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놀이치료가 아동의 부모자녀관계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백지은,이영환 한국재활심리학회 2009 재활심리연구 Vol.16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ive of a 10-week filial therapy model as a method of intervention for Parents of Internet game addition children. The 7 mother-child dyads agreed to participate in our program and 6 mother-child dyads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Mann-Whitney U-test was performed following the therapeutic program.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rents of Internet-addition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level of empathic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as compared to parents in the control groups. and significantly didn't reduced behavior broblem level of children.

      • KCI등재

        노인의 삶의 지지와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백지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6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 variables influencing death anxiety and relationships of general characteristics, death-related characteristics, support source(social connectedness, family health, spiritual well-being, and self integrity), and death anxiety. The data came from 530 elderly aged 60 and over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source(social connectedness, family health, spiritual well-being, and self integrity) variables more effect on the death anxiety tha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ath-related characteristics. Second, types of support source by social connectedness, family health, spiritual well-being, and self integrity are classified into 3 types : 'Whole support type', 'Religious belief focused type', 'Self integrity focused type'. Third,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mpanion death, and death anxiety among three support source typ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rrange the multi-dimension and integrated welfare service for death anxiety. 본 연구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주요 영향요인인 사회적 유대, 가족건강성, 영적 안녕, 자아통합감에 따라 노인을 유형화하여 유형별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죽음관련 특성, 그리고 죽음불안에 있어서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유의표집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 530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성과 죽음관련 특성에 비해 노인의 삶의 지지요소인 사회적 유대, 가족건강성, 영적 안녕, 자아통합감이 노인의 죽음불안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유대, 가족건강성, 영적 안녕, 자아통합감 정도에 따라 유형을 분류한 결과 '전체적 원만형', '신앙 중심형', '자아통합 중심형'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유형에 따라 사회인구학적 특성, 죽음에 대한 대화상대 유무, 죽음에 대해 느끼는 불안정도에 있어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보다 적절한 개입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다차원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 경험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백지은 한국여성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ddition,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experi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depression, and generativity of old women and old men. I achieved data of 705 elderly(man 332, women 373) aged 65 and over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experience and old men felt mo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enerativity and less depression than old women. Second, for old men, social support experiences providing to significant others mor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health than social support experiences receiving from them. On the other hands, for old women, social support experiences receiving from significant others had important effects.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on psychological health by social support types for old women and old me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we need detail and integrated elderly welfare interventions to promote psychological health for elderly.

      • KCI등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감에 대한 연구

        백지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loss experience,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 of loss experience o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65 elder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First, the young-old were more likely to have spouses than the old-old. Second, old-old experience more loss of health, relationships, economy, and role than young-old. And old-old had higher aging anxiety and lower depression than young-old. Third, for young-old, loss of health, economy, and role affected depression. And for old-old, loss of role affected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and loss of economy affected aging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y and system to supplement loss experience suitable for young-old and old-old. 본 연구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일반적인 특성,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6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는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다른 변인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 건강, 관계, 경제, 역할에 있어서의 상실경험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노후불안은 더 크고, 우울은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기노인의 경우 건강, 경제,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으며,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상실과 경제상실 경험이 클수록 노후불안이 컸으며,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았다. 본 연구는 노년기를 세분화하여 노년 전기와 후기에 적합한 상실경험 보완 정책 및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김승옥 소설의 언어와 형식 연구

        백지은 민족어문학회 2004 어문논집 Vol.49 No.-

        Kim Seung-ok wrote on individual subjective conditions mostly. Most of stories in 1950's (before Kim Seung-ok) mainly described outward surroundings, but Kim began composing of inward consciousness in earnest. The conscious world excavated by this writer was referred not to substantial reality but to obscure atmosphere caused by individual psychological state. The consciousness came into ‘a world’ by Kim Seung-ok who did not record his inner life but configurate an inner world. To configurate an inner world is to compose it in words. It is contrary to ‘describe’ one's thinking. It is to ‘invest’ one's inner life with configurations. When it is configurated in words, it is also different from narration. This kind of lingual form constructed by Kim Seung-ok could be considered as consciousness-structure itself. When you write about events happened to people, you should use a word descriptively. However, when you write about inner world such as your feeling and thinking, you should create an object in words because inner worlds do not have visible forms. Kim Seung-ok's sentences created a new structure for an inner world as an established form. His stories are writings ‘constructing’ certain consciousness, not ‘about’ consciousness. Therefore Kim Seung-ok's texts are not the representations of the visual world. His language is not representative, too. There has not been articles about lingual formation and signifying language of Kim Seung-ok's writings. This article has two subjects to look into. ⑴ How the words in Kim Seung-ok's writings invested one's consciousness with configurations ⑵ What constructed the world configurated in words. 김승옥은 주로 ‘내면(內面)’이라 부르는 주관적 개인의 세계를 소설로 썼다. 외적 현실에 대한 묘사를 주로 다룰 수밖에 없었던 전후 문학과 달리 김승옥의 소설에서는 ‘개인의 의식세계’라는 내부 심리가 본격적으로 발굴되었다. 그의 소설이 발굴하는 그 세계란 구체적 상황이나 입장에서 비롯한 실체라기보다 어떤 심리적 태도에서 기인한 모호한 분위기와 관련 있다. 김승옥의 소설은 의식이란 것을 하나의 세계로서 출현시켰는데 그것은 ‘내면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내면에 형태를 준 것’이다. 이때 가장 필수적인 과정은 그것을 언어의 형식으로 만드는 작업에 있다. 내면에 형태를 준다는 것은 결국 언어로, 소설의 문장으로 그것을 구성한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내면의) 형태를 그려낸다는 것이 아니라 형태를 부여한다는 것은, 언어를 구사하는 시각과 방법이 눈앞에 보이는 사물의 윤곽이나 재질을 드러내는 기술(記述)과는 같지 않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것은 의견이나 사상을 진술하듯 의식을 기술한다기보다 내면에서 감각되는 형상을 살려내고 거기에 감수성을 입혀서 언어의 형식을 의식의 구조 그것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사회적 현실의 구체적 사건이나 그 맥락을 서술하는 문장들이 어떤 사실이나 의미에 대해 지시적으로 묘사한다면, 내면이라는 무정형의 세계를 쓰는 문장들은 지시할 실체적 대상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그렇게 씌어짐으로써 실체가 아닌 것이 실체처럼 드러날 수 있도록 그 나름의 형태를 스스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다면 김승옥의 언어, 그의 소설의 문자들은 어떤 의식에 ‘대한’ 글이 아니라 그 자체로 어떤 의식을 ‘구성하는’ 글이라 할 수 있다. 그 언어의 기표는 작가 자신의 의식에 새겨진 기억이나 실제로 체험했던 사건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기의를 갖고 있지 않다. 작가는 기억과 체험이 의식에 의해 흡수 또는 거부됨으로써 형성된 내면이라는 공간을 ‘언어의 몸’으로, 기표의 형식으로 출현시키고자 한다. 김승옥 소설의 언어가 무엇을 정립 반영하기보다 그것의 형태를 스스로 만든다는 것에 관하여, 즉 의식을 언어로 구성한 형식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다. 이 논문은 김승옥의 소설에서 ⑴ 언어가 의식에 형태를 부여하는 과정을 추적하고 ⑵ 형태를 입은 그 세계가 무엇으로 성립되었는지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무엇을’ 구성했는가의 문제만이 아니라 그 무엇을 구성하는 ‘기표’의 문제와도 맞물린다. 따라서 이 논문의 글쓰기는 <언어는 무엇을 구성함으로써 무엇으로 구성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과정이 된다.

      • KCI등재

        정의 문학론과 근대 문학 개념의 미분화 양상 고찰

        백지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6 No.-

        "정"은 근대 초기 문학 개념의 핵심어로서 전통적 가치 구도를 전복하고 새로운 세계상을 형성하기 위한 기획의 중심에 놓여 있었다. 당시의 담론들이 근거했던, 지정의 삼분법에서 진선미 삼분법으로의 이행 경로는 "정-미"의 부각을 위한 분리와 배제의 논리였고 이로써 문학의 예술적 "심미화"가 점차 확립되어 근대 문학의 자율적 개념 또한 정착되었다고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정-미"를 문학의 중심에 두는 와중에 문학을 둘러싼 다른 맥락들이 자연스럽게 정리되거나 해소된 것으로 간주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정의 문학"에 관한 논의는 대체로 근대 계몽기 이래의 "삼분주의"-"지덕체"의 교육론과 "지정의"의 심성론, "진선미"의 가치론 등-의 구도를 의식한 채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 삼분법들이 표면적으로는 "분립적 병행론"의 성격을 띠고 각각의 가치들이 상호 대립하는 배타적 범주화를 초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기 모순적 논리들의 혼매(昏昧)를 감안하고 본다면 실제적 혹은 심층적으로는 이미 삼분법의 제약을 위반하고 있었거나 애초에 분화 자체가 명확치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그 복잡한 양상의 초기적 일면을, 특히 "정"이라는 용어의 특수한 용례들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정"을 개념화하기 이전 시기에 가령 "상무정신" 등이 담당했던 "계몽"의 역할을 마음의 자율로 떠안은 "정"의 영역은 지정의 삼분 구도에서 지와 의에 대등해지기보다 지와 의보다 월등한 위상으로 초월하였다(본론의 1절). 감정, 성정, 동정, 인정 등을 다소간 무차별하게 포함해버린 "정"의 거대한 범주는 진선미 삼분법에 의해 분화되는 가치라기보다 진선미를 모두 포섭해버리는 의의로 이어졌다(본론의 2절). 대략 이러한 전개를 통해 "정"의 다채로운 용법들을 살펴 정의 가치가 진선미 중 어느 한 쪽으로만 수렴되지 않았음을 입증하였고, 이 과정에서 전근대 시기의 문학 개량론들과 1910년대인들의 의식 사이의 유사성을 의도적으로 부각시켜보기도 하였다. 이 시기 문학론들은 스스로 출현할 수밖에 없었던 이론적 필요성이 아니라 새로운 문학을 창안하려는 기획에 의해 존재하는 것이었다. 그랬기에 "예술적 자율성"은 언제나 구체적 형상이 아니라 미라는 형상의 개념으로 대체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 근대 문학의 예술적 자율성의 기원으로 여겨져 온 "정"의 개념이 정신력이나 가치관을 분화하기보다는 통합하는 "초월적" 위상에 놓여 있었음을 그 초기적 용법을 통해 고찰하였다. 이는, 이 시기 정의 개념에서 근대 문학의 예술적 자율성의 단초를 엿보았던 기존의 연구들이 "정-예술-미"의 연속성을 강조하였던 것을 보정(補正)하면서, 근대 문학의 "미적 자율체"로서의 위상은 진선미 삼분법에 의해 분할된 영역의 한 지점에서 결정되기보다 삼분법이라는 표면적 구도가 합체되거나 무화되는 지점에서 말해졌음을 보인 것이다. Generally Speaking, the concept of "Literature of Emo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part of "the Trichotomy"-ji·deok·che[智德體, Intelligence· Virtue·Physique] or ji·jeong·eui[知情意, Intelligence·Emotion· Volition] or jin·seon·mi[眞善美, Truth·Good· Beauty]-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However, it contained a lot of self-contradiction logically. The concept of "Literature of Emotion" has originated from the integrated point of three fields. It was already the violation of the classification. This article was investigated by a special usage of the term, "Jeong[Emotion]". The area of "Jeong" went beyond complex phase of three parts, rather than stayed at the comparable phase. (Section 1 of Ⅱ) Broad area of that term, including multiple meanings, subsumed all three parts and became to be the overall status. (Section 2 of Ⅱ)

      • KCI등재

        손창섭 소설에서 '냉소주의'의 의미

        백지은 한국현대소설학회 2003 현대소설연구 Vol.- No.20

        The Significance of Cynicism on Son Chang-seop's stories 전후 현실을 가장 부정적으로 그려낸 작가로 평가받아 온 손창섭의 소설에서 ‘냉소’의 의미는 주로 작가가 육체적 불구자나 정신적 무능력자 등의 모멸스러운 인간상을 창조하여 그들을 비웃는다는 뜻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냉소’라는 말은 그 어원에서부터 부정적 대상을 비웃는다는 직설적 의미만을 가진 것이 아니다. 해학이나 풍자와 달리 ‘냉소’에는, 자기 자신도 벗어날 수 없는 부정적 상황을 수락한 후에 다시 그에 대항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분열적’ 의미와 비웃는 대상과 비웃는 주체의 자리가 역전될 수 있다는 ‘거리감각’이 필수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손창섭 소설에서 인물을 그리는 서술자의 이중적 태도가 아이러니적 세계인식과 서술기법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던 기존의 연구들은 손창섭 소설에 반대물들의 긴장과 반성적 거리감각이 내재한다는 것을 밝혀, ‘냉소’가 전략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이 논문의 가정을 뒷받침한다. 손창섭 소설들에 나타나는 비슷한 구도와 분위기를 연출하는 요소 중, 인물의 못나고 덜된 부분을 집중적으로 드러내는 자학적 충동과 모멸당하는 대상이 모멸하는 주체의 연민을 차단하는 장면화의 기법은, 역으로 그들이 살고 있는 소설 세계가 그것을 읽고 있는 독자들의 경험세계를 공격적으로 비난하는 것처럼 여겨지게 한다. 이것은 서술자의 ‘태도’가 이중적이기 때문이 아니다. 서술자의 ‘기능’이 둘로 나뉘기 때문이다. 소설 속의 서술자는 서사적 내용을 전달하는 초점화자로서 기능하기도 하고 작가의 궁극적 의도를 전달하는 내포작가로 기능하기도 한다. 손창섭 소설에서 초점화자로서의 서술자는 소설 속 세상을 더욱 모순되게 만들고 내포작가로서의 서술자는 그러한 소설 속 세상을 희화화하여 폭로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창조된 손창섭의 소설세계는, 그 허구적 세계 안에다 진정한 의미를 구현했기 때문이라기보다 그것이 전후 현실이라는 혹은 인간의 운명이라는 경험 현실에 대항하기 위해 ‘창조’된 또 하나의 세계이기 때문에 의미 있는 문학사적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Anti-apoptotic Effects of the Alpha-helix Domain of Silkworm Storage Protein 1

        백지은,이원종 한국생물공학회 2017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2 No.6

        Apoptosis is a programmed cell death and a mechanism for the maintenance of multicellular organism homeostasis. In bioindustry, apoptosis during cell culture used to produce therapeutic proteins results in the reduction of productivity and quality. Thus, it is crucial to develop novel techniques and materials to inhibit apoptosis.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storage protein 1 (SP1) has antiapoptotic effects on HeLa cells, but the part of SP1 responsible for the anti-apoptotic effects is unknown. Herein, the anti-apoptotic effects of the N-terminal, α-helix domain of SP1 (SPD1) were investigated by generating a cell line stably expressing SPD1. SPD1 expression conferred strong resistance to apoptosis induced by staurosporine (STS). SPD1 diminished the loss of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inhibited caspase-3 activation, suggesting that it acts as an upstream apoptosis inhibitor. SPD1 was also produced as a recombinant protein in E. coli and culture medium supplementation with recombinant SPD1 resulted in apoptosis inhibition in HeLa cells. The capability of SPD1 to penetrate cell membrane was also assessed, and the results show that it localized in the cytosol, as well as on the plasma membrane. This indicates that SPD1 is a cell-penetrating protein with high antiapoptotic activity. In conclusion, SPD1 is a novel protein responsible for the anti-apoptotic effect of SP1, and it can be considered as a new biomaterial that can minimize cell death and maximize productivity in biopharmaceutical industry. In addition, the miniaturization of SP1 in SPD1 can facilitate its practical usage as a culture medium supplement and cosmetic ingred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