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테리어디자인분야에서 직업특성의 변화연구 -직무범위, 직무내용, 직업이미지를 중심으로-

        서정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interior designers' job name have become familiar in everyday areas, including industry, education, and cultural circles. Also, it have become universally recognized as experts who design effective and beautiful interior environments. However, it took a long time for occupation to be named, and the title of “interior designer” has arrived in the present through many variations. Throughout those variations, social discourse on the jobs and duties of such designers has changed and expanded. This study examines the names given to interior designers in newspaper articles to trace changes in the form and content of the job over the years. From the 1960s, when the name “interior decorator” began to be used in newspapers, until the 1990s, when the name had effectively been changed to “interior designer,” I compare and analyze the scope of the duties, contents, and the job images by job names presented in newspaper articles. (Method)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interior decorators and interior designers in newspaper articles from January 1, 1960 to December 31, 1999. In the search for newspaper articles, a total of five daily papers -- the JoongAng Ilbo, Dong-A Ilbo, Kyunghyang Shinmun, Hankyoreh Shinmun, and Maeil Business Newspaper -- were examined using the JoongAng Ilbo website and Naver News Library. Over 40 years from 1960 to 1999, a total of 823 articles were collected under the keyword of interior decorator (244 articles) and interior designer (579 articles), and all the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Results) The contents of the searched newspaper articles show that the job scope, the job contents, and the job image of interior designers expanded and developed from those of interior decorators. The scope of this work was extended from home to commerce and the public domain, and the job contents specialized in the abstract work of knowledge-based planning and design from a selection of decorative items or handicraft production. The occupational image changed from women from wealthy families or men who are “geeks” to enterprising and individualistic profession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 and the method of education changed greatly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job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earlier job title of interior decorator was changed to interior designer through the 1980s and 1990s, which was based on a practical shift and resulted in real changes in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job and the image of the occupation.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인테리어디자이너는 산업계, 교육계, 문화계 등 다양한 일상의 영역에서 친숙한 직업명이 되었으며, 실내환경을 편리하고 아름답게 디자인하는 전문가라는 인식을 보편적으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명칭이 오래전부터 당연하게 주어진 것은 아니며, 꽤 긴 시간에 걸친 변동을 통해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 시기동안 실내 환경을 다루는 디자이너의 직업과 직무에 대한 사회적 담론은 새로 생겨나거나 없어지기도 하였으며, 축적되어 확대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문기사에 사용된 직업명을 기준으로 인테리어디자인분야에서 직업이 시대를 거치며 어떤 형태와 내용으로 발전해왔는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실내장식가라는 명칭이 신문지상에 조금씩 사용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그 명칭이 인테리어디자이너로 충분히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는 1990년대에 이르는 40년 동안, 신문기사에서 나타난 직업 명칭별로 직무범위와 내용, 직업이미지를 파악한 후 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실내장식가와 인테리어디자이너 이 두 명칭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신문기사의 조사범위는 196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의 기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0년∼2009년까지 10년 동안 실내장식가로 검색되는 기사는 총 6건에 불과할 정도로 인테리어디자이너라는 명칭이 보편화되었으며, 1990년대에 형성된 직업특성이 그 이후 변동이 없기 때문에 1990년대까지로 제한하였다. 신문기사검색에는 중앙일보 홈페이지와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매일경제신문 등 총 5개 일간지 기사를 연구범위로 삼았다. 1960년부터 1999년까지 40년간 실내장식가 키워드로 244건, 인테리어디자이너 키워드로 579건 도합 823건의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기사의 본문을 파악, 분석하였다. (결과) 검색한 신문기사의 내용을 통해 직무범위, 직무내용, 직업이미지의 측면에서 실내장식가에서 인테리어디자이너로 확장,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직무범위는 가정을 벗어나 상업 및 공공영역으로 확장되었고, 직무내용은 장식품의 선택 또는 수공예적 제작에서 계획ㆍ설계라는 지식기반의 추상적인 작업으로 전문화되었다. 직업이미지는 부유한 가정의 여성 혹은 괴짜인 남성에서 진취적이며 개성강한 전문가로 개선되었다. 직업특성변화에 따라 교육측면에서도 그 대상과 방식이 크게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초창기 실내장식가라는 직업 명칭은 1980∼90년대를 거치며 인테리어디자이너로 바뀌게 되었는데, 이 변화는 단지 좋은 뉘앙스의 외국어이름으로 교체된 것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는 직업을 둘러싼 실질적인 내용의 전환을 근거로 하였으며 직무의 범위와 내용, 직업이미지 등과 같은 실질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연결 어미‘-다가’의 의미 기술 -인지연산문법의 의미기술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정연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2 프랑스어문교육 Vol.41 No.-

        Ce présent travail propose une contribution méthodologique aux analyses sémantiques des langues. Il situe dans le cadre de la Grammaire Applicative et Cognitive et s'introduit dans une architecture globale d'application visant le traitement automatique des langues naturelles et aussi proposant un outil pédagogique indépendant des langues, qui appelle une perception universelle sur les diagrammes temporels. A l'aide de conceptualisation empruntée à la topologie générale et de la théorie de l'énonciation, les diverses valeurs sémantiques du connectif ‘taka’ sont analysées de nouveau d'une manière indépendante de la langue naturelle. Ceci nous permet de donner des représentations sémantico-cognitives sous-jacentes aux informations aspecto-temporelles du connectif ‘taka’ ayant une structure applicative des opérations complexes. Ainsi ce travail ouvre des perspectives vers la construction des réseaux sémantiques du connectif ‘taka’ afin de concevoir un système logique entre le connectif et les divers catégories des langues.

      • KCI등재

        미혼 남녀의 결혼의지에 관한 연구

        서정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69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fundamental causes of delay of marriage and willingness to never marry of unmarried men and women and to provide countermeasures. The study explor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marriage willingness of unmarried men and women focusing on the search cost that is required during the process of getting married. The sample of 300 unmarried men and 300 unmarried women, a total of 500 unmarried people, were surveyed from February 20 to 22, 2017. Then,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a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Age, financial activity statuses, financial resource provision, etc. a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marriage willingness of unmarried men and women. 이 연구에서는 미혼 남녀를 대상으로 결혼지연과 비혼 선택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미혼 남녀들이 미혼에서 기혼으로 이행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탐색비용에 중점을 두고 미혼 남녀의 결혼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미혼 남성 300명, 미혼 여성 300명, 총 60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2017년 2월 20일부터 2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령, 경제활동상태, 내적 탐색비용, 이성교제 탐색비용,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 소극-배타적 결혼가치관, 경제적 자원제공 등이 미혼 남녀의 결혼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인지연산문법의 틀 안에서 살펴본 한국어 형태소 -더-의 의미 연구

        서정연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4 No.-

        L'article propose de reconsidérer le siffixe -teo-, appelé comme marqueur rétrospectif dans la grammaire coréenne, surtout leur fonctionnement énonciatifs dans plusieur contexte varié. A l'aide de la notion de « prise en charge» et de ses axiomes énonciatifs présentés dans Desclés et Guentchéva, 2002, les différentes modalités énonciatives du suffixe sont analysées, variant de « constat non-actualisé » à « la médiation ». De plus, le modèle topologique a été proposé pour représenter les différentes valeurs sémantiques du suffixe concerné. La modalisation que nous proposons nous permet de donner des représentations sémantiques sous-jacentes aux informations énonciatives des différents énoncés avec le -teo-. Ce présent travail peut ouvrir une perspective orientée vers le didactique de la langue coéenne en s'appuyant sur le modèle linguistique qui est indépendant de la langue naturelle. 본 연구의 목적은 Jean-Pierre Desclés의 인지연산문법 (grammaire applicative et cognitive)(이후 연산문법)에서 제안하고 있는 ‘발화 작용 이론 (théorie de l'opération énonciative)’을 중심으로 소위 한국어 회상 시제 어미로 알려진 안맺음씨끝 -더-가 포함된 언술(énoncé)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의미 가치와 그 발화적 기능을 분석하고 그 의미적 불변소(invariant sémantique)를 찾아보는데 있다. 더불어 -더-의 의미 가치를 기술하는데 있어 연산문법의 이론적인 틀 안에서 제안된 위상 모델 (modèle topologique)을 근간으로, 이 형태소의 의미 가치와 기능을 객관적인 기제를 동원해 분석·표상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더-의 의미 가치를 ‘발화 이론’의 틀 안에서 재조명함으로써 이제껏 논란이 되고 있는 이 형태소의 범주적 위상을 확고히 정립한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응용적인 관점에서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객관적인 분석 기제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지능형 인용문 자동 주석기 개발을 위한 텍스트 연구 : 한국·프랑스어 미디어 텍스트에 나타난 인용문의 상호 주관적 메커니즘 분석을 중심으로

        서정연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1 프랑스어문교육 Vol.38 No.-

        La croissance exponentielle des données disponibles sur Internet rend de plus en plus difficile l'accès à l'information pertinente pour un utilisateur. Nous nous plaçons donc dans le cadre d’une réflexion générale sur le filtrage sémantique et l’extraction d’informations à partir des textes coréens et français en vue d’une implémentation des connaissances linguistiques dans EXCOM07, plate-forme développée par l’équipe LaLIC. Nous nous proposons de rechercher des indicateurs et des indices complémentaires afin de pouvoir d’extraire des informations citationnelles dans les journaux coréens et français. Dans un premier temps du travail, nous proposons une typologie de formes des citations directes et des verbes de citation dans les textes médiatiques francais et coréens. Nous analysons des exemples à l'aide de la notion de «prise en charge» et de ses axiomes énonciatifs présentés dans (Desclés & Guentchéva 2002, Desclés 2007). Nous avons classédes verbes de citation selon de différentes modalités énonciatives et enfin construit une carte de sémantique des modalités énonciatives du discours rapportés directs en français. Ensuite,nous proposons une plateforme d’annotation sémantique de textes, appelé «EXCOM07». Basée sur la méthode de l’ «Exploration Contextuelle», elle permet de procéder à des annotations sémantiques de segments textuels par l'analyse des formes de surface dans leur contexte. Les citations sont traitées selon des « valeurs sémantiques » discursives mise en texte basés sur la recherche de marqueurs linguistiques (« forts » et « complémentaires ») et sur les différentes valeurs sémantiques définies par la théorie de l'énonciation. Avec cette méthode, nous expliquons les classes de marqueurs linguistiques (indicateurs déclencheurs et indices complémentaires) dans les citations directes. Enfin nous présentons l’évaluation des connaissances linguistiques acquises dans EXCOM0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