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살풀이춤과 한(恨)의 철학적 해석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한국적 정서로서 살풀이춤의 내용이나 표현에 춤의 특성으로 표상화 되어온 `한(恨)`이 무엇인가를 철학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고자 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풀이춤의 원류라 할 수 있는 굿으로 거슬러 올라가 본 무속 살풀이춤에서는 `한`의 정서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의 `한`은 비(非) 대상을 향한 감정으로 원한이나 한탄의 의미보다는 춤을 통한 좌절의 회복, 즉 염원이나 소망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현행 살풀이춤에서는 `한`의 정서를 찾아보기 힘들었는데 왜냐하면 오늘날의 살풀이춤에는 종교적 의미나 상징의식이 전혀 없으며 기방 예인들에 의해 갈고 닦여졌던 민속무가 한성준에 의해 독특한 예술작품으로 승화된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한`은 한국문화의 정신적 전통으로 한국인이면 누구에게나 있는 일상적인 정서임을 감안하고 또한 살풀이춤의 음악이 살풀이 장단임을 볼 때 현행 살풀이춤을 출 때에도 `한`의 정서를 표현함이 맞다고 본다. 단지 `한`을 표현할 때 `한`의 부정적인 속성을 살풀이 춤동작을 통한 `삭임`이라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질적인 변화를 이룩해 나감으로써 살풀이춤 속에서의 `한`은 마침내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고유한 속성으로 진취성과 미래지향성을 갖는 긍정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hans' represented as a character of Sal-pu-ri d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vident that the hans existed in a shaman Sal-pu-ri-dance, dating back to the exorcism; the feeling should be the one for the unspecified individuals and viewed as the recovery of frustration(i.e. wishes or desire) than grudge or regret. Second, it is not easy to discover the emotion in the current Sal-pu-ri dance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religious meanings and symbolic rituals of the dance; folk dances cultivated by some artists became a distinct art work by Han sung Jun. Finally, the hans is said to be the source of Korean culture and can be regarded as Korean's everyday emotion. Considering that the music of Sal-pu-ri dance involves giving vent to the misfortune, the hans should be in the dance. Through the process of the mitigation of the mind, the hans in the dance comes to have the unique future-oriented meaning.

      • KCI등재

        온라인 무용수업 경험 및 무용공연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백현순,김양희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4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online practical classes conducted after COVID-19 on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es and performance experiences. Methods: Considering the 'appropriateness' and 'sufficiency' of the study, 10 college students from the dance department in downtown Seoul who are expected to honestly state their experiences were selected.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 classes for at least two years, and the research method was Colaizzi phenomenology. Colaizzi phenomenology is a study that focuses on revealing the empirical nature of a phenomenon through research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stating experiences with research participant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four steps suggested by Kim Bun-Han et al. (1999). Result: The meaning of online class experience was meaninglessness, sympathy, and low motivation. In addition, there were 9 themes such as burden, college life, poor concentration, physical contact, fear, co-workers, distraction, anxiety, and practical skill difference. The meaning composition of the online performance experience was practice room performance, communication, emotion and understanding, audience, comfortable viewing, and lack of sense of presence. Conclusion: In the case of practical subjects, the burden and inconvenience of non-face-to-face online video classes, and the ineffectiveness of education, sympathized with the necessity of field performanc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진행된 온라인 실기수업이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공연 경험에 어떠한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적절성’과 ‘충분성’을 고려해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진술해 줄 것으로예상되는 서울 시내 소재 대학 무용학과 대학생 1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최소 2년정도의 온라인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로 연구방법은 Colaizzi현상학을 사용하였다. Colaizzi 현상학은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및 체험을 진술하는 질문지 등의연구를 통해 현상의 경험적 본질을 밝히는데 중점을 둔 연구로 본 연구의 설계는 김분한 외(1999)가 제시하는 4가지 단계를 거쳐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들이 느끼는 온라인 수업경험의 의미구성은 무의미함, 교감, 의욕저하 등 3개로 범주화하였으며 부담감, 대학생활, 집중력저하, 신체접촉, 두려움, 동료, 산만함, 불안감, 실기차이 등 9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느끼는 온라인 공연경험의 의미구성은공연효과와 대중성 등 2개의 범주로 나누었으며 연습실 공연, 소통, 감동 및 이해, 관객, 편안한 관람, 현장감 부족 등 6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결론: 실기교과의 경우 비대면 온라인 영상 수업의 부담감과 불편함, 그리고 교육의 효과면에서 무익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공연 역시 온라인 공연보다 직접 공연장에서 직접 관객들과 만나는 현장공연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다.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콘텐츠 유형 탐색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1

        This study analyzed 8 site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search contents type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eb site in internet based knowledge base society. This finding shows that on the websit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the directory should be classified with a view to searching for dance, according to its forms and characteristics. The website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to be modified so that relevant material can be built up, depending on the type of dance. The website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does not cover dance information of south Korean cities and provinces and five northern Korean provinces, so the dance needed to be categorized. For on the websit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dance information by different criteria based on region has been offered. For each dance, dissimilar authors are involved, leading to inconsistency of dance content.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need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insight into diverse dance. In case of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folklore, som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hich has to be included in the dance division is found in the improper area, which reveals that division of dance should be systematized. On the website of encyclopedia of Korean traditional festivals, definition of traditional festivals ought be reestablished and in-depth aesthetic discussion is to be carried out. The website of culture content has to deal with whole knowledge of one dance. 본 연구는 인터넷이라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콘텐츠 유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무형문화재 관련 8개의 사이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문화유산 포털 웹사이트에서는 춤의 유형 혹은 춤이 가진 속성에 따라 춤을 검색할 수 있도록 디렉토리를 세분화 함이 좋겠고, 문화재청 웹사이트는 춤 관련 정보가 총체적 혹은 유형별로 검색되지 않으므로 종목에 따라 자료가 구축될 수 있도록 최적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국립무형유산원의 웹사이트에서는 시·도무형문화재와 이북5도 무형문화재 춤 정보가 전혀 탐색되지 않으므로 이들 춤도 유형화하여 무용, 놀이, 의식 등에 포함되어 있는 춤 콘텐츠를 총체적으로 콘텐츠화 하여야 한다. 향토문화전자대전의 웹사이트는 지역별로 다른 기준에 의해 춤 정보가 제공되고 있으며, 또한 각 춤별로 집필자들이 서로 달라 춤 내용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고르게 서술함이 좋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웹사이트는 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어려운 것이 단점이므로 이를 보완하여 춤을 다양하게 통찰을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웹사이트는 무용에 포함되어야 할 국가무형문화재가 다른 분야에 속해 있는 오류가 있으므로 이를 바로 잡아 춤의 분류체계를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전통연희사전 웹사이트는 무용학적 측면에서 전통연희의 개념을 새롭게 정리하여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미학적 측면의 논의를 따로 분류하여 층차적으로 콘텐츠화 하는 것이 좋겠으며, 문화콘텐츠닷컴 웹사이트는 한가지의 춤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내용을 정리함이 좋겠다는 생각이다.

      • KCI등재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CMS 및 화면 레이아웃(layout) 구현

        백현순,김양희 한국무용연구학회 2019 한국무용연구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ubsequent researchers by implementing CMS and website screen layout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ance website. Therefore, we have effectively implemented the layout to search the information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each page of CMS and website and to confirm the location and function of the menu.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CMS, a data page for data manager, consists of main page, registration and modification of dance content DB, detailed search and deletion of dance content, and registration and deletion of media content. In addition, the search box, index by list, tags, etc., can be used to search for various dance items. Second, the website screen, which is a data page for data users, consists of menus of 'Map Dance Search', 'Text Dance Search', 'Media', and 'Introduction of Research'. In addition, the search for dance items was search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region, designation period, tag, media, etc.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ttached. 본 연구는 한국무형문화재 춤 웹사이트 개발을 위하여 CMS와 웹사이트 화면 레이아웃을 구현함으로써 후속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CMS와 웹사이트 각각의 페이지에서 한국무형문화재 춤 정보를 탐색하고, 메뉴의 위치 및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 배치도를 효과적으로 구현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데이터 관리자용 웹페이지인 CMS에서는 크게 메인 페이지, 춤 콘텐츠 DB 등록 및 수정, 춤 콘텐츠 상세조회 및 삭제, 미디어 콘텐츠 등록 및 삭제 기능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검색창, 목록별 색인, 태그 등을 통해 춤 종목을 다양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데이터 사용자용 웹페이지인 웹사이트 화면에서는 크게 ‘지도 춤 검색’, ‘텍스트 춤 검색’, ‘미디어’, ‘연구 소개’의 메뉴로 구성되었다. 춤 종목 검색은 한국무형문화재 춤의 분류, 지역, 지정시기, 태그, 미디어 등에 따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후속 연구의 촉발을 위해 웹사이트가 구축되기까지의 연구 성과와 연구원들에 대한 정보 메뉴를 첨부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민족의 기원으로 본 한국춤 사상-단군 신화를 중심으로-

        백현순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6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2 No.1

        「단군 신화」는 우리 민족의 신화로 비록 다른 민족의 신화와는 다르나 신화적 특징을 가진 특이한 신화이다.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기원인 「단군 신화」를 통해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우리 민족의 사상적 원류를 탐색하고, 그 민족사상적 특성이 한국춤 속에서 어떠한 춤 철학을 구성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단군 신화」는 고조선 건국의 주역인 환웅이 곰에서 인간으로 변한 웅녀와 결혼하여 국가를 만듦으로써 민족 중심의 주체적 의식이 신과 인간의 결합이라는 융합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는 우리 민족의식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을 드러낸 것이라 볼 수 있다. 「단군 신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인 삼국유사에 나타난 단군 신화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군 신화」의 사상을 유추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와 국가를 세우는 이념으로 ‘널리 인간세계를 이롭게 할만하다’는 홍익인간사상과 인간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것을 국가의 목적이자 각개인의 삶의 목표라고 보는 인간 중심주의인 휴머니즘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단군 신화」에서 우리 민족의 존재 근원인 천지인 합일사상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데, 곰이 쑥과 마늘만 먹어 인간이 되어 결국 천신과 결혼하는 인간적 질서의 모태를 설명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존재상황에 기반을 둔 토테미즘을 느낄 수 있다. 넷째, 단군은 나라를 세워 인간세계를 다스렸는데 그의 역할이 바로 무당이자 통치자였다는 것을 통해 「단군 신화」 속에는 우리의 무교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단군 신화」에는 우리가 천자의 후손임을 알게 해 주고, 우리 민족에게 동질성을 심어 주어 미래의 희망적 삶을 살게 한 ‘한’사상이 들어 있다. 여섯째, 「단군 신화」에는 단군을 ‘환인제석’이라는 불교용어를 사용한 점과 후에 단군이 죽어 신선이 되었다는 도교적 요소의 사상, 그리고 가부장제의 유교적 사상 등 여러 가지 사상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단군 신화」의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춤 사상을 추론해 보면, 첫째, 한국춤 역시 홍익인간과 휴머니즘 사상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 민족은 천신과 조상을 숭배하였는데, 그 숭배의식을 위해 춤을 추었다. 그리고 그 춤의 목적이 홍익인간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춤의 주체나 대상, 표현 등 모든 것이 다 사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휴머니즘 행위인 것이다. 둘째, 한국춤을 출 때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무용수는 천지인의 공간 구조에서 삼재의 조화를 이루는 주체로, 한국춤에서의 천지인 합일은 「단군 신화」 속 우리 민족의 존재 근거와 함께 우주의 탄생에 관한 사유체계의 철학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국춤에는 「단군 신화」에서 보이는 토테미즘 사상과 무속사상이 들어 있다. 넷째, 한국춤에서의 ‘한’은 ‘한사상’의 의미를 지니며 「단군 신화」에 나타나는 한사상은 유․불․선이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는 사상이다. 이를 한국춤과 연관하여 볼 때 이기(理氣)의 우주 전개 개념으로 음양의 원리에 의해 동작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한’사상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교춤, 불교춤 등이 현재 추어지고 있는 점 등을 볼 때 한국춤 속에는 한사상을 포함하여 유교사상이나 불교사상 등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angun Myth>, as one of the Korean myths, has been believed to be characterized by the unique mythological feature different from the other ethnic myth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ideology in the Koreans by dint of <Dangun Myth> and the contribution of ideological properties to the philosophical construction of Korean dance. <Dangun Myth> is marked by the convergence of ethnicity-centered autonomous consciousness, God and human through the birth of a nation following the matrimony between Hwanwoong as main agent of founding of Kojoson and Woongnyeo as human transformed from a bear, which illustrates Korean characteristic of ethn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ntent of <Dangun Myth> shown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 first literature on <Dangun Myth>, some ideas of <Dangun Myth> can be inferred. First of all, as a founding ideology,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are profoundly rooted. Then, oneness of heaven, earth and man is involved. Third, <Dangun Myth> has the blended feature of historical facts and mythological elements of Kojoson, showing the matrix of human order through the matrimony between human changed from a bear and heavenly god, which leads us to perceive totemism based on existential state of Korean people. Fourth, from the fact that Dangun, as a shaman and ruler, founded a nation and governed human world, Taoism is believed to be included. Fifth, in <Dangun Myth>, the thought exists that proves the Koreans are sons of heaven and gives us homogeneity, making us lead a better life in the future. Last but not least, seeing that Dangun is also named as Hwanin Jeseok, a Buddhist term, Dangun becomes an ascetic and patriarchy is widespread, the thought of Buddhism, Taoism, and Confucianism is said to be inherent in <Dangun Myth>. From the <Dangun Myth> mentioned earlier, the ideas on Korean dance can be inferred. To begin with, it is discovered that Korean dance has also the thought of humanitarianism and humanism. The Koreans worship heavenly god and ancestors, dancing for worship ceremonies. The purpose of the dance is to benefit all the humans; the subject, object, and expression involved in the dance are an act of humanism. Second, Korean dance performers existing between heaven and earth could be defined as the subject creating harmony of the three disaster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earth and human. The unity of heaven, earth, human in Korean dance displays basis existence of the Koreans and the philosophical structure of thinking system on the origin of the universe. Third, Korean dance definitely has the idea of totemism and shamanism. Finally, 'sorrow' in Korean dance is meant by Han-ism, which forms inseparable relationship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dance has been greatly affected by Han-ism in that the movement of Korean dance is determined by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confucian and Buddha dances are seen to be performed, Korean dance is believed to include H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 KCI등재

        생활 한국춤과 활인(活人)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회 2009 한국무용연구 Vol.27 No.2

        본 논문은 퇴계의 활인심방에 들어있는 `소리에 신비한 힘이 있다`는 `거병연수육자결(去病延壽六字訣)`을 바탕으로 생활 한국춤을 만들고자 한 것이다. 거병연수육자결은 병을 없애고 수명을 연장하는 6가지 소리를 말하는데 이 소리와 함께 한국춤 동작을 만들어 일반인들이 누구나 쉽게 생활무용으로서 한국춤을 출 수 있게 하고자 한 것이다. 즉, 여섯가지 소리와 한국춤이 어울려 사람의 오장육부를 운동시킴으로써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생활 한국춤을 개발하고자 한 것이다. 거병연수육자결의 6가지 소리는 휴, 훠, 후, 쓰, 취, 히 로 낸다. <휴>는 간의 기능을 좋게 하고 <훠>는 심장의 기능을 좋게 한다. <후>는 비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쓰>는 허파의 기능을 좋게 한다. <취>는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며 <히>는 삼초를 좋게 한다. 그리고 <하하 호호>등의 소리는 마무리 동작과 함께 즐겁게 활짝 웃음으로서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함이다. 이상의 퇴계의 건강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춤 동작을 만들어 소리를 내면서 춤을 추는 소리비법춤을 만들어 보았는데 춤동작의 특징은 호흡과 몸의 굴신운동을 통해 천지의 기운이 온 몸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it possible for the public to have an access to the movement of korean daily dance, based on Kyoebungyounsuyukjakyeol that has the idea that the sound in Toegye`s Hwalinshimbang has a mysterious power. In other words, this paper aims to develop Korean daily dance which helps one`s longevity, by making the five viscera and the six entrails activate, by a mixture of six sounds and Korean dance. Kyoebungyounsuyukjakyeol says that six sounds which cure the illness and extend one`s lives are the secret way to make the five viscera and the six entrails function well; they as Whu(휴), Huhoe(훠), Hoo(후), Thu(쓰), Chui(취), and Hee(히); Whu makes the liver function well, Huhoe does the heart, Hoo does the visceral, Thu does the lungs, Chui does the kidney, and Hee does the chest, the abdomen and abdominal region; The sound such as Haha Hoho is made to lead to happy life with bright smile when the final movement is progressing. Finally, I have created the dance of sound, using the action of Korean dance; it features the universal spirit`s spread over the whole body, by dint of the motion of bending legs.

      • KCI등재

        경상도 지역 덧배기춤의 연행과정과 의미

        백현순 한국무용연구학회 2022 한국무용연구 Vol.4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덧배기춤을 바탕으로 경상도 지역을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분류하여 그 지역별 덧배기춤에 대한 연행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 속에 내재되어 있는 덧배기춤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덧배기춤의 경계를 송석하의 지역적 구분에 따라 내륙지역과 해안지역으로 구분하여 선행 연구된 연구물과 문헌을 통한 분석연구이다. 결과: 첫째, 안동하회별신굿탈놀이는 탈을 쓰고 노는 놀이로 덧배기의 ‘덧’에 해당되는 내용이 ‘탈’의 의미를 지니며 탈놀이 속에는 마을굿과 제의성이들어있다. 따라서 덧배기춤의 의미는 탈과 탈놀이의 연행목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밀양백중놀이에서 덧배기춤의 의미는 명칭의 변화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연행과정에 덧배기나 자진 덧배기 장단에 맞춰 덧배기춤을 추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덧배기춤이 허튼춤 계열의 들놀이임을 상기하면 야류가 들놀이이므로 동래야류에서추어지는 춤은 덧배기춤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넷째, 고성오광대는 탈놀이로 덧배기춤이 탈춤이나 들놀이의 허튼춤, 북춤 등에 그 기원이 있듯이 역시 덧배기춤을 추고있다. 다섯째, 덧배기춤은 내륙지역은 마을굿의 의미와 제의문화를 띠고 있으며 해안지역은 들놀음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결론: 덧배기춤의 의미는 탈, 제의, 마을놀이, 들놀이, 탈놀이 등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연행절차는 연행목적에 따라 조금씩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