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오 판 두스부르흐의 반-구축적 조형특성에 관한 연구

        서정연(Suh, Jeong-Y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Dutch artist, Theo van Doesburg had shown short but strong experimental aesthetics in his works through De Stijl movement. He played a leading role for editing De Stijl magazine and performed various formative works such as painting, sculpture, and architecture. In 1923 he opened the first De Stijl exhibition cooperated with Cornelis van Eesteren. In this architecture exhibition he showed rich formal spirits of counter-construction in his major design works, that is Maison Particuliere and Maison D’artiste among three houses projects. Formal characteristics of counter-construction can be summed up under two categories, time and space.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unter-construction related to time category include two types of two mode. One is linear aspect of time based on the viewer’s movement. The other aspect is simultaneity caused by synoptical effect. These could be proved by the analysis of arrangement of color planes. Secondly, the spatial aspects of counter-construction are produced through two different ways of formal strategies. Van Doesburg arranged cubes in very irregular pattern. This treatment induces ambiguous void and creates feeling of subject’s space. And, through deleting, shifting, and extending he could make dynamic spatial effect by interpenetration between in and out. This fluid space thus introduces movements of one’s gaze and circulation. He denied traditional classical values which had ruled the western aesthetical discipline for centuries and believed that mankind can reach the realm of universal equilibrium by contrast and tension created by counter-construction. In this vein Theo van Doesburg was an avant-garde artist of Hegelian thoughts who adopted the dialectical method without follow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from ancesto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혼종의 언어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프랑스 파리 외곽지역의 이민2세대들의 언어를 중심으로-

        서정연(Jungyeon SUH)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서강인문논총 Vol.- No.61

        본 고에서 우리는 프랑스 대도시 외곽지역인 방리유에서 발생해 이민 2세대의 언어이면서 현재 인터넷 매체를 중심으로 프랑스 10대와 20대의 구어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시테의 젊은이들의 언어(langue des jeunes des Cités (LC))’를 새로운 언어담론 하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는 기존의 규범적이며 문제적 시각이 아닌 화자의 사회적 자본으로 언어를 바라보는 도시언어담론(metrolingualism)등의 최근 학술 동향을 지지하고 필연적으로 다양한 문화와 언어의 접촉지대(contact zone)에 놓인 화자의 다기호적 언어수행을 살펴보았다. 이 일탈적이며 유희적인 언어가 가지는 혼종성, 다양성, 유동성은 다양한 비언어적 요인에 의해 견인되는 화자의 창의적인 의사소통 전략으로 재정의되었다. 프랑스어권 관련 선행 연구 중에서 주체적인 화자 중심의 정체성 구축과 담화 전략을 주목한 사회언어학적 연구들을 통해 새로운 언어담론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다중언어와 다문화 시대에 새로이 등장하는 화자와 그들의 언어를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문화를 풍성하게 하고, 유동적이고 절충적인 사회를 위한 자원으로서 언어를 바라보는 사회학적 논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 language practice of French young people in suburban Paris within the new perspective of metrolingualisme. This lingual practice is mainly used by the youth from immigrant family in the suburban area of big cities in France. This language is composed of various altered forms of Standard French language, borrowings from foreign languages as Arabic, American Rap English, Romani and certain distinctive prosodic, which can be viewed as a kind of linguistic bricolage featured by the multilingualisme and multiculturalisme present in the suburban communities. But this linguistic practice has been repeatedly treated like a linguistic fracture caused by the problems of minority integration into mainstream French society, resulted from the stigmatizing of French media. This paper seeks to explain these hybrid linguistic forms in the Contact Zone, not as a problem nor right but as a resource of the users with divers societal background. We try to find that their genuine characters like hybridity, instability and variety can be seen as a tool of the user’s interactional strategies within their own discours context, which permits to construct a ‘‘third space’’ in which to enact and express certain aspects of identity that youths perceive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dominant French culture and its language. The examples like some arabic interjection in phrases like ‘wesh(eh quoi, so what)’, ‘zaama(c’est-à-dire, so to speak)’, ‘wallah(je te jure ! I swear!)’ show that the youth use this discourse markers for constructing their own context for conversation, in which to confirm and exchange their social value. This hypothesis is supported by precedent studies of identificational function of the complex linguistical representations and those of the analysis for speaker’s interaction for the communication. In this study, we want to bring together pluridisciplinary concerns, specially sociology to linguistics for explaining the new linguistic practice of the metropolitan speakers in contact zone.

      • KCI등재

        프랑스어 부사 `certes`의 발화적 개입 양상 연구

        서정연 ( Suh Jung-yeon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8 No.-

        프랑스어 부사 `certes`에 드러나는 다성성 polyphonie, 즉 양보적 논증관계 argumentation concessive를 Culioli(1973)와 Descles & Guentcheva(2002)에서 제안된 발화연산작용 operation enonciative의 틀 안에서 재조명하였다. 담지연산자 operateur de la prise en charge와 발화연산자 operateurs enonciatives간의 다층적 연산작용을 통해 프랑스 부사 `certes`의 양태적 의미 값을 규명하고 기술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선행이론의 `다성성 polyphonie(Ducrot 1984)`, `거리두기 distanciation(Adam 1990, 1997)`, `발화적 이질성 heterogeneite enonciative(Authier-Revuz 1984) 등의 메타 언어적 개념을 발화자의 `담지 연산 operation de la prise en charge enonciative`을 중심으로 하는 복합적인 발화연산작용의`언어적 발현 과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발화연산작용을 기본으로 텍스트 의미 구조 형식화를 시도한 Chagnoux(2008)의 `발화 좌표계 기반의 역동적 텍스트 그래프 graphe de dynamique textuelle inter-referentielle`를 빌어, 텍스트 담화 구조의 큰 틀 안에서 발화양태범주를 규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했다. Ce present travail a pour but de considerer la notion de l`alterite` dans les langues, surtout dans les expressions avec l`adverbe modal, `certes`. Depuis Ducrot (1984), il l`a designe le marqueur de concession avec le connecteur `mais`. Beaucoup de linguistes essaient de degager leurs invariants semantiques comprenant la notion de concession et celle de l`assetion mais d`une maniere indirecte ou distanciee. Ici, nous proposons tout d`abord de redefinir la notion de l`enonciation au sens de Culioli qui le traite dans le mouvement processuel pas a celui de Benveniste tout en travaillant sur la relation intersubjective dans le discours. Avec la theorie de l`enonciation developpee et etablie par Descles & Guentcheva (2002), nous reanlysons les enonces de type `CERTES (P)` et essayons d`identifier ses invariants semantico-discursifs a l`aide des operateurs enonciatifs. Dernierement, nous presentons un systeme de graphe conceptuelle, `le modele de dynamique textuel de relations interreferentielles` par Chagnoux (2008) afin de pouvoir analyser les differents niveaux du texte d`une maniere operatoire pour une representation formelle du discours.

      • KCI등재후보

        베르나르 츄미의 사건개념 연구-『Architecture and Disjunction』을 중심으로-

        서정연 ( Suh Jeong Yeo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9 전시디자인연구 Vol.16 No.1

        1968년 5월 혁명에 영향 받은 베르나르 츄미는 근대건축의 실패한 기획인 계몽적 이성과는 다른 길을 추구한다. 그는 국제상황주의자운동의 혁명실천방법과 조르주 바타이유의 에로티시즘적 접근을 기반으로 새로운 건축적 개념들을 주조하였는데, 그 중의 하나가 사건개념이다. 근대건축의 이념인 기능과 달리 사건은 그 성격과 내용이 명확히 규정되기 어렵다. 이에 츄미의 이론서인『Architecture and Disjunction』를 근거로 사건개념을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이해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건은 신체적 움직임을 통한 내면적 의미의 갱신이다. 둘째, 사건은 근대건축의 규율을 넘나드는 위반의 기획을 통해 공간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 의미를 발견한다. 셋째, 사건은 신체의 일탈적 움직임을 기반으로 신체-공간의 관계를 질적으로 변화시키며, 격렬하고 급진적 속성으로 인해 폭력에 비유된다. 이상과 같은 사건의 개념적 속성은 그의 Glass Video Gallery와 Le Fresnoy Art Center등의 예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nfluenced by the May Revolution of 1968, Bernard Tschumi pursues a different path from the enlightening reason, a failed project of modern architecture. He casts new architectural concepts based on the revolutionary practice of the Situationalist International movement and the erotic approach of Georges Bataille, one of which is the concept of event. Unlike function, which is an ideology of modern architecture, event is difficult to define clearly its character and content. After analyzing the concept of event based on Tschumi's theoretical book 『Architecture and Disjunction』, I could understand the followings. First, an event is a renewal of the inner meaning through physical movement. Second, events will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space and discover hidden meaning through planning violations that go beyond the discipline of modern architecture. Third, events are based on the deviant movement of the body, changing the body-space relationship qualitatively. The events of this change are likened to violence because they must be intense and radical. The conceptual properties of events like this can be found through his exhibition space design Glass Video Gallery and Le Fresnoy Art Center as examples.

      • KCI등재

        Bernard Tschumi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본 움직임 연구

        서정연(Suh, Jeong-Ye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9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Architect Bernard Tschumi had explored a new architectural conception through his own notional devices such as space, event and movement during 1970s. But, among these notions, the concept of movement was ambiguous and difficult to adopt it for architectural design strategy. Because the movements in everyday"s behaviour or in dancing art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rchitectural thought. However he had succeeded in coining the creative notion of movement as almost real body"s and of living flesh. He invented an acute methodology and bold interpretation for his early experimental works. So,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and analyse his concept of movement focused on his early works. The results of this paper"s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schumi"s movement concept is dynamic one operated by desire and can violate space in physical level as well as metaphysical level. Next, the movement performs the role of generator which deforms space or even generate it. Third, his movement can be readable only when you go down and bring it in practice. Also it is unblocked potentiality, undetermined sequential material and unfinished practice. Fourth, when Tschumi"s movement could be thought as walking, this walking movement makes up a story through rhetorical speech acts that are presented by turns and detours.

      • KCI등재
      • 프랑스어 전공 교육과 서비스-러닝

        서정연(Jungyeon Suh)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논총 Vol.32 No.-

        본 연구는 대학의 외국어 전공 교육에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동기를 유발하며, 미래지식사회에서 전공 지식을 내재화하고 필요한 시민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으로 서비스-러닝 활용을 제안하였다. ‘서비스-러닝’은 기존의 ‘이론-현장실습 연계’ 방식의 수업과 ‘지역 사회로의 전공 지식 나눔’의 사회봉사 프로그램의 성격을 더불어 갖는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지역 및 공동체 사회의 필요 성에 대한 인식, 사회의 시민으로서의 의무, 유연성 있는 의사소통 기술 습득, 성찰 학습 등등의 사회학적 교육효과를 전공교육과 함께 기대해 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러닝 교육방법론에 대해 소개하고, 이 방법론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고등교육의 틀 안에서 기존의 현장실습 프로그램과 다른 이 프로그램의 차별화된 위상을 다시 재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4년간 진행된 대학 전공 프랑스어 수업의 서비스-러닝 적용의 타당성을 논하고 그 개선 안을 제안하였다. We propose the pedagogical methode of service-learning as an alternative one which permits students to developing their motivation for studying and also their competences and skills suited for the future society as competitive citizens. Our education should enable students to be eligible to liv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se competences and skills should be practiced in the field rather than being taught in class. And these real experiences must be connected to schooling along with the renovation of curriculum. For this reason, we introduce service- learning program as the best way to foster students’ abilities because this program invit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at first hand with their knowledge learned in the class. This study provides the example of how to apply service-learning to French language classes showing their gains and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4 years practices.

      • KCI등재

        언어의 `매개작용` 범주 고찰: 프랑스어와 한국어 비교 연구

        서정연 ( Suh Jungyeon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7 비교문화연구 Vol.46 No.-

        이 논문은 언어에서 포착되는 `증거성(evidentialite)` 범주의 의미적 속성과 그 체계를 연구하기 위한 언어학적 토대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증거성 범주를 Descles & Guentcheva(2000)의 `발화작용이론(la theorie de l`operation enonciative)`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는 프랑스어의 문법표지인 `조건법 현재시제`와 한국어의 문법표지인 `-더-`에 드러난 증거성 범주의 의미적 가치를 기술하고, 이 범주가 언어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발화작용 이론을 객관적 분석 기제로 이용해, 양 언어 간에 드러나는 증거성 범주를 매개 작용으로 다시 정의하고, 시상 및 양태 범주와 구별되는 범주의 구별된 위상을 규명하였다. 또한, 해당 범주의 범언어적 체계와 보편적 의미 가치를 탐색하는 일반 언어학적 연구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증거성` 이라는 범언어적 현상을 발화작용의 체계 내에서 통합적으로 설명해내었고, 본 연구의 결과는 응용언어학 등의 다양한 분야로 까지 확장되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마련하였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evidential category (or the mediation category) in languages with language specific values, especially in Korean and French evidentials. We tried to analyze how the evidentials are represented in both languages including their linguistic markers (grammatical, lexical or discursive) and their semantic meanings. According to the precedent studies from the general linguistic point of view, we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semantic meanings of both languages` grammatical markers, the so-called Korean retrospective marker `-te-` and French conditionals in the framework of the enunciative operation theory suggested by Descles & Guentcheva (2000), which proposed to classify the type of discourse by the language-independent description tools conceived after the enunciation theory suggested by Bally (1965), Benveniste (1956), Culioli (1973). Through this approach, we would like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linguistic basis not only for the general linguistic research to determine the invariant meaning of linguistic evidentials and their system, but also for the applied linguistics to the language engineering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