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푸드트럭, 소셜미디어, 유동하는 쿠바 음식문화

        배진숙(Jin Suk Bae)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4 영미연구 Vol.60 No.-

        본 논문에서는 존 패브로 감독의 영화 『셰프』를 중심으로 미국의 민족·지역 음식문화를 살펴보고 소셜미디어 공간에서의 음식사진 공유가 실제 생활세계에서의 음식 소비와 생산에 상호텍스트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한다. 연구의 주요 결과의 요약과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셰프』에서는 미국의 다양한 민족·지역 음식문화를 마이애미, 뉴올리언스, 오스틴, 로스앤젤레스로 이어지는 여정의 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식재료와 공간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하고 있다. 지역성과 음식문화를 지역의 역사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독특한 거리의 풍광, 지역의 명소가 된 유명 식당, 색채가 풍부하고 생동감 있는 음식 이미지와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리, 경쾌한 배경음악 등을 통해서 복합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둘째, 이 영화를 통해 미국에서 푸드트럭의 창업 동기와 영업에 관한 이해를 고양할 수 있다. 주인공 칼 캐스퍼에게 있어서 쿠바음식과 푸드트럭은 자신의 셰프로서의 직업적 자율성과 창의성을 보장하는 상징과 인프라로서 역할한다. 셋째, 본 논문에서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셰프의 직업적 명성에 미치는 양가적 영향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는데 영화의 스토리와 대사 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관점이 아니라, 음식을 조리하고 판매하는 요식업 관계자들에 의한 미디어상의 음식문화 콘텐츠의 재현과 그 의미와 영향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결언하자면, 영화 『셰프』는 미국의 다양한 민족·지역 음식문화, 파머스마켓, 푸드트럭 문화를 영상을 통해서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 영상콘텐츠로서 가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영화 매체를 통해서 미국에서의 푸드트럭의 창업과 운영, 그리고 푸드트럭 사업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음식문화가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으로 인해서 어떤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재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ethnic and regional food culture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the Jon Favreau film Chef, and analyzes the intertextual impact of sharing food photos in social media spaces on the practice of food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the real world. A summary and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Chef, America’s diverse ethnic and regional food culture is portrayed through cinematic images of various ingredients and urban spaces along the main characters’ journey to Miami, New Orleans, Austin, and Los Angeles. Each city’s locality and food culture are complexly expressed through unique street scenes that preserve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famous restaurants that have become local attractions, colorful and lively food images, sound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and cheerful background music. Second, this film can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motivation for setting up and operating food trucks in the U.S. For the protagonist, Carl Casper, Cuban food and food trucks serve as symbols and infrastructure that guarantee his professional autonomy and creativity as a chef. By analyzing its storyline and dialogue, this article examines the ways, meanings, and repercussions of food culture representation in the media by those in the restaurant industry who prepare and sell food themselves, not by food consumers. To recapitulate, Chef is valuable as educational content in that it vividly introduces America’s diverse ethnic and regional food culture, farmers’ markets, and food truck culture.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he prevalence of digital media can affect and socially reorganize food culture by examin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food trucks in the U.S. through the fil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truck businesse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 KCI등재

        쿠바한인 100년의 오디세이: 재미 쿠바한인의 연속적 트랜스내셔널 모빌리티 경험을 중심으로

        배진숙(Jin Suk Bae),김재기(Jaigi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다문화사회연구 Vol.14 No.3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연구가 매우 미진하였던 재미 쿠바한인들의 재이주 경험과 현황에 관해 고찰한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쿠바한인들이 어떠한 배경과 경로를 통해서 수세대에 걸쳐서 한반도-멕시코-쿠바-미국으로 연쇄적인 이주를 하게 되었는지, 특히 쿠바에서 미국으로의 재이주 동기와 경로에 관해 조사하였다. 또한 재미 쿠바한인들의 정체성과 한국과 쿠바 관련 양국 문화에 대한 지식과 관심도, 그리고 사회적 관계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쿠바한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한 동기와 경로는 ‘쿠바혁명 이전’, ‘쿠바혁명 직후(1960년대)’, ‘1980년 마리엘 대탈출(Mariel Exodus)’, ‘2000년대 이후’의 네 가지 주요 시기와 계기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민족・인종 정체성은 대부분은 다중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고 쿠바계로서의 정체성이나 쿠바문화에 대한 애착 보다는 미약했지만 한국문화에 관심을 보이고 스스로를 한국계로도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쿠바한인들과 재미한인사회와의 직접적인 교류, 혹은 한국과의 연계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본 논문은 쿠바한인의 연쇄적 이주의 재조명을 통해 재외한인 이주와 정착에 대한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이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migration experiences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Cubans residing in the U.S., which have so far been extremely understudied.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s, this research analyzes why and how ethnic Koreans have undertaken a series of transnational migrations from the Korean Peninsula, Mexico, and Cuba to the U.S. over several generations.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dentities, knowledge, and interest in Korean and Cuban culture and the social relations of Korean Cuban Americans. Furthermore,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motives for and routes of Korean Cubans’ re-migration to the U.S. in four major periods: “before the Cuban Revolution,” “immediately after the Cuban Revolution (in the 1960s),” “Mariel Exodus in the year 1980,” and “after the 2000s.” Most research participants hold multiple identities in terms of their ethnic and racial backgrounds. In general, they expressed an interest in Korean culture and identified themselves as Koreans, although their identity as Korean or attachment to Korean culture proved to be rather weaker than their Cuban identity or attachment to Cuban culture. However, the findings show that Korean Cuban Americans have not actively formed any direct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other Korean-American communities or transnational connections with their ethnic homeland, Korea. It is expected that this article, by shedding light on the serial migrations of Korean Cubans, will contribute to a multifaceted and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patterns of the global Korean diaspora.

      • KCI등재

        다인종 재미한인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하프코리안닷컴(HalfKorean.com)” 페이스북 그룹을 중심으로-

        배진숙(Bae, Jin Suk),김재기(Kim, Jaig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0 디아스포라 연구 Vol.14 No.2

        다인종(다문화) 배경 한인에 관한 기존연구에서는 국내 사례만 주로 초점을 두어서 연구가 진행되었고, 다인종 재미한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또한 최근 다양한 모빌리티와 정보통신 기기의 결합에 의해 사회공간과 사회관계가 재구성되어 왔다. 디아스포라 연구에 있어서도 디아스포라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하프코리안닷컴’을 비롯한 북미기반 다인종 한인들의 온라인 커뮤니티의 형성과 유지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 제고를 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방법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7명의 다인종 재미한인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서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인 부 또는 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서로 간의 성장 환경과 경험에 대해 반추, 비교, 공감하였다. 또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정보 공유를 통해서 한인으로서의 정체성 강화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미 전역에 산재한 다인종 한인들을 네트워크화 하여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공동체를 창출하였다. 하지만 다인종 한인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들과 재미한인사회와의 직접적인 교류나, 모국과의 초국적 연계는 비교적 미약한 편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지역뿐 아니라 해외 각국의 다인종 한인들, 그리고 코리안 디아스포라 공동체 형성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재외한인 ‘디지털 디아스포라’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revious literature on multiracial Koreans has focused only on domestic cases, neglecting research on the U.S.-based Koreans of mixed heritages. In addition, social spaces and social relations have recently been reconstructed by various forms of mobilities enhanced by highly develop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refore, in diaspora studie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diaspora’s activities in cyberspace.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attempts to identify the contributing factors that form and maintain the online community of multiracial Koreans based in North America such as HalfKorean.com, an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Methodologically, a total of 37 mixed-race Korean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is research found that, through the online community, participant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parents and reflected, compared, and sympathized with each other’s experiences as being mixed. Also, involvements in such online communities brought about strengthening ethnic identities as Korean by sharing information abou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 new type of online community was created by networking multiracial Koreans scattered across the U.S. However, it was found that multiracial Koreans have not actively formed any direct relationships with members of other Korean-American communities and transnational connections with their ethnic homel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multiracial Koreans can be conducted worldwide, not restricted to those in the U.S., and on the digital diaspora that may function as a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global Korean diaspora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중남미출신 한인 재이민자들의 국가 간 직업변화에 관한 고찰:

        배진숙(Bae Jin Suk)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7 영미연구 Vol.40 No.-

        본 논문은 중남미에서 뉴욕으로 재이민한 한인들의 국가 간 직업변화에 관한 연구다. 그들의 의류업과 이와 관련된 드라이클리닝업계 종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102명의 중남미출신 재미 한인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활용하였다. 중남미출신 재이민자들과 관련된 기존 연구에서는 이들이 국가 간 연속적 이주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각 나라에서 의류업에 종사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였고, 특히 브라질출신 한인들이 미국으로 재이민한 후에 로스앤젤레스 의류업 발전에 공헌한 점에 중점을 둔 연구가 있다. 이에 반해, 본 논문에서는 뉴욕 경제구조의 맥락에 집중하여, 재이민자들의 재적응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전의 의류업 관련 직업경험이 재이민자들의 뉴욕에서의 재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했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들을 초국가적 이주 과정에서의 의류업의 종사유무에 따라서, 세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로, 중남미에서는 타업종에 종사했지만 재이주 이후에 의류업에 종사하게 된 경우가 있었고, 또한 중남미에서부터 계속적으로 의류업에 종사하는 한인들이 있었는데 뉴욕에서는 대부분 봉제업에 집중하였다. 연구참여자들 중에는 뉴욕으로 재이민한 후에 직업을 변경한 경우가 있었고, 특히 이들이 선호한 직업으로는 드라이클리닝업을 꼽을 수 있다. 재이민자들은 중남미에서 습득한 경제적 경험을 활용하여, 뉴욕 의류업의 역사적 변화와 같은 특수한 로컬적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재적응 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occupational continuities and transformations among Koreans who migrated first to Latin America and then to the United States, in this case, to the New York area. Among Koreans’ concentration in many niches of the New York economy, this article focuses on their involvement in the garment industry and related dry-cleaning businesses. Empirical data were obtained from open-ended, in-depth interviews with 102 Korean New Yorkers from Latin America. This article, utilizing the city–as–context framework, examines Korean remigrants’ adjustment processes in the United States within the specific context of the New York economic structure. It explores how relevant garment business experiences affected and shaped the remigrants’ resettlement in New York. This study categorizes Korean remigra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involvement in the garment industry during transnational migration. Interestingly enough, one type of small business especially popular among Koreans who formerly participated in the garment industry was dry cleaning. Korean remigrants used their previous economic experiences in Latin America in different ways to adjust to specific local conditions, such as historical transformations in the New York garment industry.

      • KCI등재

        초국적 유학생 모빌리티: 해외출신 한국계 혼혈대학생들의 교육・사회적 경험에 관한 연구

        배진숙 ( Jin Suk Ba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2

        최근 국내외에서 한국계 혼혈 인구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이주민의 한국으로의 유입과 유출이 증가하였고 또한 해외 한인디아스포라 커뮤니티 내에서의 족외혼과 국내에서의 국제 결혼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으로 유입되는 유학생 중에 해외출신 한국계 혼혈인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초국적 모빌리티에 주목한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출신 혼혈학생들의 한국대학으로의 유학을 추동하는 동기와 이들의 민족, 인종, 문화적 배경이 한국에서의 교육·사회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고찰한다. 최근의 한국 고등교육의 국제화와 혼혈인에 대한 내국인들의 인식 변화와 현황의 맥락을 고려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대학에 재학 중인 14명의 해외출신 혼혈인들과의 심층면담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면담자들은 국제적 교육자본과 해외학위 취득뿐 아니라 디아스포라적 경험을 하고자 한국행을 감행하였다. 면담자들은 국내대학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입학을 하였고 영어와 다른 언어적 자본을 학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다문화적 성장환경이 면담자들의 전공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국경을 넘음으로써 면담자들은 상이한 민족, 인종적 관념을 접하게 되고 이에 대처해야 한다. 대부분의 면담자들은 주로 유학생들과만 교류하고 있었다. 해외출신 혼혈인들은 국적, 한국어 실력 및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 그리고 다소 이국적인 외모로 인해서 내국인들에 의해서 외국인으로 취급되거나 한국인으로 온전히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한국 정부와 대학들은 학내에서 다문화적 인식을 제고하여 혼혈학생들의 학업 과정과 성장을 위한 최적의 교육적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더불어, 특히 한국문화에 관심이 많은 혼혈학생들에게는 한국 문화를 접하고 경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유학생 모빌리티, 역이주, 그리고 해외출신 혼혈인들의 경험에 관한 이해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The population of multiracial Koreans at home and abroad has grown in recent decades, due to the increasing movement of people into and ou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births of children among the Korean diaspora and in Korea itself.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international students coming to Korea often include overseas Koreans of mixed heritage. This study examines what factors motivate them to attend Korean universities and how these students’ ethnic, ra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have impacted their educational and social experiences in Korea, particularly taking into account the broader context of the recent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erceptions and the status of mixed-race Koreans in Korea. Methodologically, this research uses in-depth interview data with 14 Koreans of mixed heritage currently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The research found that mixed-race Koreans from abroad come to Korea to acquire international educational credentials and to gain diasporic experience. They take advantage of the accessible admission processes of Korean universities and use their English ability and other language skills for academic purposes. Their multicultural upbringing has influenced their choices of majors. However, by crossing borders, they come to encounter and deal with different racial and ethnic conceptions ascribed in Korea. A majority of respondents report that they socialize primarily with international students. Multiracial Koreans from abroad are often regarded as complete foreigners, and the authenticity of their Koreanness is questioned due to their nationality, lack of fluency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physical appearance. The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should make efforts to build diversity awareness and to shape a more diverse campus environment that will maximize mixed-race students’ learning and development. In addition, there should be programs through which mixed-race students, especially those who are interested in further exploring their Korean heritage, can have better access to Korean cultural resources.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an improved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multiracial Koreans as well as issues related to educational migration and ethnic return migration in general.

      • KCI등재

        법제적 측면에서 고찰한 중남미동포의 교육이주와 모국수학 경험

        배진숙 ( Jin Suk Bae ),오정은 ( Jung-eun Oh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8 다문화와 평화 Vol.12 No.2

        오늘날 매년 증가하는 국제이주 추세 속에는 학업을 위해 외국에 가는 학생들의 교육이주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미진했던 국내 중남미국가 출신 동포 유학생의 모국수학 경험을 분석하되, 이들 동포가 국내에서 생활하면서 마주하는 법제적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중남미국가에서 성장하여 한국으로 교육이주를 감행한 유학생이, 일반외국인 유학생과는 다른 재외동포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한국생활을 하면서 경험하는 일들을, 이들에게 적용되는 한국의 주요 법률들, 특히, 국적법, 병역법, 재외동포법과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중요한 잠재적 인적자원인 중남미출신 동포들이 한국 유학에서 겪는 불편을 최소화하고, 중남미국가 동포들의 한국 유학을 활성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현재 서울소재 대학교에서 학부과정이나 대학원과정에 재학 중인 17명의 중남미 출신 1.5세와 2세 한인동포들과의 심층면담을 활용하였다. 조사를 통해 확인한 중남미국가 출신 동포들의 모국수학 경험을 ‘국내대학 입학 과정’, ‘국내에서의 체류자격’과 ‘병역의 의무’로 나누어 법률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연구분석 결과, 동포차세대들의 한국 유학은 재외동포에게 적용되는 한국의 법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동포 학생들이 한국유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단계부터, 한국행 결정, 한국에서 유학생으로서의 삶, 그리고 유학 종료 이후의 생활에까지 한국의 법제는 동포들의 주요 고려사항이 된다. 현행 국내 법제는 대체로 중남미국가 출신 유학생의 한국유학 감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군입대 문제와 같이 한국국적을 보유한 동포와 외국국적 동포에게 극명한 차이를 가져오는 제도도 있었다. 따라서 우수한 인적자원 확보와 동포사회와의 유대 강화를 기대할 수 있는 중남미국가 출신 동포 유학생의 국내 유치를 고려하면서, 동포 유학생에게 적용되는 법률을 세심하게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Edu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behind the recent growth in international migration. This article explores the understudied experiences of Korean student migrants returning from Latin America, focusing on the legal aspects of their lives in Korea. In particular, the study addresses the implications of legislation such as the Korean Nationality Act, the Korean Military Service Act, and the Overseas Korean Act for this younger-generation diaspora. Using in-depth interview data with seventeen Korean return migrants from Latin America currently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the article examines their home-coming experiences, particularly involving admission to university, residential status, and obligatory military service.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Korean student returnee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iaspora-related laws, and that they consider the impact of these various laws o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in each stage of their educational migration. This article suggests how difficulties in students’ adjustment processes can be minimized, and how the further influx of Korean diasporas from Latin America can be facilitated. Thus, this article recommends that diaspora-related laws should be attentively reviewed and modified, where necessary, so that South Korea can further accommodate the human resource potential of diasporic youth, and can strengthen its ties with these dispersed communities.

      • KCI등재

        Moving and Gathering through Religion: Transnational Connections among the Korean Diaspora from Latin America

        Bae, Jin Suk(배진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5 영미연구 Vol.35 No.-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not all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in the U.S. originated from South Korea, but instead they are in some cases secondary migrants (i.e., remigrants) from various places in Latin America. Given the active religious participation among Korean remigrants from Latin America, this article specifically examines how religion has shaped their series of migration and adjustment processes and how the remigrants have, in turn, formed and used religious institutions and networks. Methodologically, this study utilizes extensive interview data from 102 people of Korean descent from Latin America currently residing in the New York area, as well as other secondary sources. The research findings show that, for some Koreans, religion precipitates not only their initial movement to Latin America, but also their later remigration to the U.S. The impact of religion with respect to Koreans’ migration purposes tends to expand gradually from religious leaders to a wider range of laypersons. Considering Korean migration patterns from Korea to Latin America, religion is a primary influence on the movements of religious leaders and their families; in secondary migrations from Latin America to the U.S., religious networks and institutions have a much greater significance for Korean immigrants in general. This is partly ascribed to Koreans’ active religious participation in immigrant societies in the Americas. Central to professional, social, and religious lives, relationships made through church often represent significant or primary relationships in Latin America. Connections established in Latin American-based churches influence not only the initial migration process, but also the later resettlement of immigrants in the U.S.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patterns of Koreans’ interracial interactions in the religious arena. In particular, it focuses on how Korean remigrants from Latin America have participated in Korean religious communities’ outreach to Latin America. Drawing upon their immigrant and religious experiences in Latin America, Korean remigrants in the New York area have played important roles by linking the Korean American religious community with other Korean diaspora groups and natives of Latin America.

      • KCI등재

        마이애미 거주 쿠바계 한인들의 연쇄/초국적 모빌리티와 도시 경험

        배진숙 ( Jin Suk Ba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4 다문화와 평화 Vol.18 No.1

        본 논문에서는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 거주 쿠바 한인들의 연쇄 이주 경험과 인종·민족적 정체성에 대해 고찰한다. 쿠바 한인들이 한국에서 미주대륙으로 또는 미주대륙 내에서 연쇄적 이주를 감행하는 동기에 대해 조사한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마이애미 지역의 다양한 도시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쿠바 한인들의 민족정체성 형성에 관해 분석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마이애미의 잘 발달된 쿠바문화적 환경이 연구참여자들이 쿠바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일부 쿠바한인들은 마이애미에서 성장하는 동안에 자신의 아시아인 혹은 다인종의 외향적 특징에 기인하여 비한인 쿠바인들로부터 인종적 차별을 받았다고 회고한다. 본 논문은 기존에 쿠바인 디아스포라와 한인 디아스포라 일원 중에서도 연구가 매우 미진했던 재미 쿠바계 한인들의 연쇄적 이주와 도시 경험에 대해 조명함으로써, 미주대륙에서의 라틴계와 아시아계 디아스포라의 경험에 대한 다각적이면서도 심도 깊은 이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erial migration experiences and racial and ethnic identities of Korean Cuban Americans, focusing especially on those who have resided or currently reside in Miami, Florida.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e motives for Korean Cubans’ serial migratory movements from Korea to or within the Americas.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s, it also analyzes Korean Cubans’ formation of their ethnic identities, considering the urban landscape of the metropolitan Miami area. Participants noted that Miami’s well-developed Cuban cultural environment was conducive for forming and maintaining their identity as Cubans. However, some were discriminated against by non-Korean Cubans in Miami because of their appearance as Asian or mixed individuals. It is expected that this article, by shedding light on serial migration and urban experiences among the underrepresented segments of Cuban and Korean diasporas, will contribute to a multifaceted and deep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both Latino and Asian diaspor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