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질적 연구

        서혜애 ( Hae Ae Seo ),박경희 ( Kyung Hee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교사교육연구 Vol.49 No.2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 계발의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과학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 구성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2005년 기준 중학교과학교사로서 과학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1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교육교사의 전문성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은 과학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과학지식, 실생활 관련 과학지식, 과학사 및 과학관 지식, 일반 상식이었다. 그 다음 요인은 과학교육학 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과학탐구 능력교수방법 지식, 과학실험수행능력이었다. 셋째 요인은 과학영재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지식으로 하위요인은 창의성 교수방법 지식, 영재교수?학습방법 지식이었다. 넷째 요인은 교육학지식으로 하위 요인으로 학생에 대한 이해이며, 다섯째 요인은 교사전문성 계발 지식으로 하위 요인은 연수 이수 필요성 인식, 전문가와 네트워크 구축, 교과연구회 등 연구단체 활동, 인터넷 활용, 팀티칭?공개 수업, 영재교육 학위추구이었다. 여섯째, 교사 성격적 특성으로 리더십, 적극적 태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to their professionalism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t middle school levels. Eighteen teacher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for a qualitative research. It was found that elements of professionalism in science gifted education include knowledge of science, knowledge of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gifted education, knowledge of general pedagogy, and knowledge of educational contexts. It was suggested that science teachers of gifted education need to develop a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ir professionalism in order to maintain a high quality of science gifted education. Furthermore, inservice program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eachers should reflect a balanc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erms of elements of professionalism.

      • KCI등재

        창의성 계발 과학교육을 위한 한국 - 이스라엘 과학교사 연수프로그램의 효율성

        서혜애 ( Hae Ae Seo ),윤기순 ( Ki Soon Yoon ),권덕기 ( Duck Kee Kwon ),송방호 ( Bang Ho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Korea-Israel science teachers inservice program. Thirty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program responded to pre- and post tests of the survey instrument on (a) their perceptions to creativity fostering sci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s of current education status and reform movement, (b) degrees of changes about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implementing teaching methods for fostering crea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c) their evaluative opinions on the program.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rogram were proposed as follows: First, a pre-service workshop for the program should be provided in order to clearly realize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program through increase of participat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facing conditions of education, school policy, reform movement toward science education fostering creativity. Second, for the content of the program, creativity is more emphasized. Appropriate content and sufficient time arrangement for creativity will develop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 depth. Third, classroom observation of exemplary science teaching for fostering creativity should be sufficiently arranged. Fourth, amount of content and time allotment to Israel culture, religion, and education system should be reduc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권수(Seo, Gwon-su),서혜애(Seo, Hae-A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창의성은, 영재교육에서 핵심적으로 강조하는 교육방향이며, 초등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창의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따라 초등과학 영재교육의 성과도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교육청 소속 영재교사들 중 의도적으로 표집한 93명(전체 524명 중 17.7%)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우편 및 e-mail로 창의성의 정의에 대한 개방형 설문문항에 응답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의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주요 항목들을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창의성 구성요소의 주요 범주에는, 발산적 사고 요소에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유용성, 유연성, 합리성이, 정의적 행위에는 개인이 몰입하거나 호기심을 나타내는 내적 방향과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것, 이타적으로 기여하는 것,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 결과적 행위에 사고하는 것, 실천적으로 만들거나 발명하는 것, 문제를 해결하는 것, 연결적 행위에는 기존에 없던 것을 독립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의 독립 발현과 기존의 것을 재구성하는 것의 연결 발현으로 조사되었다. 일부 교사들은 창의성을 발산적 사고 요소의 새로움, 개인적 차원의 몰입, 나아가 사회적 맥락의 가치 등을 포함하여 균형 있게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을 균형 있게 이해하는 교사들은 주로 영재교육원 소속이며 최종학력이 석·박사, 영재교육 연수를 심화 이상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향후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Creativity is a key educational direction emphasized in gifted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will vary depending on how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perceive creativity. In this study, among gifted teachers belonging to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15, 93 teachers (17.7% of the total 524) were intentionally sampled and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subject respond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on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by mail and e-mai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components and categories of creativity, the main categories of creativity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ivergent thinking elements, affective behaviors, performing behaviors, and connecting behaviors. The components of divergent thinking include originality, fluency, sophistication, usefulness, and flexibility. The components of affective behaviors include that an individual has inside directions to show task commitment or curiosity, or outside directions to cooperate with others, contribute altruistically, and pursue social values. The components of performing behaviors include thinking, making and inventing, and solving problems while the components of connecting behaviors include creating new and noble things and reorganizing existing things. It was found that some teachers have a balanced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cluding novelty of divergent thinking elements, thinking or making behaviors, and even the value of social context. Teachers who perceive creativity in a balanced way mainly belong to the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findings about perceptions of creativit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uture.

      • KCI등재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문헌분석 대 사회네트워크분석

        윤진아 ( Jin A Yoon ),서혜애 ( Hae-ae Se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科學敎育硏究誌 Vol.40 No.3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 과학영재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 및 영재교육 전문학술지8종에 게재된 과학영재교육 관련 연구논문 총275편에 대해 문헌분석과 사회네트워크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의 연구방법을 동시에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문헌분석에서는 분석틀로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의 분류범주를 설정하였으며, SNA방법에서는 논문별 제시된 영문 저자 키워드를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는 인지적 특성(25.8%), 교육과정/프로그램(22.6%), 사회·정서적 특성(20.2%)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조사연구(46.5%), 실험연구(18.8%), 프로그램개발(10.6%), 상관연구(10.3%), 질적연구(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서는 중학생 대상연구(33.7%)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30.6%), 고등학생(12.7%) 순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SNA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영재교육 연구에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creativity의 3개 키워드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가장 빈번히 활용된 키워드는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gifted, creativity, science inquiry, percep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high school, scientific attitude, STEAM 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주제-키워드 이원모드(2-mode)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인식, 사고양식, 과학적 논쟁, 과학탐구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타났다. 사회 ·정서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상관연구, 동기, 창의인성, 자기 효능감 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A방법은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 제시함으로써 연구동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a research tren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of six years from 2010 to 2015 by utilizing literature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In this study, 275 papers published in eight major academic journals of scienc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research topics were cognitive characteristics (25.8%), curriculum/programs (22.6%), and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20.2%). For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in research papers, the survey research (46.5%) was appeared as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method, and followed by experimental (18.8%), program development (10.6%), correlation (10.3%), and qualitative (6.4%) research methods. The most frequent research subject was appeared as middle school students (33.7%) and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30.6%), and high school (12.7%) students. Second, the SNA method was utilized for producing keyword frequency, degree centrality and network analyses. It was appeared that the most common keywords over six years included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and `creativity` and frequent keywords were science gifted, gifted education, gifted, creativity, science inquiry, percep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science high school, scientific attitude, and STEAM. Third, through 2-mode network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search papers about cognitive characteristics were mainly related to perceptions, thinking ability,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inquiry and so 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research papers about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correlation, motivation, creativity-character, self-efficiency and so on. It was concluded that the SNA method can be performed with literature analysis together for better understandings and interpretations of the research trend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n-depth.

      • KCI등재

        잘 알려진 창의적 과학자들의 과학적 문제 발견 패턴 분석

        김영민 ( Young Min Kim ),서혜애 ( Hae Ae Seo ),박종석 ( Jong Seok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7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는 과학 창의성의 계발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창의성으로서 과학자들의 문제 발견에서 나타나는 패턴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사례별 당시의 과학사적 상황, 문제발견의 과정 및 문제 해결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자 10명이 과학사적 사건을 발견할 때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문제 발견의 패턴은 다음과 같은 5가지 패턴으로 발견되었다. 패턴 1의경우는 당시의 이론이나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모순 또는 오류를 발견함에 의해 과학적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라부아지에, 멘델, 왓슨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2의 경우는 당대의 지식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이상한 현상을 관찰함에 의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러더퍼드와 뢴트겐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3의 경우는 비유 추론에 의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카르노와 영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4의 경우는 새롭게 발명된 관찰 또는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새로운 현상을 관찰함으로써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갈릴레이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패턴 5의 경우는 연구 프로젝트 수행 중에 그 연구와 관련된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는 것으로, 패러데이와 케플러의 문제 발견이 포함되었다. Nurturing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is considered an important element in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aims to explore patterns displayed by well-known scientists in their quest for problem finding. Each case of scientists`` course of problem solving is described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 a process of problem finding, and a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re are five patterns from ten scientists which are as follows: Pattern 1 is that scientists find problems from insufficiencies and/or errors from explanation of theories at the time and the related cases are A. Lavoisier, G. Mendel, and J. Watson. Pattern 2 shows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because of strange phenomena unexplained by theories at the time, and here important case studies are E. Rutherford and W. Rontgen. Pattern 3 demonstrates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from analogical reasoning between known theories and unknown science phenomena. The cases include S. Carnot and T. Young. Pattern 4 points to the fact that scientists find a problem while they utilize a newly invented experimental instrument. Here, G. Galilei is an important example. Pattern 5 establishes that scientists happen to find a problem while they conduct research projects. The works of M.Faraday and J. Kepler are prominent case studies related to this pattern.

      • KCI등재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중하 집단별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의 영향

        김동화 ( Dong Hwa Kim ),서혜애 ( Hae Ae Seo ),김미정 ( Mi Ju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3 No.2

        우리나라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영역에서 참여국가 65개국 가운데 4~7위로 상위권 국가에 포함되었으나, 제6수준의 최상위 집단에 포함되는 학생 비율은 1.1%로 18위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최상위 집단의 성적 저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ISA 2009 과학성취도 상위 집단에게 미치는 동기적 요소의 읽기태도 및 행동적 요소의 읽기방법의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PISA 2009 과학성취도 자료와 학생용 설문조사 문항에서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에 관련되는 변인을 추출하였다. PISA 2009 과학성취도와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 간에 인과관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중위, 하위집단 모두의 과학성취도에는 읽기태도 및 읽기방법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위 집단은 읽기방법에서 암기학습이 과학성취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위 및 하위 집단은 암기학습이 과학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is reported as one of the highest performing OECD countries in PISA 2009 science achievement, ranking 4th ~ 7th among 65 participating countries. However, the top level 6 percentage came only at 1.1% and ranks 18th among paticipating countries. Such dissatisfying results call for attention to seek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top level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ading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on PISA 2009 science achievement for the population who scored high compared to populations scoring middle and low. For this purpose, PISA 2009 science achievement as well as students questionnaire data were utilized. Variables of reading motiva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were select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examine a hypothetical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factors and science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factors and science achievement for the whole population. For those in the top 16% of students in PISA 2009 science achievement, reading behaviors on text-memorization, texts have had little or no effects, while reading motivational and other behavioral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In contrast, the middle 68% and low 16% populations have had significant effects for text-memorization on science achievement.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학습양식 유형과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관계

        이우경 ( Wo Kyung Lee ),서혜애 ( Hae Ae Se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상위학년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 연구방법으로, 학습양식 유형의 특징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개교 소재 5학년 학생 146명(남학생 82명, 56.2%)을 대상으로 학습양식 조사지(Grasha & Riechman, 1974)과 자기조절 학습능력 조사지(손종식, 1994; Printrich & De Groot, 1990)를 실시한 후 응답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양식 유형을 조사하고, 이들의 학습양식 유형별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학습양식 조사지는 독립형, 의존형, 경쟁형, 협력형, 참여형, 회피형의 6개 학습양식 유형을 평가하는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기조절 학습능력 조사지는 인지전략, 자기조절, 동기-자기효능감, 동기-내적가치, 동기-학업불안의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총9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양식의 유형에는 여학생과 남학생의 성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이 학습양식 유형의 특징은 독립형, 협동형, 경쟁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 3개 학습유형별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독립형이 유의한(p<.01) 높은 상관관계(.72)를 보이며, 협동형의 유의한(p<.01) 상관관계(.38)는 독립형에 비해 낮았으며, 한편 경쟁형은 유의한(p<.01) 음의 상관관계(-.61)를 보였다. 셋째, 학습유형 가운데 협동형 대 경쟁형의 대립적 특징에 근거하여, 독립형이면서 협동하고 나아가 경쟁하지 않으려는 독립-협력-비경쟁형(n=23)의 학습양식의 특징을 가진 학습유형 학생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은 독립-경쟁형(n=91)이나 독립-협동형(n=18)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높이는 효과적 지도방안은 독립형, 협동형이면서 비경쟁형의 학습유형에 부합하는 수업으로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among students at an elementary school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and their relationships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through a survey. The learning style instrument scale employ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Grasha & Riechman (1974) to assess six learning styles, with 36 items and six items for each independent, dependent, avoidant, participant, collaborative, and competitive. A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questionnaire by Printrich & De Groot (1990) was developed and modified by Son (1994) was utilized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ith 90 items for cognitive strategy (23 items), self-regulated (11 items), motivational-self-efficacy (25 items), motivational-intrinsic value (8 items), and motivational-anxiety in study (23 items). Two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46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82 boys, 56.2%) in November 26-27, 2010. The research result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ir learning styles, while their distinct learning styles included independent, collaborative, and competitive learning styles. Regarding their relationship of the three different learning styles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independent learning style significantly related wit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72 (p<.01),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ith r=.38 (p<.01), and competitive learning style with r=-.61 (p<.01). In addition, a combination of learning styles were categorized as independent-collaborative (n=91), independent-competitive (n=18), and independent-collaborative- noncompetitive (n=23) and their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compared and found that independent-collaborative-non-competitive learning styles were higher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than those of both independent-collaborative and independent-competitive learning styles.

      • KCI등재

        국립부산과학관 탐방학습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

        신명렬(Shin, MyungRyeol),서혜애(Seo, Hae-A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과학관 탐방학습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선호하는 전시물과 질문유형의 특징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 40명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첨단과학기술창의캠프’에 참가하였으며, 이들이 탐방 전 온라인 전시물을 시청한 후 작성한 사전조사지와 과학관 탐방 시 전시물을 직접 관람, 체험한 후 작성한 사후조사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호하는 전시물에 대한 질문들은 수집자료를 토대로 개발한 기본형, 탐색형, 분석형, 사고형, 확장형, 복합형의 6개 질문유형 분석틀을 활용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들은 과학관 전시물 중심소재(자동차, 항공우주, 선박, 에너지, 방사선의학)와 주제영역(과학원리, 산업기술, 첨단과학)별 선호하는 전시물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과학영재들은 과학관에서 4개 중심소재의 가장 선호하는 전시물 4개의 연출형태는 작동모형을 포함하는 복합형의 특징을 보였다. 셋째, 초등과학영재들이 온라인 사이버 상 전시물들을 시청한 후, 사전조사지에 제시한 질문유형의 비율은 기본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과학영재들이 과학관을 탐방하여 전시물들을 실제 관람하고 체험한 후, 사후조사지에 제시한 질문유형의 비율은 평균적으로 탐색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사전-사후 5개 중심소재별, 3개 주제영역별, 전공별 선호도와 질문유형 비율에서 두드러지는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과학관 전시물은 초등과학영재들이 개방적이며 발산적인 질문을 유도하는 내용과 연출형태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s and question types preferred by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during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at a science museum,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The research subject of 40 students participated in an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creativity camp’ and responded to pre- and post survey instruments respectively with nine questions about exhibits. The students’ questions were analyzed by using an analysis framework of six questioning types; basic, exploring, analyzing, thinking, extended, and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preferred exhibits by three subject areas; science principles, industrial technology, and advanced science and five main topics; vehicle, aerospace, naval architecture, energy, and radiation medicine. Second,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preferred specific exhibits which allow them to operate autonomously as direct experience. Third, the basic type of questioning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pre-survey. Fourth, the exploring type of questioning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post-survey. Overall, there were distinct differences in preferred exhibits and questioning type ratio among three subject areas and five main topics between pre- and post survey. It was conclud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science museum exhibits to more actively secure the form and quality of the presentation that induces more open and divergent questions for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 KCI등재

        과학영재들이 문제발견 과정에서 나타내는 과학개념 연결방식과 융합적 사고의 특징

        박미진 ( Mi-jin Park ),서혜애 ( Hae-ae Se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2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문제발견 과정에서 나타내는 과학개념 연결방식과 융합적 사고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학년도 광역시 소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심화과정 전공영역별로 지원한 228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대상은 선발과정 1차전형에서 실시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0%에 속하는 67명을 상위집단으로, 하위 30%에 속하는 64명을 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두 집단에 속하는 총131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검사도구 문항은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소리, 전기, 무게, 온도, 호흡, 광합성, 날씨, 지진의 과학개념 8개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검사문항은 과학개념 8개 가운데 가장 선호하는 과학개념 2개를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생성하도록 제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이 진술한 과학적 질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은 심화과정 전공영역에 따라 과학개념 연결 선호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과학적 질문에서 나타난 과학개념 연결방식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먼저관계, 유사성, 비유사성에 근거한 연결방식으로 분류하였다. 나아가 관계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속성, 수단, 영향, 예측, 원인, 측정, 현상으로, 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속성, 대상, 과학적 원리, 현상에 근거한 연결로, 비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병렬, 자원, 제거에 근거한 연결로 세분화하였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간에 과학개념 연결방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p <.000) 차이를 보였다.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서로 다른 과학영역에 해당하는 개념을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더 많이 생성하였으나,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해 동일한 과학영역 내 개념들을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더 많이 생성하였다. 상위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유사성에 근거한 과학개념 연결방식을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나타낸 반면, 하위집단은 상위집단에 비해 비유사성에 근거하여 단순하게 병렬시키는 연결을 더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the science gifted connect and integrate science concepts in the process of problem finding. Research subject was sampled from 228 applicants for a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a university in 2015. A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CPST) in science, which administered as an admission process, was utilized as a reference to sample two groups. Sixty-seven students from top 30% in test scores were selected for the upper group and 64 students from bottom 30% in test scores were selected for the lower group. The CPST, which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included one item about how to connect two science concepts among eight science concepts, sound, electricity, weight, temperature, respiration, photosynthesis, weather, and earthquake extracted from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s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choosing two concepts among four science major areas. The ways of connecting science concepts were characterized by three categories, relation-based, similarity-based, and dissimilarity-based. In addition, relation-based was characterized by attributes, means, influences, predictions, and causes; similarity-based was by attributes, objects, scientific principles, and phenomena, and dissimilarity-based was by parallel, resource, and deletion. There were significant (p <.000) differences in ways of connecting science concept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groups. The upper group students preferred connecting science concepts of inter-science subjects while the lower group students preferred connecting science concepts of intra-science subject. The upper group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connect the science concepts based on similarity. In contrast, the lower group students frequently showed ways of connecting the science concepts based on dissimilarity. In particular, they simply parallelled science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