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평지역(楊平地域) 정자입지(亭子立地)의 전통환경분석(傳統環境分析)

        박정해 ( Jeong Hae Park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동방학 Vol.25 No.-

        본 연구는 강변의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비교적 자연풍광을 보존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조선시대 亭子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양평지역의 4개의 亭子 立地를 전통적 입지환경인 풍수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亭子의 立地를 形勢的 관점과 이기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어떠한 공통점이 도출되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풍수적 특징을 바탕으로 정자입지를 바람과 물 그리고 周邊景觀을 活用한 立地로 분류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풍수적 특징을 亭子와 연관시키면 形은 亭子 建築의 기본이 되거나,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담이나 조경행위를 통해 얻어지는 공간을 의미한다. 勢는 亭子를 둘러싼 주변의 산수와 경관이 해당한다. 이러한 풍수적 특징을 반영하고 여기에 더해서 다음과 같은 조건을 반영하였다. 첫째, 정자는 잠시의 休息과 遊興의 공간이기 때문에 가장 불안정한 요소들이 조합되어 요구조건을 충족하는 공간이 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요소는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둘째, 亭子의 立地는 바람과 물을 통한 陽의 성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셋째, 亭子의 立地는 흥분작용을 더 상승시킬 수 있는 强함과 차분함속에서 휴식을 취함으로서 강함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추구하였다. 넷째, 亭子의 立地는 風光이 강조되는데, 여기에는 유학자들의 은둔사상과도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風水는 陰과 陽 그리고 앞과 뒤, 높고 낮음, 깊고 얕음과 動과 靜이 절묘한 조화를 이루며 立地的 구성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In this study, the four pavilions located in Yangpyeong that have almost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 with the Joseon Dynasty`s are surveyed with the view of feng shui of traditional geographic position environment. And, by considering the location with a theory of topographic situation(形勢) and Li & chi(理氣) in feng shui, common factors among them are examined. According to the feng shui features of the four, their geographic position using water, wind and surroundings is focused. Considering to connect feng shui features with the pavilions, the shape of ground(形) is the space formed by walls and landscape factors which is a central space of pavilion architecture. And the vigor of ground(勢) is natural scenery surrounding the pavilion. With the ideological features of feng shui, following terms are applied to study. First, because pavilion is a space for rest and entertainment for a little while which consists of unstable factors, stable factors may be inversely noxious to pavilion users. Second, pavilion should be on the place maximizing yang(陽) energy by wind and water. Third, the two functional factors for location selection for pavilion are simultaneously considered; mightiness that causes excitement and douceness that causes relaxation. Fourth, the location of pavilion has close relation with an idea of seclusion life of Confucianist. Feng shui was a crucial factor for location selection of pavilion making exquisite harmony between yin(陰) and yang(陽), front and back, height and lowness, deepness and shallowness and dynamic and stillness etc.

      • KCI등재

        <특집논문> 불교문화와 공간성의 문제 : 해인사의 입지환경과 풍수 -장경각(藏經閣)을 중심으로-

        박정해 ( Jeong Hae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7

        본 연구에서는 해인사를 대표하는 장경각의 지형적 특징을 풍수적 관 점에서 문헌고찰과 현장조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해인사는 법보사찰로써 우리나라 불교사찰의 한 전형을 형성하고 위 용을 자랑하는 모습인데, 해인사 입지의 풍수적 특징을 종합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해인사에서 가장 핵심적인 공간인 혈처는 풍수논리에 부합하는 장경각이다. 둘째, 해인사의 핵심건축물인 장경각은 깊은 골짜기와 특이한 지형조 건을 바탕으로 바람 길을 확보한 모습으로,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한 史庫의 지형조건과 흡사한 모습이다. 셋째, 장경각의 위치는 대적광전에 종속된 영역이 아닌 독립된 영역 으로, 통도사의 금강계단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넷째, 해인사의 형국은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行舟形보다는 仙人火燭形이나 仙人讀書形 혹은 花心形이 보다 타당성을 갖는다. 다섯째, 해인사는 조선시대에 중창이 이루어졌음에도, 조선시대를 풍 미한 호순신의 지리신법이 적용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해인사를 대표하는 장경각의 입지는 혈처에 자리하고 있 을 뿐만 아니라, 가장 높은 곳에 입지하여 바람 길을 선택과 집중을 통 해 활용하는 모습이다. 뿐만 아니라 자연지형을 활용하여 가장 합리적 인 공간구성을 이루는데 있어서, 풍수논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 었음을 확인시켜준다. In this study, by means of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field survey, topographic features of Jangkyungghak building(藏經閣) in Haeinsa Temple(海印寺) are traced with the view of Feng shui. Haeinsa Temple is famous Korean Buddhist temple which has emphasized sutra. And its location has some Feng shui features as follows. First, core building of Haeinsa Temple, Jangkyungghak is located on the acupuncture point of ground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pace in Feng shui. Second, the location of Jangkyungghak is just on windway formed with its topography condition; valley of mountain and the highest place of the precincts of the temple. And it is similar to the topography condition of library to store historic book such as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Third, spatial location of Jangkyungghak is not subordinate to Daejeokgwangjeon building (大寂光殿; Vairocana hall) but independent. It plays a role as the Diamond Precept Altar (金剛戒壇) in Tongdosa Temple (通度寺). Fourth, circumstances of Haein Temple dose not take the shape of moving-ship (行舟形; mismatch among surrounding factors) but take the shape of center of flower (花心形; coordinate with environment factors) in Feng shui. Fifth, although Haeinsa Temple had a major repair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principle, 『Jirishinpeop (地理新法; New Principle of Geography)』 which was a prevalent trend at that time, was not applied to it. Therefore, Jangkyungghak building in Haein Temple shows that Feng shui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use natural topography condition and to set its loca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운현궁입지(雲峴宮立地)의 풍수환경(風水環境)

        박정해 ( Jeong Hae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4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의 정치적 중심지이자 고종(高宗)의 탄생지인 운현궁(雲峴宮) 전통입지환경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운현궁에 대하여 『梅泉野錄』에는 “철종 초에 장안에는 ‘관상감(觀象監) 터에서 성인(聖人)이 나온다’는 동요가 떠돌았고 ‘운현궁에 왕기(王氣)가 서려있다’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얼마 안되어 금상(今上)이 태어났다”는 기록을 통해 길지(吉地)라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여기에는 흥선대원군이 풍수를 통해 큰 뜻을 이루기 위하여 현실 속에 옮기는 대단한 의지력을 보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아버지 남연군(南延君)의 묘를 예산의 덕산으로 이장하고, 철종 초에 이미 길지로 소문난 곳에서 고종을 잉태하고 출생한다. 이것은 흥선대원군이 자신의 지향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풍수를 실행에 옮겼고, 결론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달성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러나 고종의 등극과 함께 건설한 현재의 운현궁은 흥선대원군이 권력에 대한 집착과 실각, 그리고 재집권의 과정에서 보인 무리수는, 당초의 운현궁 입지와 대비되는 형국이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features of traditional location environment in Unhyeongung which was the late Joseon Dynasty`s political center and the birthplace of Emperor Gojong. On the book, 『Maecheonyarok(梅泉野錄)』, there are some records that make consider the location of Unhyeongung as a holy and propitious site; In the early period of King Cheoljong, the children`s song spread in the town ‘A holy man will be born at the place of a government office of astronomy, geography and meteorology’ and there was a story about ‘There is atmosphere of king`s born in the Unhyeongung’, soon after the king was born. It resulted to show a great willpower who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1820~1898) which to move in reality for achieving his a great ambition through Feng Shui. In other words, he moved his father Namyeongun(南延君, 1788~1836)`s grave to Duksan-myeon, Yesan-gun province and Emperor Gojong was conceived and born that had been already rumored as a propitious site in the early period of King Cheoljong. It could be inferred that Heungseon Daewongun put Feng Shui into practice for realized to his aim and consequently to achieved his goal. However, the present Unhyeongung`s location constructed with a crowned King Gojong is contrast to the original Unhyeongung`s location which of Heungseon Daewongun showed overreaching, during in the process of by sticking to political authority, by being knocked out and by trying to return to pow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연구논문 > : 오대산 적멸보궁 입지의 풍수환경과 해석

        박정해 ( Jeong Hae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3

        본 연구는 오대산 적멸보궁 입지의 풍수적 특징을 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형세적 관점과 이기론적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풍수가 갖는 특징은 자연과의 조화를 통한 합리적인 입지선정을 목표로 하는데, 신라의 입당승들은 형세풍수의 발상지라 하는 강서지역의 유학을 통해 우리나라 사찰입지의 전형을 완성해 갔다. 특히,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은 그 의미가 클 수밖에 없었고, 부처님을 직접 모실 수 없는 상황에서 진신사리를 통한 불교적 완성을 이루고자하는 바람의 실천이었다. 따라서 오대산 적멸보궁 입지에는 다양한 풍수적 특징이 반영되었는데, 특히 오대산 적멸보궁의 입지는 풍수가 갖는 의미있는 특징을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불교의 가장 신성한 의미를 갖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 이러한 상징적 의미를 불교적 교리와 사상을 전파하는 목적으로 활용하는 슬기로운 모습을 연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features of Feng shui at the location of Odaesan Shrine for Sakyamuni Buddha`s Sarira in the way of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with the view of Lichi Theory and the Theory of Topographic Situation. The purpose of Feng shui is to select an ideal place through agreement with nature. And Buddhist monks of Silla who entered Tang Dynasty got the origin of thinking on location selection of Korean temple and made it be consummated, as they went to study abroad to the western area of Chinese continent which had been know as the birthplace of the theory of topographic situation in Feng shui. Especially, Shrine for Sakyamuni Buddha`s Sarira has great meaningfulness because it was a realistic practice to achieve the hope to complete Buddhism in an unable situation of directly enshrining Sakyamuni Buddha. Thus, in the location of Odaesan Shrine for Sakyamuni Buddha`s Sarira, several features of Feng shui were reflected. By enshrining Shakyamuni Sarira that was the most divine thing in Buddhism, the features of Feng shui were rationally utilized. This was a sensible work to disseminate Buddhist doctrine and thought.

      • KCI등재

        연구논문 : 법주사의 역사적 변화와 풍수환경

        박정해 ( Jeong Hae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2

        본 연구는 법주사의 역사적 변화와 입지환경에 대해 풍수적 관점에서 논하고자 한다. 특히 법주사의 중심 건축물인 능인전과 진신사리를 봉안한 세존사리탑을 중심으로 법주사에 반영된 풍수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륵신앙의 중심사찰인 법주사의 공간구성과 가람배치의 특징적인 모습은 대웅보전과 팔상전이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으나, 이는 실질적인 중심역할이 아닌 상징적인 의미와 역할에 머물러 있다. 법주사의 실질적인 중심은 세존사리탑을 비롯한 용화보전에 있었는데, 여기에는 교리와 풍수적 특징 그리고 부처님의 사리가 갖는 존엄성을 절묘한 조화속에 실현한 것이다. 따라서 법주사의 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의 배경에는 풍수가 중요한 의미로 활용되었고, 불교적 성격을 실현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과 의미로 작용하였다. In this study, historical change and location environment of Beopjusa Temple is estimated from the view of Feng shui. Especially, the main buildings of Beopjusa Temple, Neung-in-jeon and Stupa Sejon in that small crystals of Buddha is sealed are focused. A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features of Feng shui reflected in the buildings. The Buddhism and Feng shui introduced in the Korean Peninsula raised a distinctive culture, one of which is to mark with a side dot with locality. Especially, the features of spacial composition and temple arrangement in Beopjusa Temple as a center of the Maitreya ideology compose the central axis with the Daeungbojeon Hall and Palsangjeon Hall. However, this axis is not a substantive one but contains symbolical meaning and role. Actual center of Beopjusa Temple is on the Yongwhabojeon Hall including the Stupa of Sejon, which is to exquisitely realize the harmony among Buddhism doctrine, feature of Feng shui and dignity from the small crystals of Buddha. Thus, in the background of location selection and spacial composition of Beopjusa Temple, Feng shui was significantly used as a semantic tool and to most important role to establish Buddhism character.

      • KCI등재

        조선 유학자들의 동기감응론 인식

        박정해(Park, Jeong-Hae),한동수(Han, Dong-S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한국민족문화 Vol.41 No.-

        본 연구는 風水의 구성논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확보하고 다양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동기감응론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인식에 대해서 살펴본다. 주자의 학문을 금과옥조처럼 여기던 조선의 유학들에게 있어서 주자의 『山陵議狀』을 비롯한 동기감응론의 수용은 전적으로 받아들이기도 그렇다고 부정할 수도 없는 상황에 직면한다. 그래서 조선의 유학들은 풍수를 전적으로 부정하기 보다는 긍정도 부정도 아닌 어정쩡한 자세를 견지한다. 왜냐하면 동기감응론을 부정하던 자신들의 주장을 스스로 부정하는 우를 범할 수도 그렇다고 주자의 의견을 부정할 수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조는 조선왕조 내내 조선 유학자들의 생각을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정한 영역에서는 유학자들의 의식 속에도 동기감응론을 부정하기 보다는 일부 수용하는 생각은 존재하고 있었다. 물론 그것이 꼭 풍수서와 같은 길흉 화복의 형태가 아닐지라도 또 다른 형태의 동기감응론은 존재하고 있었다. 명확한 신분사회에서 벼슬길에 나가 권력을 가져야만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은 획기적인 신분 상승의 기회를 찾아야만 했다. 따라서 돌파구를 풍수에서 찾고자 하였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음택 풍수는 상당히 매력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당장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인간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을 해결하는 신비한 마력을 가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유교에 바탕을 둔 조상숭배사상과의 결합은 음택풍수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를 불러일으키기에 이른다. 따라서 자기 자신만 아는 현대인들에게 있어 아쉬운 조상 섬김과 효 사상을 보완 한다는 측면에서 음택 풍수를 통한 동기감응론의 장점은 나름의 가치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an awareness about the Identical-Chi sympathy theory of Confucian scholar in the Joseon Dynasty that has been a solid foothold and a controversy causing subject of Feng shui is focussed. To the Confucianist in the Joseon Dynasty who strictly adhered the doctrines of Chu-tzu(朱子, 1130~1200), the Identical-Chi sympathy theory was not fully acceptable but also deniable. So they straddled the fence about Feng shui. They could not accept it outwardly. Because they had contradicted the Identical-Chi sympathy theory, they were in a dilemma about the problem which would have made their scholar wrong. The thought had overwhelmed the Confucianist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the Confucianist internally accepted some parts of the Identical-Chi sympathy theory. Even the idea did not exactly match with fortunes of Feng shui, it worked separately. In a hierarchical society system, it was necessary that people at that time had to get into the government service and had to find a way to be upwardly mobile to live like a human being. With this reason they tried to make a breakthrough by Feng shu. Especially, the Feng shui for grave site was very attractive. People at that time recognized it as a spiritual and magical power that human could not understand. Moreover, the ancestor worship thought had been derived from Confucianism. In conclusion, the Feng shui for grave site explosively demanded all over the society. It also has another value to modern people to complement barren humanity with the Identical-Chi sympathy theory of Feng shui.

      • KCI등재

        나경의 발전과 특징분석

        박정해(Park, Jeong-Ha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 한국민족문화 Vol.48 No.-

        본 연구에서는 나경의 발전과 함께 4층 지반정침과 6층 인반중침 그리고 8층 천반봉침의 모습과 활용에 나타난 특징적인 모습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본다. 나경은 역사적으로 많은 발전과 변화를 거듭하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논리성과 합리성의 발전에 기인한 바가 크다고 할 것이나, 시대적 요구와 상황인식, 논리의 변화에 기인한 바도 크다고 할 것이다. 특히 나경의 가장 큰 특징이 반영된 정침과 중침 그리고 봉침의 차이가 발생한 배경에는 지구 자기장의 축이 지구 자전축에서 약 11.3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서 『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는 정침과 봉침의 원리와 측정기준을 정확히 제시하였는데 해 그림자를 통해 동지 무렵에 자오선을 춘분과 추분에 동서방향을 측정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중침은 정침과 봉침의 중간을 정하였다는 것도 아울러 확인되면서 정침과 중침 봉침이 어떻게 정해졌는지에 대한 중요한 근거를 밝혀냈다. In this study, the progress of oriental compass, Nakyeung(羅經) is researched, and the feature and application of 4<SUP>th</SUP>(地盤正針), 6<SUP>th</SUP>(人盤中針) and 8th(天盤縫針) layer of it is analyzed by means of document research. Nakyeung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nd changed in history. The changes were resulted from logical change and demand of the times. Especially, the background of difference among the three layers which is the most remarkable feature on Nakyeung is because the magnetic field axis has an inclination of 11.3°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Earth. Besides, on the book, ?Oju y?nmun changj?n san"go (五洲衍文長箋散稿)? the principle and the measurement standard of the three layers is recorded. According to the record, at the winter solstice, the sun shadow of the East and the West is to be measured by the standard of meridian. And setting principle with how each layer is arranged on Nakyeung is also recorded.

      • KCI등재

        풍수 혈의 형상과 이론의 역사적 전개

        박정해(Park, Jeong-Ha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5 No.-

        본 연구는 풍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혈의 구성과 발전과정에 대해 살펴 보았다. 혈의 역사는 최초의 풍수서인 『청오경』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발복론을 제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후 위대의 『관씨지리지몽』과 동진의 『금낭경』도 『청오경』의 범주를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으나, 『청오경』보다는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이후 혈에 대한 이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당대의 양균송에 의해서다. 양균송은 『감룡경』과 『의룡경』에서 산의 형상을 구성으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혈의 형상을 제시하면서 길흉까지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혈과 관련한 이론만으로 보면 당대는 비약적 발전을 이룬 시기라 할 수 있으며, 풍수논리의 전환기라 할 수 있다. 송·명대에 이르러 혈의 형태에 대해 다른 각도의 논리와 형상분류가 본격화된다. 송대와 명대의 풍수가들은 저명한 유학자들이 많았고 유학이 풍수이론과 접목되는 현상의 일환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명대 유기에 의해 출간된 『감여만흥』은 양균송의 풍수와는 다른 각도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데, 현재 풍수서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내용은 『지리인자수지』를 통해 현실화되는 모습이다. This study is to be examined in the composition and progress of development in Feng shui propitious site(穴) which is called as the core in Feng shui. In 『Jing Wu Jing (靑烏經)』, the first Feng shui publication, the grave can be identified, but it is no more than suggesting a theory of favorable change in fortune. And the meaning of the propitious site in 『Quan Shi Dili Zhi meng(管氏地理指蒙)』of Wei(魏) Kingdom and 『Jin Nag Jing(錦囊經)』of Dong Jing(東晋) Period stays almost same as the first meaning except small development. After that, by Yang Jun Song(楊筠松) in Tang(唐) Dynasty period theory of the propitious site was genuinely raised. He categorized the mountain shapes derived 『Han Long Jing(撼龍經)』and 『Yi Long Jing(疑龍經)』as Nine Starts(九星), and with which he suggested the shapes of the propitious site and even divisions between good and ill luck. Thus, from the theoretical view of the propitious site, Tang Dynasty period was the time when a rapid progress and a logical turning point in Feng shui was achieved. Meanwhile, in Song and Ming Dynasty,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different logic and classification of the shape of the propitious site was started. At that time, among the Feng shui specialists, there were many famous Confucian scholars, by whom Feng shui theory was partially colligated with Confucianism. In Ming Dynasty period, 『Kanyu Man Xing(堪輿漫興)』published by Liu Ji(劉基) shows a progress of developmen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gainst Yang Jun Song’s Feng shui. Most of contents written in Feng shui books of today has been derived from 『Dili Ren Zi Xuzhi(地理人子須知)』.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