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로표지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도로표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백상근 ( Sang-keun Baik ),홍창희 ( Chang-hee Hong ),김노민 ( No-min Kim ),박현근 ( Hyun-keu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국토해양부에서는 전국 도로표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국내 300여개 도로표지 관리기관에서 도로표지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01년 웹 기반의 도로표지전산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고, 2003년 도로표지종합관리센터를 설립하여 지속적으로 운영해오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 기반의 도로망도 상에서 전국 도로표지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어 도로표지의 안내 연결성 확보 등 국내 도로표지 관리업무에 많은 부분 기여해 왔다. 최근 들어서는 모바일 환경이 구축되면서 인터넷이 연결된 사무공간 외에 현장에서도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도로표지종합관리센터에서는 도로표지전산관리시스템 이용자들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하여 현장지원을 위한 도로표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3G/4G/Wi-Fi 등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모바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도로표지전산관리시스템의 기능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현장이라는 공간 특성을 반영하여 쉽고 간단하게 기능을 구현하였다는 데 특징이 있다. 이를 통해 도로표지 담당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도로표지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고, 현장조사 시 표지 사진과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현장에서 즉시 도로표지전산관리시스템에 표지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현재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버전 1.0이 개발된 상태이며, 향후 다양하고 반복적인 사용자 활용 패턴을 면밀히 분석하여 보다 사용하기 쉽게 도로표지전산관리시스템 기능을 사무공간에서와 같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자 한다.

      • 고속도로 무인속도측정기 설치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백상근(Baik, Sang-Keun),정헌영(Hun Young Jung),김성규 대한교통학회 2006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3 No.-

        우리나라는 ’92년 전국 도로망체계 재정비계획을 수립하여 국토의 균형발전, 고속생활권 구축을 목표로 국가간선도로의 마스터플랜인 전국 간선도로망을 남북방향 7개축, 동서방향 9개축인 (일명‘세븐바이나인’) 총연장 6,160㎞에 달하는 격자형 도로망을 건설할 예정이다. 그 중 고속국도는 ‘05.12월 현재 24개 노선 3,050㎞에 이르고 있다. 고속국도 연장 증가와 아울러 2005년 12월 기준으로 1,540만대에 달하는 자동차 보급으로 인한 교통량 증가로 고속국도에서는 최근 10년간 42,387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고, 주된 사망사고의 원인중 하나인 과속에 의한 교통사고는 9,868건으로 전체 교통사고의 23.3%에 달하고 있다.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현재 전국적으로 무인속도측정기(Automated Traffic Enforcement System)가 운영 중에 있고 속도위반차량 단속으로 사고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으며, 2005년 12월말 현재 전국 도로에 3,326대의 무인속도측정기(신호위반 포함)가 운영 중에 있다. 그 중 고속국도에서는 연간 일정구간에 대한 교통사고발생현황 및 도로환경을 고려하여 사고취약지점 및 구간을 선정하고, 선정된 구간 중 과속사고 발생건수가 많은 구간이나 과속이 우려되는 지점을 선정하여 무인속도측정기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2005 년 12월 현재 고속국도에는 530대의 실물 및 모형 무인속도측정기가 설치되어 있다.

      • KCI등재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이용자 중심의 경전철 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 부산~김해경전철과 부산도시철도 4호선(반송선)을 중심으로 -

        장석용,정헌영,백상근,Jang, Seok Yong,Jung, Hun Young,Baik, Sang Keu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1

        경량전철(LRT: Light Rail Transit)은 중량전철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진 효과적인 대중교통수단이다. 따라서 많은 지자체에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고, 부산광역시에서는 이미 반송선과 부산김해경전철 등 2개 노선을 국내 최초로 무인운행방식으로 도입하여 운행중에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도입된 경전철과 관련한 이용자 측면의 서비스 만족도를 분석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경전철의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데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무인자동운전 경량전철(부산김해경전철과 반송선)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경량전철에 대한 안전성 의식과 서비스에 대한 이용만족도를 파악하고, 구조방정식 기법을 활용하여 두 개의 서비스 이용만족도 모형(반송선모형과 부산김해경전철모형)을 구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자 중심의 경전철 서비스 개선대책과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LRT(Light Rail Transit), which has many merits compared with Heavy Rail Transit, is an effective public transport. Therefore, many local governments are pushing ahead with LRT. Busan had already adopted LRT(AGT)s like Busan Subway Line 4(Bansong Route) and Busan Gimhae Light Rail Transit(BGLRT) domestically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nalyzes user satisfaction about the services of adopted LRTs and set right priorities of remeding their shortcomings from the user's perspective. In this paper, we surveyed safety consciousness and services satisfaction of LRT(BGLRT) users, and made two User Satisfaction Models of each LRT(BGLRT and Bansong Rout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established User Satisfaction Models(BGLRT Model and Bansong Route Model), we compared BGLRT and Bansong Route. Finally we found the measures and priorities for the improvements of LRT's services in the aspect of LRT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