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부지방 소나무와 참나무류의 반경생장량과 지형, 기후 인자의 관계

        변재균 ( Jae Gyun Byun ),이우 ( Woo Kyun Lee ),노대 ( Dae Kyun Nor ),김성호 ( Sung Ho Kim ),최정기 ( Jung Kee Choi ),이영진 ( Young Jin Lee ) 한국산림과학회 201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9 No.6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climatic and topographic factors on tree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in central regions of Korea.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nual tree radial growth and climatic factors, we took the core samples from individual trees and measured the tree radial width. On the assumption that the tree radial growth is related to the tree age, we estimated the radial growth by the tree ag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lso, we estimated the standard growth, defined as the radial growth of trees aged 30. As results, we foun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radial growth of the red pine. Moreover, we also fou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matic and topographic and the standard growth using the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 Increase of temperature has negative impacts on the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while it has positive impacts on the radial growth of Quercus spp.. On the other hands, increase of precipitation has negative impacts on the radial growth of both species. Lastly, we predicted the spatial distribution changes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using the temperature increase scenario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forest type map. We could predict that Pinus densiflora is more vulnerable than Quercus spp. to climate change so that the habitats of Pinus densiflora will be gradually changed to the habitats of Quercus spp. in eastern coastal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after 60 years.

      •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최현아,이우,곽한빈,최성호,변재균,유성진,Choi, Hyun-Ah,Lee, Woo-Kyun,Kwak, Han-Bin,Choi, Sung-Ho,Byun, Jae-Gyun,Yoo, Sung-Jin,Cui, Guishan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3

        기후변화는 생태계, 수자원, 재난,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영향을 부문별로 평가하여 적절한 적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부문별 평가지표도 다르고, 자료의 형태와 내용도 달라 통일된 형태의 영향평가 및 적응전략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문별 기후변화영향평가지표를 마련하고, 이 평가지표를 설명하는 각종 주제도를 GIS기반의 시 공간정보로 통합하였다. 이와 같이 통합된 시 공간정보를 부문별 취약성평가 방법에 적용하여 부문별 취약성을 통합한 후 평가할 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Climate change has influenced on various sectors including ecosystem, water resource, natural hazards and health and so on. Thus, it is essential to more accurately assess climate change impact and prepare adaptation strategy.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ss for climate change impact on various sectors with integrated form due to various data format by sectors. In this study, we prepared criteria and indicators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and integrated GIS based data which in correspond to indicators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using GIS. Finally we suggest a guideline to assess vulnerability of each sectors to climate change based on integrated spatio-temporal information.

      • KCI등재

        기온감율을 적용한 기후자료가 잠재 산림분포 예측에 미치는 영향

        이상철(Lee Sang Chul),최성호(Choi Sung Ho),이우(Lee Woo Kyun),유성진(Yoo Seong Jin),변재균(Byun Jae G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 산림분포 예측에 이용되는 기상 자료의 효과적인 구축 및 규모변환(Down Scaling) 방법을 제시 하는 것이다. 잠재 산림분포 예측을 위해 한국형 산림 분포 모형 TAC(Thermal Analogy Group)의 예측 방법과 HyTAG(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Croup)에서 정의한 식생 기능성 유형(PFT: Plant Functional Types)을 함께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20㎞ 공간해상도의 기상자료를 1㎞의 공간해상도에 부합하도록 보간 하였다. 이러한 보간 및 규모변환의 한 가지 방법으로 고도에 따른 기온감율을 적용 및 비적용하여 각각의 과거 잠재 산림분포를 예측하였다. 현존 산림분포도와 비교한 정확도 검증에서 기온감율을 적용한 잠재 산림분포가 약 38% 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echnical approaches for preparation and down scaling of climate data used for predicting the potential forest distribution. To predict the forest distribution, we employed a Korean-specific forest distribution model, so-called the TAG(Thermal Analogy Group), and defined the PFT(Plant Functional Types) based on the HyTAG(Hydrological and Thermal Analogy Group). The climate data with 20㎞ spatial resolution were interpolated to fit on the input data format with 1㎞ spatial resolution. Two potential forest distribution maps were estimated using climate data constructed by kriging, one of the interpolation and down-scaling approaches, with and without lapse rate considered. Through the verification process by comparing two potential maps with the actual vegetation map, the forest distribution using the lapse rate was proven to be 38% more accurate.

      •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식생 분포 변화 및 육상 탄소 분포 변화 예측

        최성호(Sungho Choi),이우(Woo-kyun Lee),유성진(Seongjin Yoo),박선민(Sunmin Park),변재균(Jae-Gyun Byun),최계선(Guishan Cui)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9

        이 연구의 목적은 온량지수 (Warmth Index)와 MC1모델 알고리즘 상의 T 지수 (T Index)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산림 식생 분포를 분석하고 미래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식생 분포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MC1 모델은 미국 Oregon State University에서 개발한 동적 식생 모형이다. 또한, 이 MC1 모델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육상 탄소 분포를 모의하고 미래 육상 탄소 분포의 변화를 예측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과거 30년 평균 기온자료와 국립기상과학 연구소에서 제공한 미래 기상자료를 이용하였으며 FAO에서 제공하는 Word Soil Map을 보조자료로 이용하였다. 미래의 우리나라 식생 분포 변화 및 육상 탄소 분포를 예측한 결과, 소나무의 최적 생장 지대는 점점 감소하였으며 아열대 식생의 생육에 적합한 온량지수와 T지수분포가 나타났다. 또한 순일차생산과 토양탄소저장량은 미래에 감소하는 것으로 모의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