho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Korea-Israel science teachers inservice program. Thirty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gram responded to pre- and post tests of the survey instrument on (a) their perceptions to creativity fostering sci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s of current education status and reform movement, (b) degrees of changes about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for fostering crea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c) their evaluative opinions on the program.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rogram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a pre-service workshop for the program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clearly realize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program through increase of participat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facing conditions of education, school policy, reform movement toward science education fostering creativity. Second, for the content of the program, creativity is more emphasized. Appropriate content and sufficient time arrangement for creativity will develop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 depth. Third, classroom observation of exemplary science teaching for fostering creativity should be sufficiently arranged. Fourth, amount of content and time allotment to Israel culture, religion, and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duced.

      • KCI등재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사변인별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권수(Gwon-su Seo),서혜애(Hae-Ae Seo)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수준을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교육청 영재교육기관에서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 가운데 의도적 표집방법으로 93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 측정도구(서혜애, 박경희, 2005)’의 설문조사지를 우편 및 e-mail로 실시하였으며, 2015년 7월부터 12월까지 기간에 걸쳐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교사변인별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ANOVA)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 수준은 영재교육기관, 영재교육경력, 영재교육비율, 최종학력, 연수이수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교육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변인에 따른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의 구성요소별 유의미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재교육원 교사가 영재학급에 비해 과학교육학지식(PCK) 및 교육맥락지식(ECK)이 높았으며, 남자교사가 여자교사에 비해 과학지식(SMK)이 높게 나타났다. 영재교육경력 5년차에 5개 구성요소들이 균형 있게 확보되었으나 3, 4년 차에는 인식수준이 낮아졌다. 석사 및 박사학위 교사들은 학사에 비해 과학교육학지식(PCK)과 영재교육학지식(GPK)이 높았으며 연수이시수간이 61-180시간일 때 과학지식(SMK)이 181시간 이상일 때 과학교육학지식(PCK), 과학영재교육과정지식(SCK), 영재교육학지식(GPK), 교육맥락지식(ECK)이 높았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level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suggest directions for establishing their professionalism effectively. The research subject includes 9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gifted education under a given Education Office. As for methodology, the ‘Scale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Seo & Park, 2005)’ was employed and administered via mail and e-mail between July and December,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5) in their perception levels of professionalism about teaching metho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career of gifted education, ratio of gifted education vs general education career, highest degree earned, and hours of in-service training for gifted educ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gender and career in general education. For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ments of their perception level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PCK) and educational context knowledge (ECK) were higher in gifted education center than gifted class;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SMK) were higher in male teachers than female teachers; all elements of SMK, PCK, science curriculum knowledge in gifted education (SCK),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in gifted education (GPK), and ECK were highest at the fifth year of gifted education career; PCK and GPK were higher for master and doctoral degree than bachelor degree earned teachers; SMK was higher at 61-180 hours and PCK, SCK, GPK, and ECK were higher at over 181 hour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an the other hours.

      • KCI등재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생명과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강희선(Heesun Kang)서혜애(Hae-Ae Seo)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3 과학영재교육 Vol.5 No.3

        본 연구는 생명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교 과학영재들에게 적용한 후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개발한 STEAM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었 다. 이 연구 목적에 따라, STEAM의 요소를 반영하고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과학영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광역시 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3학년 학생 24명에게 적용하였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TOSRA) 및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24명 가운데 일반학급 학생들보다 뛰어난 학생 9명을 선정하여 과학영 재집단으로 편성하고 나머지 15명은 일반학급 학생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학생들로서 통제집단으로 편성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과학영재집단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수업의 즐거움’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과학탐구 및 직업관심의 영역에서도 유의하지 않지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 조사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특히 과학영재학생들은 STEAM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생명과학과 기술이 연결되며, 과학이 일상생활과 밀접히 연결되는 점을 만족하 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생명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은 과학영재에게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권수(Seo, Gwon-su),서혜애(Seo, Hae-A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창의성은, 영재교육에서 핵심적으로 강조하는 교육방향이며, 초등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창의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따라 초등과학 영재교육의 성과도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교육청 소속 영재교사들 중 의도적으로 표집한 93명(전체 524명 중 17.7%)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우편 및 e-mail로 창의성의 정의에 대한 개방형 설문문항에 응답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의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주요 항목들을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창의성 구성요소의 주요 범주에는, 발산적 사고 요소에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유용성, 유연성, 합리성이, 정의적 행위에는 개인이 몰입하거나 호기심을 나타내는 내적 방향과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것, 이타적으로 기여하는 것,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 결과적 행위에 사고하는 것, 실천적으로 만들거나 발명하는 것, 문제를 해결하는 것, 연결적 행위에는 기존에 없던 것을 독립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의 독립 발현과 기존의 것을 재구성하는 것의 연결 발현으로 조사되었다. 일부 교사들은 창의성을 발산적 사고 요소의 새로움, 개인적 차원의 몰입, 나아가 사회적 맥락의 가치 등을 포함하여 균형 있게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을 균형 있게 이해하는 교사들은 주로 영재교육원 소속이며 최종학력이 석·박사, 영재교육 연수를 심화 이상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향후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Creativity is a key educational direction emphasized in gifted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will vary depending on how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perceive creativity. In this study, among gifted teachers belonging to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15, 93 teachers (17.7% of the total 524) were intentionally sampled and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subject respond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on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by mail and e-mai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components and categories of creativity, the main categories of creativity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ivergent thinking elements, affective behaviors, performing behaviors, and connecting behaviors. The components of divergent thinking include originality, fluency, sophistication, usefulness, and flexibility. The components of affective behaviors include that an individual has inside directions to show task commitment or curiosity, or outside directions to cooperate with others, contribute altruistically, and pursue social values. The components of performing behaviors include thinking, making and inventing, and solving problems while the components of connecting behaviors include creating new and noble things and reorganizing existing things. It was found that some teachers have a balanced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cluding novelty of divergent thinking elements, thinking or making behaviors, and even the value of social context. Teachers who perceive creativity in a balanced way mainly belong to the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findings about perceptions of creativit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이공계 기피현상의 경제적 진단

        장수명(Jang Soo-Myung),서혜애(Seo Hae-A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및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이공계 기피의 정도를 파악하고 경제적 원인의 일부를 분석하였다. 이공계 기피현상은 우수 학생의 이공계 탈출로 불릴 만큼 심각하고 체계적인 형태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공계 훈련의 상대적 고난도와 과잉배출로 인한 시장의 저평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공 수익률의 경우 공학계열은 사회ㆍ인문ㆍ예술계열보다 임금 및 소득이 평균적으로 높으나 수익률은 4~7%정도 높은 수준이며 동시에 경력에 따라 증가하기도 하나, 자연계열은 타 계열보다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학계열, 자연계열 모두 의약계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낮았다. 의약계열의 경우 자영업 소득을 포함하면 최근까지 경제적 지위가 꾸준히 상승되어 왔으나 이공계의 경제적 지위는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이공계 졸업자는 직업경력에서 불연속성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특히 공학계열의 소득과 직장 안정성에 대한 불만족도도 매우 높았다. 이공계 기피현상은 첫째, 이공계의 상대적 과잉공급, 둘째, 대학의 명성과 관계없이 급격히 높아진 의약계열의 경제적 수혜, 셋째, 제조업 중심의 이공계 인력 수요의 변화, 넷째, 질적 고양을 동반하지 않는 전반적인 고학력화와 대학 졸업자의 증가로 이공계 졸업자의 희소성 저하 등의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잠재적 이공계 진학자였던, 상대적으로 우수한 학생들은 대학의 명성을 따라 자연계열이나 공학계열로 진학하기보다 직장 안정성이 확보되는 의약계열, 사범계열, 법ㆍ행정계열 등 정원이나 시험을 통해 노동시장에서 어느 정도의 독점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 학과로 분산하여 진학하는 것으로 고찰된다. The study aims to diagnose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voidance phenomenon through the analysis of scores of the national scholastic ability examin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and the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Science and engineering avoidance among students with high and middle level of academic ability has been very extensive and systemic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return to engineering majors was a little bit higher than those of social science, humanity, and art majors while the rate of return to natural science major was much lower than most other majors. The rates of return to both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medical majors. While the economic status of two majors has been deteriorated, that of medical majors has been better than before, which seems to attract many high achievers of high school graduates. Compared to other majors,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are also expected to experience more frequent discontinuity in their job careers, income unstability and lower job security in their career paths, and dissatisfaction with their incomes and job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claims that over supply of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s with changes in demand due to structural change from manufacturing industries to service industries can cause this deterioration of economic status of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which results in the severe avoidance of those majors among prospective college students. Some of potential entrants in these majors now seem to choose medical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social science that have better job prospects.

      • KCI등재

        잘 알려진 창의적 과학자들의 과학적 문제 발견 패턴 분석

        김영민 ( Young Min Kim ),서혜애 ( Hae Ae Seo ),박종석 ( Jong Seok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7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는 과학 창의성의 계발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창의성으로서 과학자들의 문제 발견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사례별 당시의 과학사적 상황, 문제발견의 과정 및 문제 해결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 10명이 과학사적 사건을 발견할 때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문제 발견의 패턴은 다음과 같은 5가지 패턴으로 발견되었다. 패턴 1의경우는 당시의 이론이나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모순 또는 오류를 발견함에 의해 과학적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라부아지에, 멘델, 왓슨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2의 경우는 당대의 지식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이상한 현상을 관찰함에 의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러더퍼드와 뢴트겐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3의 경우는 비유 추론에 의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카르노와 영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4의 경우는 새롭게 발명된 관찰 또는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갈릴레이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5의 경우는 연구 프로젝트 수행 중에 그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패러데이와 케플러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Nurturing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is considered an important element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ims to explore patterns displayed by well-known scientists in their quest for problem finding. Each case of scientists`` course of problem solving is described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 a process of problem finding, and a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re are five patterns from ten scientists which are as follows: Pattern 1 is that scientists find problems from insufficiencies and/or errors from explanation of theories at the time and the related cases are A. Lavoisier, G. Mendel, and J. Watson. Pattern 2 shows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because of strange phenomena unexplained by theories at the time, and here important case studies are E. Rutherford and W. Rontgen. Pattern 3 demonstrates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from analogical reasoning between known theories and unknown science phenomena. The cases include S. Carnot and T. Young. Pattern 4 points to the fact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while they utilize a newly invented experimental instrument. Here, G. Galilei is an important example. Pattern 5 establishes that scientists happen to find a problem while they conduct research projects. The works of M.Faraday and J. Kepler are prominent case studies related to this pattern.

      • KCI등재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문헌분석 대 사회네트워크분석

        윤진아 ( Jin A Yoon ),서혜애 ( Hae-ae Se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3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 및 영재교육 전문학술지8종에 게재된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구논문 총275편에 대해 문헌분석과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의 연구방법을 동시에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문헌분석에서는 분석틀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의 분류범주를 설정하였으며, SNA방법에서는 논문별 제시된 영문 저자 키워드를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는 인지적 특성(25.8%), 교육과정/프로그램(22.6%), 사회·정서적 특성(20.2%)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조사연구(46.5%), 실험연구(18.8%), 프로그램개발(10.6%), 상관연구(10.3%), 질적연구(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서는 중학생 대상연구(33.7%)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30.6%), 고등학생(12.7%)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SNA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영재교육 연구에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creativity의 3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가장 빈번히 활용된 키워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gifted, creativity, science inquiry, percep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high school, scientific attitude, STEAM 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주제-키워드 이원모드(2-mode)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인식, 사고양식, 과학적 논쟁, 과학탐구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사회 ·정서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관연구, 동기, 창의인성, 자기 효능감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A방법은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 제시함으로써 연구동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research tren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of six years from 2010 to 2015 by utilizing literature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In this study, 275 papers published in eight major academic journals of scienc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research topics were cognitive characteristics (25.8%), curriculum/programs (22.6%), and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20.2%). For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in research papers, the survey research (46.5%) was appeared as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method, and followed by experimental (18.8%), program development (10.6%), correlation (10.3%), and qualitative (6.4%) research methods. The most frequent research subject was appeared as middle school students (33.7%) and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30.6%), and high school (12.7%) students. Second, the SNA method was utilized for producing keyword frequency, degree centrality and network analyses. It was appeared that the most common keywords over six years included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and `creativity` and frequent keywords were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gifted, creativity, science inquiry, percep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high school, scientific attitude, and STEAM. Third, through 2-mode network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papers about cognitive characteristics were mainly related to perceptions, thinking ability,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inquiry and so 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search papers about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correlation, motivation, creativity-character, self-efficiency and so on. It was concluded that the SNA method can be performed with literature analysis together for better understandings and interpretations of the research trend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n-dep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