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법교사의 PCK에 대한 사례연구:

        조진수(Jo Jin su),김소산(Kim Ji hyun),김지현(Kim So san),박진희(Bak Jin h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본고는 동일한 교과 지식을 학습자 요인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표상하는 것을 PCK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보고, 문법 수업을 통해 그 실제적 양상을 확인하고자 한 탐색적 사례연구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문법교사가 ‘한글 맞춤법’이라는 동 일 단원의 교육 내용을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조절하여 교수하 는 양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문법교사 A의 수업 사례를 통해 문법 지식의 성격 표 상 방식, 문법 수업의 교수․학습 활동 방식 등을 조절하는 양상을 드러냄으로써 문 법교사의 PCK가 구현되는 한 양상을 살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문법교사의 PCK가 궁극적으로는 학습자를 언어적 주체로 세우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서 이해될 필요 가 있다는 점, 문법 교수에서 학습자의 문법적 직관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 규 범적 태도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접근 방식과 교수 내용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점 을 논의하였고, 문법교육에서의 PCK 연구가 다양화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as an exploratory case study on the Korean grammar teacher’s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with regard to learner factors, to illustrate the practical aspect of how PCK is shaped in teaching grammar. Data were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recordings of the instructions on Korean orthography, teacher’s teaching logs, and the instructional materials in teaching of one grammar teacher. It has been analyzed how the teaching contents and strategies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ir motivation. By analyzing the data,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grammar teacher PCK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to form a ‘linguistic subject’. Also the importance of grammatical intuitions and the complexity of attitude education in grammar class are discussed.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on various kind of factors, teachers, grammar knowledge would be recommended in the field of grammar teacher’s PCK.

      • KCI등재

        의미 기능 중심의 ‘인용’ 관련 문법 교육 내용의 재구조화 방향 탐색

        오현아 ( Oh Hyeon-ah ),박진희 ( Bak Jin-hui ) 한말연구학회 2018 한말연구 Vol.- No.4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reorganize and present grammatical education contents by putting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quotations under the core concept of quote express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oblem that the concepts of 'quotation' related grammar education were handled segmental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grammar book and the textbook on quote expression, quotation form, quotative Clause, adverb clause and adnominal Clause. The methods for reinstrializing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related to quotation were explored in terms of grammar description, form, syntactic, semantic and Korean norms.

      • KCI등재

        중학교 전환기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입학 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과 실제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류은수(Ryu, Eun-soo),박민신(Park, Min-sin),박진희(Bak, Jin-hui),김자영(Kim, Ja-young),오현아(Oh, Hyeon-ah) 우리말글학회 2020 우리말 글 Vol.84 No.-

        본 연구에서는 다언어 · 다문화로 특징지어지는 문화 융합 사회에서 필요한 중학교 전환기 다문화 학습자를 위한 학교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방향을 제안하고 그 구현 가능성을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문화 융합 사회에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입학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3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입학 전 학교 적응 프로그램은 문화 다양성 교육의 관점과 세계시민 교육의 관점 그리고 사회 통합의 관점에서 그 방향성을 설정하고 문화 간 이해 및 상호 존중, 역량 중심의 교육 내용을 개발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여 개발한 ‘또래 문화 기반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향성의 의의를 검토해 보았다. In a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characterized by multiple languages and culture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chool adapt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learne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proposed and the feasibility of implementing them was reviewed centering on ‘the cultural-oriented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To do this, chapters 2 confirmed the need for pre-admission school adapt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learners in this research and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by closely examining existing prior studie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Chapter 3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should be se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global civic edu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nd the contents of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and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Lastly, Chapter 4 reviewed the significance of orientation presented in the original text by looking at ‘Next Generation Culture-Orient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contents provided in Chapter 3.

      • KCI우수등재

        중국 재외 동포 문법 기술에 나타난 남북 문법 영향 관계 분석(1) - 연변대 『조선어발달사』의 근현대 조선어 논의를 중심으로 -

        오현아(Oh, Hyeon-ah),신희성(Shin, Hee-seong),박진희(Bak, Jin-hui),김자영(Kim, Ja-young),최선희(Choi, Sun-hee),노하늘(Noh, Ha-nuel),최소영(Choi, So-young)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이 연구의 거시적 목적은 이남 중심의 문법 기술을 넘어 재외 동포의 문법 기술까지 포함한 총체적인 문법 기술을 하는 데 있으며, 미시적으로는 중국 재외 동포 문법기술에 나타난 이남과 이북의 문법 영향 관계 분석을 하는 데 있다. 중국 재외 동포 문법 기술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연구 대상으로는 리득춘․리승자․김광수(2006)를 택하였으며,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2장에서 중국 재외 동포 문법기술 분석의 의의를 다루고, 3장에서는 중국 재외 동포 문법 기술에 나타난 남북 문법 영향 관계 특성을 ‘1) 근대 조선어 어음 및 문법 형태, 2) 현대 조선어 어음, 3) 현대 조선어 문법, 4) 근대 조선어 어휘, 5) 현대 조선어 어휘’로 구분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리득춘․리승자․김광수(2006)에 나타난 남북 문법 영향 관계를 세부 영역별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논의는 시작에 불과하며, 세부 영역별로 좀더 깊이 있게 논의되고 확대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다루지 못한 내용은 후일을 기약하며, 관련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The macroscopic purpose of the study is to break away from the south-central grammar description, to do a total grammar description, including the grammar description of overseas Koreans, and to do a microcosmically an analysis of the grammatical influence between south and north as shown in the grammar description of overseas Chinese. The basic research subjects for analyzing the grammar description of Koreans overseas in China were chosen by Li Deuk Chun. Ri Seung-ja. Kim Kwang-su (2006). For full-scale discussions, Chapter 2 dealt with the significance of analyzing the grammar description of overseas Koreans. Chapter 3 divid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Korean grammar influence relations shown in the grammar description of overseas Koreans in China into 1) Modern Joseon language phonology and grammatical form, 2) Modern Joseon language phonology, 3) Modern Joseon language grammar, 4) Modern Joseon language vocabulary, and 6) Modern Joseon language vocabulary.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of inter-Korean grammar influence shown in Li Deuk Chun, Reaper, and Kim Kwang-soo (2006) could be checked by detailed area. But this discussion is only the beginning, and needs to be discussed and expanded in more depth by area of detail. What is not covered here will be discussed in the future and we hope that related discussions can be acti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