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귀환체험담의 ‘비극’ 재현 담론 속 ‘반전평화주의’-1970년대 전환기의 귀환체험담 담론비평-

        박이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3 일본사상 Vol.0 No.25

        本論文は、引揚げ体験記をめぐって論じられている言説を、戦争体験史という通史的な観点ではなくて同時代的文脈から考察している。分析の方法としては、1970年代が機転となって変化されている引揚げ体験談が、日本人たちのどのような意識を表して、当時の時代状況を反映しているのか、窺ってみた。それに、引揚げ体験記の自発的な出現の様相を理解するために、五木寛之の時代小説『青春の門:堕落篇』を分析してみた。引揚げ体験記は、広島や長崎の原爆被害描写と共に日本における「非平和的な状況」を象徴している。そのため「戦争の犠牲者意識」を高める言説として論じられてきた。しかし、2011年の東日本大地震以後、国家的な超非常状況のなかで再び刊行されている引揚げ体験記は、再建をめざす民族的な団結が反戦・平和主義という言説に絡み合って膾炙しているのはなぜなのか、疑問が浮かぶようにもする。それは、引揚げ体験記が犠牲者意識民族主義を平和主義化している次元での「戦争対平和」という単純構図をなしていないことを示唆することでもある。つまり、経済や環境の崩壊のように、危機意識に触れ折りにふれ「我々の戦後はまだ終わっていない」と唱えながら登場する引揚げ体験記は、過去の第二次対戦をなめて形成された経験に基づいた反戦・平和思想だけを語ることではない。却って、極めて個人的な現実認識を反映しながら、暴力状況による日常の崩壊を憂える「生活・平和主義」的な意味を内包しているのが分かる。 This study examines statements regarding stories of return in their historical context rather than from the standpoint that they are war stories. It explores the consciousness reflected in the stories’ evolution from the 1970s onward, and the influence of contextual circumstances. It also analyzes Itsuki Hiroyuki’s book, “Door of Youth” as a subtext to explore internal factors that led to the stories’ spontaneous emergence. Like recollections of the bombing of Hiroshima, stories of return serve as a mechanism for the representation of “non-peaceful situations” in Japan. While the stories are discussed in a nationalist discourse since they entail the “consciousness of war victims,” their relevance and reemergence following the Japanese earthquake in 2011, alongside a claim that national unity for the sake of reconstruction is reversed pacifism, is questionable. Stories of return disguise victimhood nationalism as pacifism and are not structured simply as narratives of “war vs. peace.” In other words, one cannot claim from an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at stories of return, which emerge in times of economic or environmental crisis, reveal the “antiwar- pacifism” characteristic of World War II. Rather, the research reveals that the stories reflect individual realities and “life-pacifism” that fear societal collapse due to violent events.

      • KCI등재

        집합기억으로서의 전후- 1970년대 『인간의 증명』 속 기원의 이야기 -

        박이진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0 No.-

        This paper considered the history that was presented to the public in Japanese society in the 1970s and analyzes how it is remembered. The novel『Proof of the Man (Ningen no Shōmei)』(1975, Seiichi Morimura) reproduces the occupation history (1945-1952) and represents post-war Japan. This novel also re-discusses the postwar perception formed after the occupation period. In this novel, the murderer (the mother) kills a mixed blood child to protect the Japanese family. This mother's choice tragically reproduces the situation in which she had to live during the history of oppression. Also, the two detectives in Japan and New York who investigate the case have a history connected with the occupation. Furthermore, the history of the hidden past is highlighted by highlighting the unhappy personal history of the two detectives who were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It is historical as the story of origin. It is important that popular novels in the 1970s reproduced the postwar history such as the time of the occupation. The reason for this is related to the postwar recognition of Japanese society at present. As in this novel, a crime that excludes the negative elements of postwar Japan's "secret of birth" after completing a period of high growth also affects the war responsibilities and historical perceptions. The public will have a closed perception of postwar Japan. 이 글은 1970년대 일본사회에서 호출되는 역사는 무엇이고 또 어떠한 사회상으로 기억되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점령기를 재현하고 있는 모리무라 세이치의 소설 『인간의 증명』에 나타난 고착화되고 있는 ‘전후표상’을 통해 재담론화되고 있는 ‘전후인식’의 변주를 살펴보았다. 이 소설은 일본인 가족을 지키기 위해 흑인혼혈아 아들을 살해할 수밖에 없던 어머니의 선택이라는 도식 속에 ‘신파로서의 점령기 기억’을 완성하고 있다. 또한 사건을 파헤치는 일본과 뉴욕의 두 형사가 간직한 점령군과 관련된—피해자였고 가해자였던- 불행한 개인사를 전경화하여 봉인된 과거의 기억을 ‘기원의 이야기로서 역사화’하고 있다. 1970년대 대중소설이 점령기와 같은 전후사를 소급해 올라가 과거를 전경화하고 있음은 현대 일본사회의 ‘전후인식’과 관련해 중요한 현상이다. 이 소설에서처럼 고도성장을 완료한 전후일본의 이른바 ‘출생의 비밀’에 얽힌 부정적 요소를 배제하는 범행은 전쟁책임관이나 역사인식과 연동되어 폐쇄적인 ‘전후인식’의 고착화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 KCI등재

        전후일본의 이방인들 - ‘외지 귀환파’ 작가들의 앙가주망 -

        박이진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일본학연구 Vol.40 No.-

        The Engagement of the repatriated writers in post-war Japan This article studies the postwar phase of repatriates who are being integrated into Japanese society, and sheds new light on the nationalism of postwar Japan.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s various discourses surrounding the repatriation project and examines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repatriates in postwar Japanese society. In particular, it presents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ego identity which Ituki Hiroyuki, Uno Kouitiro, and Miki Taku, a representative writer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began to study after his repatriation from colony to Japan, and defined as a “stranger.” After the defeat, Japan has endeavored to build a “New Japan” by reeducating its people. It can be said that the repatriation project has formed the basis for the great unification of the people. The “Personal Experiences of Repatriation” which record the journey of evacuation experienced by repatriates of the ex-colony act as the history of ordeals of the Japanese people, victims of the war. However, repatriates, while perceiving a sense of incompatibility with the Japanese who were invaders of the colony, also feel discriminated against in postwar Japanese society, as though they were strangers. Furthermore, in the perception of repatriates, there is a sense of disjunction between the identity of colonial Japanese and the identity of “pure” mainland Japanese, causing them to experience an existential confusion.

      • KCI등재

        우라사와 나오키의 과거 ‘드러내기’ -≪몬스터≫에 나타난 서사 구도와 작화 전략-

        박이진,김병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4 No.-

        본고는 우라사와 나오키의 ≪몬스터≫를 통해 성립된 서사 방식과 작화에 주목하여 그의 주제 의식을 살펴보았다. 특히 진실로서의 ‘과거’를 다루는 그의 태도가 비평 영역 확보를 위한 서사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독자가 개입할 수 있는 해석 영역을 확대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적 형태로 파악해 보았다. ≪몬스터≫ 이후 우라사와는 자신만의 작품관을 구축하게 되는데, 가장 두드러지는 것이 ‘과거 회귀’와 독자의 ‘감정적 동화’의 극대화 기법이다. 전자는 플래시백 장치의 활용으로, 후자는 캐릭터의 얼굴 클로즈업과 내면어의 최소화를 통해 전략적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 이 작품은 과거라는 ‘이름 없는’ 괴물의 실체를 밝히는 서사를 구사하고, 부정적 감정을 포함한 과거에의 직시와 정서적 교류가 중요함을 전달한다. This paper focuses on Urasawa Naoki(1960~)’s thematic consciousness by focusing on the narrative style and drawing strategy established in Monster(1994~2001). In particular, we found that his treatment of the "past" as truth is a narrative strategy for securing a critical space. We also identified expanding the interpretive space for readers to intervene as a form of strategy. After Monster, Urasawa developed his own style. The most prominent features are the techniques of ‘regression to the past’ and maximizing the ‘emotional assimilation’ of the reader. The former i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flashbacks, while the latter is strategically implemented through close-ups of characters’ faces and the minimization of internal speech. This work uses a narrative that reveals the reality of the ‘nameless’ monster of the past,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facing the past, including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al exchanges.

      • KCI등재

        The Postwar Experience of Repatriates: The Crack in Postwar Japan's Reconstruction

        박이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4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4 No.1

        This paper studies the postwar phase of the integration of repatriates into Japanese society, thereby shedding new light on the nationalism of postwar Japan. To this end, it reviews the discourses surrounding the repatriation project and examines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repatriates in postwar Japanese society.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novels of Abe Kobo, who suffered from a confused identity after he returned to Japan from Manchuria. After its defeat in World War II, Japan endeavored to build a "New Japan" through re-education and repatriation. The repatriation project became the basis for the national solidarity required for this restructuring. The personal tales of repatriation, which record the experiences of those evacuated from the former colonies, constitute a history of the ordeals suffered by the Japanese victims of the war. However, repatriates felt both bitterness and discrimination directed against them by postwar Japanese society, as though they were strangers in their own country. Furthermore, they sensed the disjunction between the identity of the colonial Japanese and that of the "pure" mainland Japanese, which caused them to experience existential confusion. However, the cause of this sense of incompatibility was the ideology of postwar Japan, which aimed at reintegrating the nation-state. As the public memory of the Japanese as eternal victims spread, the truth was buried. A review of the postwar fate of the repatriates reveals the "crack" inherent in the nationalism of postwar Japan; it thus contributes to the deconstruction of the myth of the "great achievement" of Japanese homogeneity and reveals its illusory nature.

      • KCI등재

        문화냉전과 귀환자 - 『귀환자필휴(歸還者必携)』를 중심으로 -

        박이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이글은 제국일본이 자행해 온 침략전쟁과 식민지주의에 대한 단죄와 반성이라는 문맥이 공산진영과 자유진영의 양 진영의 대결이라는 새로운 시대적 문맥으로 대체되는 가운데 귀환자의 위치나 이미지가 어떻게 전용되게 되는지 『귀환자필휴』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종래 종전사에 대한 재인식, 즉 전전-전후의 연속/비연속에 관한 제국-식민사 연구 영역에서 민족수난사로 의미화 되어 온 귀환의 메타히스토리는 애초부터 반소/반공 언설과 연동되어 특수화된 문화냉전에 그 기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귀환자필휴』는 당시 귀환자를 둘러싼 정책이 냉전의 기류 속에서 이미 이념갈등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일본 내GHQ나 정부 측이 귀환자들을 어떻게 전용시켜 인식했는지 보여주는 `귀환자에 대한 착종된 표상`을 함의하고 있기도 하다. 착종된 귀환자에 대한 표상은 제국일본이 자행해 온 침략전쟁과 식민주의에 대한 단죄와 반성이라는 문맥이 공산진영과 자유진영 양 진영의 대결이라는 새로운 시대적 문맥으로 대체되면서 자연스럽게 과거 전쟁의 당사자가 아닌 신체제 전쟁, 즉 냉전의 희생물로서의 귀환자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일본의 `전전에서 전후`로의 재편은 그 내용상 군국주의적인 것의 민주주의화라는 방향성을 띠고 있다. 물론 그 변화가 변주냐 변질이냐와 같은 `정도`의 차이를 함의하고 있고, 그로 인해 전전과 전후의 연속이냐 단절이냐는 형태의 비판적 연구들이 전후개혁을 중심으로 한 일본의 점령기연구사나 탈식민지주의를 문제 삼는 제국(식민지) 연구사의 큰 줄기속에 존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제국과 식민지주의라는 `전전의 구제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살던 해외 귀환자들을 민주화되고 근대화된 국민국가 `신(新)일본`의 국민으로 `개혁`시킨다는 명제가 당시 일본정부의 귀환자들을 대하는 일차적인 태도였을 것이다. 본고에서 살펴본 『귀환자필휴』도 이러한 방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 과정은 단순하게 제국의 신민에서 열도의 전후일본 국민으로 재편되는 것을 뜻하지 않았다. 귀환자들은 마치 냉전의 전사(cold warrior)로서(미국식)자유 민주주의를 실현할 근대화된 주체로 포섭되길 요구받았음을 『귀환자필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本稿は、帝國日本が行なった侵略戰爭と植民地主義に對する斷罪や反省といった文脈が共産陣營と自由陣營の兩陣營における對決という文脈へと新しく置き換えられる中、引揚者の位置やイメ一ジがどのように轉用されたかを『歸還者必携』を通じて具體的に探った。その結果、從來の終戰史に對する認識、帝國-植民地史硏究領域で民族受難史として位置づけられてきた引揚言說のメタヒストリ一が、そもそも反ソ·反共言說と連動して特殊化された「文化冷戰」にその起源を持つことを確認した。 『歸還者必携』は、當時の引揚政策が冷戰の流れの中で理念葛藤の場として動き始めたことを表すと同時に、GHQや日本政府側が引揚者をどのように轉用して認識したかを示す「錯綜された引揚者表象」を含んだ資料である。そのような表象は、帝國日本の侵略戰爭や植民地主義に對する斷罪と反省という文脈が共産陣營と自由陣營兩陣營の對決という新しい時代的文脈で置き換えられ、過去の戰爭の當事者ではなく新體制戰爭=冷戰の犧牲者としての引揚者イメ一ジが形成されてきたことをいう。 日本の「戰前から戰後」への再編はその內容において、軍國主義から民主主義へという方向性を帶びている。それは戰後改革を中心にして日本の占領期硏究史や脫植民地主義を主題とする帝國(植民地)硏究史の大きな流れでもある。このような文脈から見ると、帝國と植民地主義といった「戰前の舊制度」と直接的に接觸し生活を營んできた海外引揚者を、民主化され近代化されていく國民國家「新日本」の國民へと「改革」させるという命題が、當時の日本政府の引揚者に對する一次的な態度であった。 『歸還者必携』もこのような方向性を示すものである。ただ、この過程が單純に帝國の臣民から戰後日本國民へとの再編成に止まらなかった。引揚者は冷戰の戰士(cold warrior)として(米國式)自由民主主義を實現する近代的な主體として包攝されるのを强いられたことを『歸還者必携』から確認できる。このような錯綜された引揚者表象は戰後再建期の日本の「再國民化」の樣相を示唆しているとも言えよう。

      • KCI등재

        미군점령 초기 문단의 주체론― 『신일본문학』과 『근대문학』속의 주체 논의를 중심으로 ―

        박이진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4

        After the defeat,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believed that the US military occupation had triggered a democratic revolution, and progressive literary people had a common goal of creating democratic literature. Moreover, this is based on the past of Japan, which was anti-democratic, with an emperor, or as a result of the war ideology, as a platform for criticism. Since 1946, Shin-nihon-bungaku has accelerated the pattern of criticism of the Emperor and the pursuit of war responsibility by literary people, while drawing the workers’ subjectivity through the proposal of ‘Worker Literature’. Further, as this ideological flow is formed, the claim that the literary person needs to change is naturally emerging. The Shin-nihon-bungaku-kai, at that time, led the revolution and called for ‘V narod’ and urged literary people to take the lead by being the leader and revolutionary army. On the other hand, the Kindai-bungaku group opposes the role of a literary person who presumes self-sacrifice for the workers and the people, and proposes a literary prize with self-identity. The Shin-nihon-bungaku-kai demanded political intervention by literary people while claiming the emperor’s breakthrough for the creation of democratic literature. They also construct a discourse of nationalism such as ‘national’ or ‘Japanese’. On the other hand, the Kindai-bungaku group criticized the emperor system as the destruction of the feudal sense of life and developed the discourse of ‘modernization’. 이글은 미군점령 초기 『신일본문학』과 『근대문학』에서 논의되고 있는 주체론을 통해 패전 직후 일본에 대한 미군의 점령을 지식인 문학자들이 어떻게 인식했는지 살펴보고 있다. 패전 후 일본공산당은 미군 점령에 의해 민주주의혁명의 계기가 열렸다고 믿었고, 이에 진보적 문학자들은 민주주의문학을 창조해야 한다는 공통 목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천황제나 전쟁이데올로기와 같은 반‘민주’적이었던 일본의 과거를 비판의 발판으로 삼아 진행된다. 1946년 이후 『신일본문학』은 천황제비판이나 문학자의 전쟁책임 추궁을 가속화시키는 한편 ‘노동자문학’의 제안을 통해 노동자의 주체화를 끌어낸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이 형성되면서 문학자의 자기 변화를 요구하는 주장도 자연스럽게 등장한다. 신일본문학회가 당시 그러한 변혁의 흐름을 주도하며 ‘민중 속으로’를 외치며, 문학자들에게 민중을 선도하는 지도자로 일어날 것을 촉구했다. 반면 근대문학파는 노동자, 민중을 위해 자기희생을 전제로 하는 문학자의 역할에 대해 반발하며 자기 주체성을 가진 문학자상을 제안한다. 신일본문학회는 민주주의문학 창조를 위해 천황제 타파를 주장하면서 문학자의 정치 개입을 요구하였다. 그러면서 ‘국민’이나 ‘일본인’의 소임론과 같은 내셔널리즘 담론을 구축해 간다. 한편 근대문학파는 천황제를 봉건적 생활감정의 타파라는 시각에서 비판하며 ‘근대화’ 담론을 전개한다.

      • 위암 수술 환자에서의 삶의 질 -WHOQOL-BREF의 타당도 및 유용성-

        박이진,정양환,한상익,김진조,박승만,Park E-Jin,Jeon Yang-Whan,Han Sang-Ick,Kim Jin-Jo,Park Seung-Man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목적: 본 연구는 위암 환자에서 한국판 단축형 세계보건 기구 삶의 질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50명의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나이, 성별을 고려하여 선정된 성모자애병원 직원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에게 100문항으로 이루어진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를 구성하는 26문항을 선별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신체영역, 심리영역, 사회영역, 독립성 영역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각의 영역에서 단축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점수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신체영역과 사회영역에서 위암 수술 환자의 삶의 질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판 단축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는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고 타당한 도구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WHOQOL-BREF (Brief form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and to explore quality of life (QOL) by using WHOQOL-BREF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ifty (50)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were recruited with informed consents. Age- and gender matched hospital staffs served as controls. The 100-item WHOQOL instrument was employed for the all subjects. The scores of the WHOQOL-BREF, which is a short version (26 questions) of the WHOQOL, and includes four domain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HOQOL. Results: The scores of the WHOQOL-BRE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WHOQOL in all domains. Two domains, physical and social, were associated with wors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Conclusion: The WHOQOL-BREF is a valid instrument that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