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 단계별 첨삭지도를 통한 글쓰기의 실제 효율성 강화 방식에 대한 고찰 - ­"글쓰기” 교재를 활용한 첨삭지도의 방안 모색-

        변상출 ( Sang Chul Byeun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재를 활용하여 첨삭지도의 실제적 효용성을 강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표는 첨삭지도의 방법뿐만 아니라 첨삭지도의 환경의 개선이 우선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이는 ‘대학 글쓰기’의 환경에 해당하는 하드웨어의 개선 없이는 연구방법론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정교한 여러 개발도 충분한 효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을 깔고 있다. 지금까지 첨삭지도와 관련된 연구 논의들의 공통적인 경향은 크게 세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첨삭지도는 필요하다. 둘째, 첨삭지도의 방법은‘열린 형식’이어야 한다. 셋째, 첨삭지도의 기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런 공통 경향을 드러내는 연구 논의들에서 지금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어 그 방법론들은 대단히 세밀하기까지 하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방법론들을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첨삭지도의 환경이 상당히 열악한 형편이다. 그래서 이 글은 먼저 첨삭지도와 관련된 기왕의 연구 경향들을 검토하면서 이론적 연구가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되기 위해선 중요한 것은 ‘첨삭지도의 환경’이라는 점을 화두로 삼았다. 2장에서는 이 ‘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지난 반 세대 동안 진행되어 온 ‘대학 글쓰기’ 교육 풍토에 대해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교재를 활용한 첨삭지도의 효율적 방안에 대해 검토했다. 이 방안은 ‘대학 글쓰기’가 공통교양이라는 점을 우선 염두에 둔 것이다. 교재를 활용한 첨삭지도는 교수자들 사이의 첨삭지도의 내용과 형식의 차이를 줄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공통교양의 취지를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이 방안의 독창성은 완성된 글에 대한 ‘향후처방식’이 아니라 학습자가 먼저 ‘글 1’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글 1’을 교재의 이론에 따른 자기진단과 수정의 단계를 밟고, 그 사이사이에 교수자의 첨삭지도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동시 처방식’이라는 점에 있다. 이 ‘동시처방식’은 학습자의 자기주도의 학습원칙을 따르기 때문에 첨삭지도가 지닌 ‘수동성’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도 지닌다. 이 방법은 글쓰기 ‘지식생산의 효과’의 변화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이 같은 ‘파노라마식방법’은 곧 학습자의 학습욕구를 부추길 수 있는 시너지 효과도 일으킨다는 점에서 권장할 만한 첨삭지도의 한 방법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마지막 4장에서는 학습자의 글쓰기 변화 추이를 사례별로 살폈다. 이 사례들에서 거듭 확인되는 것은 교재를 활용한 첨삭지도의 ‘파노라마 방식’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의 학습 원칙에 의거하여 사고력과 창의력의 증진에도 도움을 주었을 뿐더러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켰다는 점이다. 본고의 목표는 현실적으로 열악한 첨삭지도의 환경에서도 첨삭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있었다. 이 모색의 한 방법이 교재를 실제로 활용하는 ‘파노라마 방식’이었다.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를 검토했을 때 첨삭의 항목과 평가의 지표를 별도로 구상하고 있을 뿐 그것을 교재와 직접 결부시키는 사례는 거의 찾을 수 없었다. 이 점에서 본고는 틈새 연구 전략을 구상하고 있는 셈이다. This study aims at strengthening the practical efficiency of writing correction guidance, while using the writing Textbook published from the Daegu University publisher. This aim starts on the assumption that we need first above all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in oder to guide a good practical writing correction. It means that the softwares as like some delicate methodological researches about writing correction guidance can`t functionate well without the improvement of the hardwa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university writing teaching. Hitherto the common tendency related to the researches about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is summed up in three theses. Namely, the first is the one that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needs unconditionally. The second is that its method is to be ‘opened form’. The last is that the standard clauses for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should be arranged. The recent research methodologies related to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are very elaborately embellished. But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is very poor to apply the delicate methodologies to the practical writing teaching.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first of all matters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So in the first chap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need of the improvement for the writing environment. Thereupon in the second chapter, I first surveyed the writing climate accomplished in the half generation before. In the third chapter, I proposed a ‘panoramic method’ of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based on the writing textbook. This method minimizes the professor`s role of feedback and maximizes the student`s self-correction of writing. And this method uses the related chapters of ‘the university writing textbook’ as the standard clauses for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The panoramic Method of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based on the writing textbook shows the process of the continual changes of student`s writing along the help of professor`s feedback and the student`s self-correction. This panoramic method has a decisive merit, which encourages the students to write about. The basic aim of this study is in the seeking of an effectual method to guide the writing correction guidance in spite of the poor environment for the writing teaching and the process of the writing feedback. A method which this study proposes is the ‘panoramic method’. This method has the utmost merit which shows the students the developed changes of their writing at a glance, which encourage them to write. This study seeks the method of a break tactics for a effectual method of university writing.

      • KCI등재

        포스트담론 이후 ‘청산’과 ‘지양’의 문제 : ‘총체성’과 ‘사물화’ 담론을 중심으로

        변상출 ( Byeun¸ Sang-chul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20 영어권문화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lternative theories after post-discourse. In the West, postmodernism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Revolution of 1968. It was both an expression of new sensibility and a criticism of Logocentrism and rationalism. The postmodernism, which began with the revolution in 1968, opposes the universalism centered on reason, and expresses a variety of sensibilities and desires. These include sex, religion, race, culture, art, etc. In short, postmodernism put multiplicity and pluralism as its first value. But the global economy is also more polarized after the postdiscourse. After the grand discourse of Marxist materialism attacked by post-discourse disappeared, individuals are losing their freedom, not enjoying more freedom in the place. The governing methods of global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 are more subtle and thorough. Now it seems necessary to bring the concept of totality and objectification into people's memories. Of course, this evocati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dialectical Aufhebung.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bring back the concept of ‘Verdinglichung’ and ‘Totalität’ that has been forgotten from our consciousness into the field of the problem.

      • KCI등재

        에드워드 톰슨의 알튀세르 비판의 실제

        변상출(Byeun, Sang-Chul)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4 No.4

        이 글은 역사유물론자 에드워드 파머 톰슨이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의 이론에 대한 비판의 실재가 무엇인지 검토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루이 알튀세르와 E. P. 톰슨은 공히 정평 나 있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다. 특히 알튀세르는 이론의 분야에서, 그리고 톰슨은 실천의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현대 마르크스주의자들이다. 주지하다시피 알튀세르는 1990년대 초 소비에트 현실사회주의 체제의 붕괴 이후 불어닥친 ‘마르크스주의 위기’의 시대에 ‘마르크스주의의 전화’의 가능성을 찾던 한국의 중요한 몇몇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들에게 철학적 대안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이때 그의 이론의 핵심 개념들, 이를테면 ‘이데올로기와 국가장치’, ‘이데올로기적 호명’, ‘중층결정’, ‘상대적 자율성’, ‘이론적 실천’ 등도 널리 확산되었다. 무엇보다 ‘중층결정’과 ‘상대적 자율성’은 토대에 대한 상부구조의 직접적 반영이라는 기계적 유물론을 넘어설 수 있는 개념장치로 보이기도 했다. 이로써 알튀세르주의는 전통 마르크스주의의 스펙트럼을 넓혀주는 이론으로 환대를 받았다. 그러나 그 같은 개념들에 대한 역사유물론자 에드워드 파머 톰슨의 반응은 싸늘하기만 하다. 톰슨은 그 같은 개념들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전화 가능성’을 보기보다는 오히려 반유물론과 반마르크스주의를 읽어낸다. 톰슨은 자신의 『이론의 빈곤』에서 알튀세르의 핵심개념인 ‘이론적 실천’을 비롯한 ‘중층결정’ 및 ‘상대적 자율성’ 개념이 마르크스에게서 중요한 요소로 작동하는 이념들, 예컨대 ‘역사’·‘경험’·‘인간’·‘도덕’의 이념들을 완전히 무시하고 있다고 주창한다. 이의 확실한 증거 중의 하나가 알튀세르가 역사는 ‘주체 없는 과정’이라고 말한 점이다. 톰슨에 따르면, 알튀세르의 ‘이론적 실천’은 주체를 역사에서 축출하고, 이론만으로 ‘지식효과’를 산출하는 ‘단성생식’에 입각한 ‘환원주의’이다. 따라서 알튀세르주의는 역사유물론도 마르크스주의도 아니라는 것이 톰슨의 알튀세르 비판의 실재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at knowing about the real in a historical materialist Edward Palmer Thompson’s Criticism of a french marxist philosopher Louis Althusser. L. Althusser and E. P. Thompson are all famous Marxists together. Above all, the one is well known in the part of Theory, and the other is also famous in the part of Practice. As we know, To some korean marxists, Althusser was a marxist philosopher who burst upon Korea in the early 1990s, the period of the crisis of Marxism through the breaking down of real socialism in Eastern Europe and Soviet Union. At that time, his theoretical key notions, for example, ‘Ideology and State Apparatus’, ‘ideological interpellation’, ‘overdetermination’, ‘relative autonomy’ and ‘theoretical practice’, etc. are also quickly spreaded into the korean academic society. Particularly, man see the concepts ‘overdetermination’ and ‘relative autonomy’ as the possibility to get over the mechanical materialism. So man think that Althusser plays the important roles in expanding the spectrum of traditional Marxism. However, Edward Palmer Thomson as a historical materialist rejects coldly Althusser’s concepts. He reads only a antimaterialist and antimarxist factor in those concepts, not ‘a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of Marxist’. Thompson insists in his work, The Poverty of Theory that Althusser’s key concept ‘theoretical practice’ neglects the very important marxist ideas, for example the ideas in relation to ‘History’, ‘experience’, ‘Human’, ‘Moralism’. In the opinion of Thompson, Althusser says that history is “a process without subject”. Althusser’s ‘theoretical practice’ drives the human subject out of the process of history. So his theory must be a ‘reductionism’ based on the intellectual ‘parthenogenesis’ which produces ‘intellectual effect’ only with Theory. Therefor, if we say the real in Thompson’s criticism of Althusser, we can say that Althusserianism means neither historical materialism nor marxism. Against Althusser, history means to Thompson not ‘a process without subject’ but “a form within which we fight”. Surely, the content of the form is in relation to blossoming a ‘blade of human aspiration’. Here we can see the nowness of Thompson’s criticism of Althusser.

      • KCI등재

        ‘Post-ACE’ 시대 공통교양 ‘대학 글쓰기’ 교육의 문제와 과제 - D대학의 ‘사고와 표현’ 영역 사례를 중심으로 -

        변상출(Byeun, Sang-Chul)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2 No.-

        이 글은 지난 20년간 ‘대학 글쓰기’를 포함한 ‘사고와 표현’ 교과의 변화 과정에 대한 반성을 통해 ‘포스트에이스’ 시대 ‘대학 글쓰기’ 안정적 운영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2000년 초 전국의 대학은 교양교육에 붐을 일으켰다. 이 붐은 글로벌화와 관련 있다. 글로벌화의 키워드는 다양화, 소통, 융합 등이다. 이 키워드들은 교양의 지평을 넓힐 것을 요구한다. 소통과 융합의 시대에는 ‘사고와 표현’이 중요한 대화의 수단이다. 그래서 대학에서는 글쓰기 강좌를 교양필수 교과로 삼고 대규모로 개설 운영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때 생겨난 교양 담당 기구가 기초교양 대학이었다. 이른바 ‘교양대학’은 지난 20여 년간 교양교육을 풍부하게 발전시켜왔다. 특히 ‘글쓰기’ 영역에서 많은 학생들의 글쓰기기초 실력을 다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많은 성과도 이뤄내기도 했다. 이때 이루어진 교양교육의 발전은 정부의 재정지원사업, 즉 ‘학부교육선도도대학 육성(ACE) 사업’에 힘입은 바가 크다. 2017년 이후 정부는 ‘ACE 사업’을 ‘ACE<SUP>+</SUP> 사업’으로 전환했다. ‘포스트 에이스’의 시대가 개막된 것이다. 대학은 이제 스스로 자립의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대학의 자율성 강화는 학문적 독립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자율적인 대학의 모습을 갖추기에 외적 환경이 매우 좋지 않다. 학령인구의 감소는 대학에 충격으로 다가오고 있다. 전국의 대학이 흔들리고 있다. D대학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자칫 ‘교양대학’은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더 심하게 느껴질 수 있다. 교양대학은 내적 구조가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포스트에이스’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한다. 본고는 위기의 상황에서 ‘글쓰기’ 교양이 지속되기 위한 전략으로 두 가지 과제를 문제로 제기한다. 하나는 조직구조의 민주적 운영과 관련된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공통교양 ‘글쓰기’ 수업의 학습효과의 지속성 문제이다. 대규모 필수 교과의 효과가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것은 비경제적으로 보인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단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했다. This article seeks to find a way for the stable operation of ‘university writing’ in the ‘Post-ACE’ era through reflection on the change process of ‘thinking and expression’ subjects, including college writing, over the past 20 years. In the early 2000s, most universities in Korea created a boom i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boom is related to globalization. The keywords of globalization are diversification,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These keywords require broadening the horizons of culture. In the age of communication and convergence, thinking and expression are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The so-called ‘liberal arts college’ has developed liberal arts education abundantly over the past 20 years. In particular, This colleg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ield of ‘university writing’ and achieved many achievements.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chieved at this time was greatly aided by the government"s ‘ACE Project’. After 2017, the government switched the Ace business to the Ace<SUP>+</SUP>. The ‘Post-ACE’ era has begun. Universities must now build their own foundations for self-reliance. Enhancing university autonomy is desirable for academic independence. However, the external environment is not very good for an autonomous university to take shape.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is coming as a shock to universities. Most universities in Korea are shaking. D.-University is no exception to this situation. Liberal arts college is relatively more volatile. The reason is that liberal arts colleges have a weak internal structure. This article considers how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the post-ace era can be operated more stabl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wo strategies for solving the problem. One is a problem related to the democratic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al body, and the other is a problem related to the continuity of the learning effect of the essential curriculum ‘college writ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o write should not be a one-time event. From the standpoint of a large-scale compulsory subject, if the learning effect of writing is one-off, it is uneconomica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tries to present a short opinion.

      • KCI등재후보

        E. P. 톰슨의 알튀세르 비판의 때늦은 현재성

        변상출 ( Byeun¸ Sang-chul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3 영어권문화연구 Vol.6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urrent meanings of Edward Palmer Thompson’s criticism of Louis Althusser. Althusser is a marxist philosopher who burst upon Korea in the early 1990s, the period of the crisis of Marxism through the breaking down of real socialism in Eastern Europe and Soviet Union. He was considered a key figure who could secure the transformation of Marxism from the crisis of Marxism through, for example, his key concepts such as ‘relative autonomy’, ‘overdetermination’, ‘ideological state apparatus’, ‘ideological interpellation’, ‘theoretical practice’ which played the important roles in expanding the spectrum of traditional Marxism. Thompson, however, did not embrace and even reject Althusser's concepts. He insists that the idea penetrating every Althusser's concept including ‘theoretical practice’ is the denial of a ‘subject’ as a human ‘agent’, which can be expressed in Althusser's remark on history as “the process without a subject”. For Thompson, Althusser's fatal problem comes not only from the denial of a subject, but also mainly from his theoretical reductionism where everything has resolved within the boundary of ‘theoretical practice’. In this reductionism, Thompson detects “Stalinism reduced to paradigm of theory”. He characterizes it as ‘structuralism of stasis’. In this structuralism, he continues to secure the concepts structuralism denies, such as ‘historicism’, ‘empiricism’, and ‘moralism’. Thompson insists that Althusser confines vivid human life, experience, and morals to the theoretical frameworks so that there is not a ‘blade of human aspiration’, which means the denial of a subject. In his book, The Poverty of Theory, he criticizes bitterly Althusser's exclusion logic of subject in history. In this process, he impliedly emphasizes the return of subject and the dialogue with subject, resulting in the restoration of a ‘blade of human aspiration’ withered by complicate control mechanism. It has been a half generation since the attack of New Liberalism in this country. As Postists vaguely warns, it seems that subjects of substantial discourses has disappeared. The shades of world market system is overwhelming everywhere. Despite the desperate situation, we cannot give up a ‘blade of human aspiration’. Thompson's continuous trials of reviving a subject and a ‘blade of human aspiration’ stand for his nowness in the present.

      • KCI등재

        전통 유물론적 문예이론에 대한 반성과 그 전망

        변상출 ( Sang Chul Byeun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8 독일언어문학 Vol.0 No.39

        Diese vorliegende Arbeit wird mehrere Ziele ins Auge fassen, zuerst die gegenwartige Bedeutung der materialistischen Literatur- und Kunsttheorie von Marx und Engels in dem Standpunkt unserer Zeit, der Postmoderne noch einmal zu prufen, und dann die marxistischen Literatur- und Kunsttheorien, d.h. die Widerspiegelungstheorie von G. Lukacs, die Produktionstheorie von B. Brecht und die kritische Theorie von Th. W. Adorno zu betrachten und ihre wichtigen Gegensatze voneinander zu unterscheiden. Nach Marx‘ und Engels‘ Materialismus, bestimmt das gesellschaftliche Sein das menschliche Bewußtsein. Von diesem Gesichtspunkt aus, werden alle Kategorien von Uberbau, z. B. Religion, Politik, Kunst und Literatur usw. der Veranderung der okonomischen Grundlage endsprechend bestimmt. Aber Marx sagt, die Entwicklung der materiellen Produktion -vor allem, im Zusammenhang mit der Entwicklung der Kunst kommt in ein Stadium ungleicher Entwicklung. Der idealistische Asthetiker findet das Wesen der ungleichen Entwicklung zwar in der Kunst-Autonomie, aber der materialistische sieht es in der kunstlerischen Gestaltung des Typus. Die kunstlerische Gestaltung des Typus ist der Kern der Widerspiegelungstheorie. Diese Theorie setzt voraus, daß die Wirklichkeit unabhangig von dem menschlichen Bewußtsein ist. Die Produktionstheorie und die kritische Theorie von der Frankfurter Schule wenden sich gegen die Voraussetzung der Widerspiegelungstheorie. Nach ihrer Meinung, ist derartige Widerspiegelung nur eine passive oder eine leere Widerspiegelung, denn die Widerspiegelungstheorie berucksichtigt nicht das aktive Subjekt. Also betont die Produktionstheorie die Produktion der Ideologie fur das kampfende Volk. Doch die kritische Theorie widerspricht der kunstlerischen Produktion der Ideologie. Sie lasst die Kunst nur mit der kunstlerischen Sprache sprechen. Aber bei dieser Theorie ist eine totale Konstellation des Werkes sehr wichtig. Totalitat ist ein wichtiger Begriff fur die materialistische Kunsttheorie. Bei dem Materialismus wird sie nicht nur als eine Weise des Begreifens der Welt verstanden, sondern sie wird auch fur den Trager des revolutionaren Prinzips in der Wissenschaft gehalten. Aber die Totalitat ist auch ein Trennungspunkt zwischen der Widerspiegelungstheorie und der kritischen Theorie. Diese macht aufmerksam auf die unterdruckende Totalitat, wahrend jene die Art der Menschenemanzipation der Totalitat betont. Hier kann man nicht sagen, die eine ist richtig, die andere ist es nicht. Beide sind sehr wichtig bei der Erkenntnis der komplexen Welt und der Praxis der Emanzipationsbewegung. In der Emanzipationsbewegung muß man die Elemente der Unterdruckung auf ein Minimum bringen. Also ist es notig, die beiden in einer dialektischen Einheit zu verschmelzen. Die Taktik der Dekonstruktion der Postmoderne hat eine politische Bedeutung darin, daß sie die Konstruktion der Herrschaft einigermaßen zu zersetzen strebt. Aber ihre Opposition gegen die herrschende Ordnung bedeutet nur das endlose Entlaufen, sofern sie kein letztes Ende hat. Eben hier gibt es einen wesentlichen Unterschied zwischen der postmodernen Dekonstruktion und dem dialektischen Materialismu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