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테리어디자인분야에서 직업특성의 변화연구 -직무범위, 직무내용, 직업이미지를 중심으로-

        서정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interior designers' job name have become familiar in everyday areas, including industry, education, and cultural circles. Also, it have become universally recognized as experts who design effective and beautiful interior environments. However, it took a long time for occupation to be named, and the title of “interior designer” has arrived in the present through many variations. Throughout those variations, social discourse on the jobs and duties of such designers has changed and expanded. This study examines the names given to interior designers in newspaper articles to trace changes in the form and content of the job over the years. From the 1960s, when the name “interior decorator” began to be used in newspapers, until the 1990s, when the name had effectively been changed to “interior designer,” I compare and analyze the scope of the duties, contents, and the job images by job names presented in newspaper articles. (Method)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interior decorators and interior designers in newspaper articles from January 1, 1960 to December 31, 1999. In the search for newspaper articles, a total of five daily papers -- the JoongAng Ilbo, Dong-A Ilbo, Kyunghyang Shinmun, Hankyoreh Shinmun, and Maeil Business Newspaper -- were examined using the JoongAng Ilbo website and Naver News Library. Over 40 years from 1960 to 1999, a total of 823 articles were collected under the keyword of interior decorator (244 articles) and interior designer (579 articles), and all the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Results) The contents of the searched newspaper articles show that the job scope, the job contents, and the job image of interior designers expanded and developed from those of interior decorators. The scope of this work was extended from home to commerce and the public domain, and the job contents specialized in the abstract work of knowledge-based planning and design from a selection of decorative items or handicraft production. The occupational image changed from women from wealthy families or men who are “geeks” to enterprising and individualistic profession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 and the method of education changed greatly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job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earlier job title of interior decorator was changed to interior designer through the 1980s and 1990s, which was based on a practical shift and resulted in real changes in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job and the image of the occupation.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인테리어디자이너는 산업계, 교육계, 문화계 등 다양한 일상의 영역에서 친숙한 직업명이 되었으며, 실내환경을 편리하고 아름답게 디자인하는 전문가라는 인식을 보편적으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명칭이 오래전부터 당연하게 주어진 것은 아니며, 꽤 긴 시간에 걸친 변동을 통해 현재에 이르게 된 것이다. 그 시기동안 실내 환경을 다루는 디자이너의 직업과 직무에 대한 사회적 담론은 새로 생겨나거나 없어지기도 하였으며, 축적되어 확대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문기사에 사용된 직업명을 기준으로 인테리어디자인분야에서 직업이 시대를 거치며 어떤 형태와 내용으로 발전해왔는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실내장식가라는 명칭이 신문지상에 조금씩 사용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그 명칭이 인테리어디자이너로 충분히 전환되었다고 볼 수 있는 1990년대에 이르는 40년 동안, 신문기사에서 나타난 직업 명칭별로 직무범위와 내용, 직업이미지를 파악한 후 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실내장식가와 인테리어디자이너 이 두 명칭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신문기사의 조사범위는 196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의 기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0년∼2009년까지 10년 동안 실내장식가로 검색되는 기사는 총 6건에 불과할 정도로 인테리어디자이너라는 명칭이 보편화되었으며, 1990년대에 형성된 직업특성이 그 이후 변동이 없기 때문에 1990년대까지로 제한하였다. 신문기사검색에는 중앙일보 홈페이지와 네이버뉴스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중앙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매일경제신문 등 총 5개 일간지 기사를 연구범위로 삼았다. 1960년부터 1999년까지 40년간 실내장식가 키워드로 244건, 인테리어디자이너 키워드로 579건 도합 823건의 기사를 수집하였으며 모든 기사의 본문을 파악, 분석하였다. (결과) 검색한 신문기사의 내용을 통해 직무범위, 직무내용, 직업이미지의 측면에서 실내장식가에서 인테리어디자이너로 확장,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직무범위는 가정을 벗어나 상업 및 공공영역으로 확장되었고, 직무내용은 장식품의 선택 또는 수공예적 제작에서 계획ㆍ설계라는 지식기반의 추상적인 작업으로 전문화되었다. 직업이미지는 부유한 가정의 여성 혹은 괴짜인 남성에서 진취적이며 개성강한 전문가로 개선되었다. 직업특성변화에 따라 교육측면에서도 그 대상과 방식이 크게 달라졌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초창기 실내장식가라는 직업 명칭은 1980∼90년대를 거치며 인테리어디자이너로 바뀌게 되었는데, 이 변화는 단지 좋은 뉘앙스의 외국어이름으로 교체된 것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이는 직업을 둘러싼 실질적인 내용의 전환을 근거로 하였으며 직무의 범위와 내용, 직업이미지 등과 같은 실질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다.

      • KCI등재

        예방상담학적 관점에서의 2030 청년장애인취업 연구동향

        서정연,김민경,신예지,윤현진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5

        By grasping the trend of employment research for the youth disabled in 2030 in Korea, the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attern of employment for the youth disabled and to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interventions necessary to help the youth disabled findemployment from a preventive counseling perspective. To this end, a total of 85 papers anddegree papers that are candidates or higher in the academic field were analyzed for eachresearch year, major fields, and research topics. Research majors mainly focused on educationand social science research,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 of research related toemployment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under the framework of a socioecological model,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related to program provision and socialrelation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for personal behaviorfactors, it was found that many studies on career-related behavior were conducted rather thangeneral and academic factors.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preventive counseling, relatedvariables were classified as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to derive implications forcounseling intervention on the employment problem of the youth disabled.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research on protective factors is mainly focused, and in the case of the targetgroup in their 30s, more practical career-related active behavior acts as a protective factor.

      • KCI등재
      • KCI등재

        지능형 인용문 자동 주석기 개발을 위한 텍스트 연구 : 한국·프랑스어 미디어 텍스트에 나타난 인용문의 상호 주관적 메커니즘 분석을 중심으로

        서정연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1 프랑스어문교육 Vol.38 No.-

        La croissance exponentielle des données disponibles sur Internet rend de plus en plus difficile l'accès à l'information pertinente pour un utilisateur. Nous nous plaçons donc dans le cadre d’une réflexion générale sur le filtrage sémantique et l’extraction d’informations à partir des textes coréens et français en vue d’une implémentation des connaissances linguistiques dans EXCOM07, plate-forme développée par l’équipe LaLIC. Nous nous proposons de rechercher des indicateurs et des indices complémentaires afin de pouvoir d’extraire des informations citationnelles dans les journaux coréens et français. Dans un premier temps du travail, nous proposons une typologie de formes des citations directes et des verbes de citation dans les textes médiatiques francais et coréens. Nous analysons des exemples à l'aide de la notion de «prise en charge» et de ses axiomes énonciatifs présentés dans (Desclés & Guentchéva 2002, Desclés 2007). Nous avons classédes verbes de citation selon de différentes modalités énonciatives et enfin construit une carte de sémantique des modalités énonciatives du discours rapportés directs en français. Ensuite,nous proposons une plateforme d’annotation sémantique de textes, appelé «EXCOM07». Basée sur la méthode de l’ «Exploration Contextuelle», elle permet de procéder à des annotations sémantiques de segments textuels par l'analyse des formes de surface dans leur contexte. Les citations sont traitées selon des « valeurs sémantiques » discursives mise en texte basés sur la recherche de marqueurs linguistiques (« forts » et « complémentaires ») et sur les différentes valeurs sémantiques définies par la théorie de l'énonciation. Avec cette méthode, nous expliquons les classes de marqueurs linguistiques (indicateurs déclencheurs et indices complémentaires) dans les citations directes. Enfin nous présentons l’évaluation des connaissances linguistiques acquises dans EXCOM07.

      • KCI등재
      • KCI등재

        COVID-19 시기 기업설명회 및 비대면 IR이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친 영향

        서정연,최영수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3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holing Investor Relations(IR) on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for Korean firms in COVID-19(Coronavirus Disease-19) period. An IR as one of the voluntary and active disclosures of firms have several functions on financial market. Firms provide useful information related to their business operation, financial performance and often earnings guidance through IR. Such IR lead to long-term reduction in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investors and companies. Accordingly companies which have held IR steadily could enhance confidence with market investors regarding business information, and therefore these firms’ accounting information also should have sound reliability from investors. Meanwhile the outbreak of COVID-19 had affected on the accounting performance of firms and expanded environmental uncertainties. Generally environmental distress decreases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while increases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that represent liquidation value. But COVID-19 was caused by external factor as contagious disease, so it seems different from the other past crisis. So recent study shows that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declined and net asset declined significantly as well after the spread of COVID-19. It implies that COVID-19 negatively affected not only the value of net income but also the value of net assets contrary to the result in other crisis. Based on these prior studies, we are interested in whether IR event had a distinct effect on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COVID-19 period. One of the notable changes in firms’ business activities in 2020, at the start of COVID-19 year, the IR event decreased in frequency rapidly and the number of untact Online IR especially increas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effect of holding IR in COVID-19 period on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f some company continued IR during that time though several constraints, we can infer that the firm is concerned with the communications and confidence with market investors. And those firms should leads to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crease compared to firms quit IR at that period. The samples are listed corporates on Korea Stock Exchange from 2015 to 2020. Financial data are extracted at Fn-Guide and the investor relations data are collected at KIND(Korea Investor’s Network for Disclosure System). Though we were interested in firms which had held IR steadily in the past, it is important to analyze whether the value relevance of firms with steady IR before 2020 didn’t decrease signigicantly in COVID-19 relative to that of firms with unsteady IR before. Firms that held more than 3 times IR for 5 years before 2020(2015~2019) were selected for firms with steady IR before. Overall this study uses 8,766 firm-year observ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of firms with regular IR before 2020 didn’t decrease significantly in COVID-19 crisis. On the other hand, that of firms with irregular IR before 2020 did decrease signigicantly in COVID-19. Second,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of firms that continued IR in 2020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firms which quit IR at the same period. Lastly,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of firms that hold untact online IR in 2020 period was lowered compared with companies with offline as usual.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the effect of IR activities on value relevance on accounting information in COVID-19 period. It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documenting that just holding IR regularly can improv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such crisis period as COVID-19. Our findings can provide several insights to CEO, CFO, IR managers and policy makers who make a decision related to IR policy. 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홍보 활동인 기업설명회(IR, Investor Relations)는 투자자와 경영자 간정보불균형을 해소할 뿐만 아니라 기업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여 회계 정보의 가치관련성을높이기도 한다(박홍조·지현미, 2010). 한편, COVID-19라는 팬데믹은 경제 외적인 요인임에도 전 세계 경제에불확실성을 안겼고 자본시장 참여자들은 회계정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모습을 보였다. 2020년 국내기업들의 회계정보 가치관련성이 하락하였다는 연구가 이를 뒷받침 한다(손혁·최성호·강유정·최관, 2021). 코로나 시기에 IR을 개최하는 경우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차별화된 영향을 미쳤을지에 대한 궁금증에서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코로나는 2020년 기업들의 경영 활동에 많은 변화를 일으켰는데, 그 중 하나가기업설명회다. 2020년 국내 기업의 IR 개최 총 횟수는 2019년 대비 38% 감소한 반면 비대면 온라인 IR 횟수는10배 이상 급증하였다. COVID-19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IR을 중단하였음에도 이 시기에 IR을 지속했다면,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의 수요와 그 동안의 신뢰를 중시한 기업일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코로나 이전 시기에 기업설명회를 꾸준히 개최함으로써 회계정보에 대해 투자자들과 신뢰를 형성한 기업이, 코로나 위기 시기에도 IR을 중단하지 않고 지속하였을 때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증대되었는지를 분석하는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코로나 이전에 꾸준히 IR을 개최한 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과달리 COVID-19와 같은 위기 시기에도 이전 대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이 유의하게 하락하지 않았다. 또한이 시기 IR을 지속한 경우 그렇지 않은 기업 대비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코로나시기에 IR을 지속했지만 비대면 온라인 형식을 택한 경우, 대면 방식으로만 IR을 지속한 기업 대비 회계이익의가치관련성이 저하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COVID-19와 같은 위기 시기에 기업이 자본시장투자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것만으로도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밝혔다는 데 있다. 또한 기업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IR 활동이 위기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밝힘으로써 경영진과 공시책임자를 비롯 관련 정책입안자들의 향후 의사결정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언어적 시간 표현의 형식화 연구 : 한국어 상 표지 ‘-고 있-’을 중심으로

        서정연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5 No.-

        Ce présent travail propose une contribution méthodologique aux représentations temporelles des langues. Il se situe dans le programme de la Grammaire Applicative et Cognitive et s'introduit dans une architecture globale d'application multilingue visant le traitement automatique des langues naturelles. A l'aide de conceptualisation empruntée à la Topologie générale, les valeurs sémantiques du marqueur aspectuel '-ko iss-' en coréen sont analysées d'une manière indépendamment de la langue naturelle. La modélisation que nous proposons nous permet de donner des repésentations sémantico-cognitives sous-jacentes aux informations aspecto-temporelles du marqueur ayant une structure applicative des opérateurs complexes aspectuels, qui se rappelle au langage formel de la logique combinatoire typée de Curry. Ainsi ce travail ouvre des perspectives vers la constructuion du réseaux sémantique du temps linguistique afin de concevoir une ontologie formelle du temps linguistique et aussi vers la conception d'un outil de TAL (traitement automatique des langues) pour la langue coréenne. 우리는 다음 예문 (1)의 사건을 통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사건을 하위 추론해 볼 수 있다. 첫째, 어느 한 순간 ‘Pierre'는 ‘편지를 쓰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지금, 편지를 쓰고 있다.’ (1) (En ce moment), Pierre écrit une lettre.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다음 (1)'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언어적 표지를 통해 각각 표현될 수 있다 (각각, /être en train de/와 /commencer à/). (1)' Pierre est en train d'écrire une lettre. (1)''Il y a eu un moment pendant lequel Pierre commençait à écrire une lettre. 위의 세 문장은 모두 공통적으로 하나의 술부 관계 <écrire une lettre, Pierre>를 가지면서, 동시에 각기 다른 언어적 표지와 함께 상이한 시상 의미 값을 표상하고 있다. Battistelli & Desclés (1999:351)는 어떤 한 사건은 세부적인 하위 사건들 간의 추론적 관계를 통해 개념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념은 프랑스어의 다양한 ‘상황 유형의 양태 modalité d'action’의 표지를 통해 증명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상황 유형 양태 표지’들은 연산자 opérateur로서 술부관계와 연산 작용을 가짐을 증명했다. 본고는 이러한 그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한국어의 상표지 ‘-고 있-’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1.1. 예비적 고찰 ‘-고 있-’은 일반적으로 예문 (2)에서와 같은 ‘진행상’과 예문 (3)에서와 같은 ‘결과 상태 지속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후자의 의미는 같은 의미를 가지는 ‘-어 있-’과 상보적 분포의 특성을 가진다고 간주되었다. 다시 말해서, ‘-고 있-’은 타동사 구문과 ‘-어 있-’은 자동사 구문과의 분포적 조건을 따른다고 보았다 (예문 (4)). (2) 순희는 한 시간째 달리고 있다. (3) 순희는 교복을 입고 있었다. (4) 순희는 의자에 앉아 있다. 하지만, 다음 예문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 있-’은 정태적인 의미 값을 가지는 동사구문들과 공기하며, 또한 예문 (6)에서와 같이 자동사 구문과도 함께 나타난다. (5) 그 사람은 지금 동경에 머무르고 있다. (6) 이 회사의 체인망은 5개국에 걸치고 있다. 이에, 이호승 (2001)은 ‘-고 있-’은 [미완료상]의 의미를 가지며, 공존하는 동사구문의 어휘적 의미와 담화·화용론적 요인에 의해, 상황의 예비 단계, 내부 단계, 결과 상태 단계 중 어느 하나만을 드러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더불어, 양정석 (2004:121-128)은 ‘-고 있-’은 [비한계성]의 어휘적 자질을 가지는 연산자로서, 공존하는 동사구문에 의미적 조건을 부여한다고 보았다. 또한, 모든 동사구문에는 고유한 어휘 의미적 사건 구조가 존재하며, 이러한 사건 구조로 인해, ‘-고 있-’의 [비한계성]의 어휘적 자질과 부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예문 (6))의 경우). 우리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이 가지는 ‘-고 있-’의 직관적인 의미 기능은 받아들이되, ‘상황 유형의 양태’를 표상하는 표지로서 해당 표지가 가지는 언어적 기능을 객관적인 기제를 통해 표상하고, 개념화하고자 한다. 또한 기술된 의미 값들은 다시 발화 연산 작용에 대입되어 형식화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 기술 작업을 통해, 언어로 표현된 의미들은 상황에 의해 결정된다는 소극적인 접근 대신에, 가능한 의미들과 그들의 의미전이 방식을 개념화함으로써, 직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해당 표지가 가지는 의미 기능의 실제적인 정보를 보여줄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언어 표현의 분석과 형식화를 위한 융합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는 인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