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습 행동 특성 분석

        배수영,최지은 한국음악교육학회 2017 음악교육연구 Vol.46 No.3

        이 연구는 피아노 전공 대학생들의 연습 행동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피아노 전공 대학생 18명이며, 각 학생당 30분가량의 연습 영상(총 270분)을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먼저 각 학생들의 연습에서 관찰되는 연습프레임 수, 연습프레임 평균시간, 연주시도 횟수, 연습프레임 당 연주시도 횟수, 그리고 평균 연주시도 시간을 분석하고(Maynard, 2006),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연습을 4가지 연습유형으로 분류하고(Rohwer & Polk, 2006), 학생들의 연습 특성(Duke et al., 2009)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습프레임 수, 연습프레임 평균시간, 연주시도 횟수, 연습프레임 당 연주시도 횟수, 그리고 평균 연주시도 시간은 학생들마다 다양하였으나, 이러한 차이는 연주능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5). 대부분의 학생들은 분석적, 반응적 유형의 연습을 하였으며, 실기 성적 상위권 학생들은 강약, 다이내믹, 음색의 변화 등 음조(inflection)를 가지고 연습하며 목표한 악절을 거의 완전하게 연주할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해서 연습하였으나, 실기 성적 하위권 학생들은 음조 없이 곡을 단순화시켜서 연습하였고 목표한 악절의 실수한 부분만 수정한 후 바로 다음으로 연결해서 넘어갔다.

      • KCI우수등재

        Why-Stripping in Korean: A Division of Labor between Syntax and Processing

        배수영,박범식 한국언어학회 2021 언어 Vol.46 No.1

        This paper investigates why-stripping in Korean. We observe that the interpretation possibility of way ‘why’ in why-stripping is restricted by the accompanying focused element: The interpretation of way is restricted to the domain of the focused element. We argue that the restriction arises due to intricate interplay of syntactic structures and certain processing mechanisms. First, it is shown that the available embedded reading is supplied by underlying derivations that involve CP-fronting of the embedded clause that contains both way and the focused element, and subsequent double clausal ellipsis. The arguments are based on the contrast between way-stripping and why-sluicing and the fact that application of partial ellipsis to the CP-fronting derivation yields the same interpretation. We also argue that the unavailable interpretation is prohibited independently by the processing mechanism operative on the output of elliptical process. The mechanism demands that the parser process elliptical remnants as belonging to the same clausal domain, thereby not assuming the derivation that would render the otherwise unavailable interpretation. One of the implications of this account is that processing of elliptical constructions is more constricted than their non-elliptical counterparts.

      • KCI등재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 여부와 노인의 인지 기능의 연관성: 노인코호트 DB를 사용하여

        배수영,홍익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therapy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LTCI) beneficiaries. Methods: Data of 29,436 older adult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the older adults cohort database provid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nine items of cognitive function evaluated when applying for long-term care insurance for older adult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s whether occupational therapy (OT) service has been received (Yes received OT vs. No received OT).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covariate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The point estimates were presented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Results: A total of 29,436 older adults used in the analysis. There were 3,796 (12.90%) older adults who received OT services, and consisted of 1,331 (35.06%) males and 2,465 (64.94%) females. Their average age was 80.38±5.19 years, and the averag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emium quantiles was 3.07±2.78. There were 1,925 beneficiaries who lived in the community and received OT services, and 281 of the beneficiaries (7.40%) had a disability rating. There was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OT service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β = 0.17, 95% Confidence Internal [CI] = 0.10 to 0.24).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OT service performance was associated with positive outcomes of cognitive function, indicating that OT service may maintains and enhances cognitive fun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e need for OT services for LTCI beneficiaries when LTCI is revised in the future. 국문초록목적: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등급 대상자들의 작업치료 이용 여부와 인지 기능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2015년 노인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60세 이상 노인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 시 평가되는 인지 기능 9개의 항목이며, 독립변수는 작업치료 수가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치료 서비스 수행 그룹과 미수행 그룹으로 나눈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 여부이다.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 여부와 인지 기능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공변량은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학적 특성을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에 사용된 29,436명 중에서 작업치료 서비스를 이용한 그룹은 3,796명(12.90%)이었으며 대부분의 분석 샘플은 여자(n = 2,465, 4.94%)로 구성되었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80.38 ± 5.19세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작업치료 서비스를 이용한 대상자는 1,925명(50.71%)이었으며 장애인등급을 가진 대상자는 281명(7.40%)이었다.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과 인지 기능은 긍정적인 연관성이 도출되었다(β = 0.17, 95% Confidence Internal[CI] = 0.10 to 0.24). 결론:본 연구는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이 인지 기능의 긍정적인 결과와 연관성을 제시하였으며 작업치료 서비스가 인지기능의 유지 및 증진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정 시 노인장기요양등급 대상자들의 인지 재활을 목적으로 작업치료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Learning Motivations, Intentions to Pursue a Career in Music, and Career Choices of College Music Majors in Korea

        배수영,권수미 한국음악교육학회 2023 음악교육연구 Vol.52 No.1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learning motivations, intentions to pursue a career in music, and career choices among college music majors in Korea. Results from a survey of 152 music majors from two universities in Seoul showed that their music learning motivation was primarily autonomous and not controlled. High intentions to pursue a career in music were expressed, with the most preferred career being that of a college lecturer/studio instructor, followed by a performer, and the least preferred being that of a music teacher. The only motivation that had a positive impact on pursuing a career in music and choosing a performer or college lecturer/studio instructor as a future career was identified motivation. However, introjected motivation had a negative impact.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s had no effect on music career intentions or choice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each orientation of music learning motivation has a unique effect on the intentions to pursue a career in music and career choices. The results also highlight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into why music learning motivation has no relation to music college students' career choice as a music teacher.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건강 기능장애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델파이 예비연구

        배수영,강미영,남상훈,홍익표 대한작업치료학회 202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9 No.3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 기능 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측정 도구의 문항을 개발하는 예비연구이다. 방법: 연구 과정은 4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 문항 추출과정, 2단계 추출된 문항과 ICF 모델과의 연결, 3단 계 인지 및 신체기능 평가 항목의 델파이 조사, 4단계 전문가 집단 대상 심층 인터뷰 조사 순서로 진행 되었다. 1단계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 각 국의 패널조사를 사용하여 인지 및 신체 건강 관련 평가 항목 을 추출하였다. 사용된 패널조사는 중국의 2013년 China Health and Retirement Survey과 일본의 2013년 Japanese Study of Aging and Retirement, 한국의 2012년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이다. 2단계에서는 세 명의 연구자가 추출된 문항과 ICF의 세부항목과 연결시켰으며 3단계에서는 10명의 델파이 패널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적용하여 2단계 과정의 적합성을 조사하였다. 델파 이 설문조사에 참여한 전문가 집단은 총 10명이며 2021년 5월 1일부터 2021년 6월 15일까지 이메일 을 통해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가 항목의 구성타당도, 안정도 값을 산출하였다. 이후, 전문 가 집단 중 3명을 선정하여 집중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결과: 중국, 일본, 한국 각 나라의 패널조사 중 신체 및 인지와 관련된 67문항을 추출했다. 추출된 문항과 ICF모델의 세부항목과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한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 구성타당도(CVR) 값이 0.8 이 하인 9개의 문항이 삭제되었으며 안정도 산출값은 모두 0.5이하로 분석되었다. 최종 선정된 문항은 59 문항으로 인지 영역 13개, 기본적 일상생활활동영역 9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영역 9개, 기타 활동영역 23개, 신체기능영역 5개이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국, 일본, 한국 동북아 세 나라의 패널조사를 기반으로 노인의 건강 기능평가를 위 한 세부항목을 추출하고 타당도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관점에서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 하기 위해 평가항목을 추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평가항목은 ICF 세부항목을 기반으로 노인의 건강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tems used in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the health functions in older adults. Methods: The research process consists of four stages: the first stage was a question extraction, the second stage was matching the extracted questions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odels, the third stage was a Delphi investigation of cognitive and physical function evaluation items, and the fourth stage was a cognitive interview survey of groups of experts. In the first stage, panel surveys from China, Japan, and Korea were used to extract cognitive and physical health assessment items. The panel surveys used were the 2013 China Health and Retirement Survey, 2013 Japanese Study of Aging and Retirement, and the 2012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In the second stage, three researchers matched the extracted items with sub-items of the ICF model, and in the third stage, we used the Delphi method to investigate the suitability of the second stage process. A total of 10 researchers and clinicians (one Chinese and one Japanese) participated in the Delphi survey, which was conducted through e-mail from May 1, 2021 to June 15, 2021. The Delphi survey produced the content validity and stability values of the evaluation items. Afterwards, three experts were selected to conduct the cognitive interviews. Results: From the 3 national panel surveys, 67 items related to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the Delphi survey, nine items had construct validity values of less than 0.8, and these items were removed from the item pool.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the items was less than 0.5. As the final items, 59 items were selected and consisted of 13 cognitive function items, 9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items, 9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tems, 23 other activity items, and 5 physical function items. Conclusion: In this study, we extracted survey items from three national panel surveys to create an item pool that can evaluate the health functions for older adults, and examined the content validity and st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evaluation items were extracted to evaluate the health function of older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The validated survey items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that can evaluate the health functions of older people based on the ICF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