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 가능한’ 천황가 서사와 시선의 권력: ‘마사코 황후’에 대한 대중의 판타지와 관음적 시선

        박이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24 일본비평 Vol.- No.30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Imperial Family after the symbolic emperor system through the ‘Masako’ label. The media system, which has made the Emperors an object of commercialization and consumption, has amplified public interest in and scrutiny of the Emperors. This public interest may be meaningful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the Imperial Family, despite the change in information preferences. However, the tendency of the public to judge the character and personality of the Empress based on her ‘created’ historicity and ‘contradictory’ moralistic narrative is the result of their consuming of her personal identity in fragments. The ‘Empress Masako narrative’ is characterized as a popular fantasy with a playful character in which the public ‘gazing’ at her continually creates a fantasy world. In this fantasy world, the viewer’s playing with the object of his or her ‘gaze’ is in a way an act of consolation and escapism. In addition, in order to further immerse themselves in the name of ‘Masako,’ they have created and enforced the pretext of official duties. This process of immersion is a way of exposing the problem of the reality in which values that should be protected failed to be upheld, and a way of defending oneself against such problem and consoling oneself for having to live in a violent reality. Empress Masako’s narrative functions as a ‘mirror image’ in the semantic effec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public acceptance of the emperor system.

      • KCI등재

        The Postwar Experience of Repatriates: The Crack in Postwar Japan's Reconstruction

        박이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4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4 No.1

        This paper studies the postwar phase of the integration of repatriates into Japanese society, thereby shedding new light on the nationalism of postwar Japan. To this end, it reviews the discourses surrounding the repatriation project and examines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repatriates in postwar Japanese society.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novels of Abe Kobo, who suffered from a confused identity after he returned to Japan from Manchuria. After its defeat in World War II, Japan endeavored to build a "New Japan" through re-education and repatriation. The repatriation project became the basis for the national solidarity required for this restructuring. The personal tales of repatriation, which record the experiences of those evacuated from the former colonies, constitute a history of the ordeals suffered by the Japanese victims of the war. However, repatriates felt both bitterness and discrimination directed against them by postwar Japanese society, as though they were strangers in their own country. Furthermore, they sensed the disjunction between the identity of the colonial Japanese and that of the "pure" mainland Japanese, which caused them to experience existential confusion. However, the cause of this sense of incompatibility was the ideology of postwar Japan, which aimed at reintegrating the nation-state. As the public memory of the Japanese as eternal victims spread, the truth was buried. A review of the postwar fate of the repatriates reveals the "crack" inherent in the nationalism of postwar Japan; it thus contributes to the deconstruction of the myth of the "great achievement" of Japanese homogeneity and reveals its illusory nature.

      • KCI등재

        전후 ‘귀환 소년’의 실존의식 - ‘외지 귀환파’ 우노 고이치로의 이중의 시선 -

        박이진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3 No.-

        As part of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unique status of repatriated writers in Japanese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works of the writer Uno Koichiro. Known as a master of Japanese erotic novels, Uno Koichiro received critical acclaim for his debut work Kuzira Kami, which was compared with Moby Dick and also made him the recipient of the 46thAkutagawa Prize. Noteworthy is that in his works such as Zigoku Mori and Inoshishino Utake, he projected his own position as though he was a “stranger in the parent state.” This is characterized, mostly, by the hero in his works appearing concurrently as a community outsider as well as a villain. Inoshishino Utake, for instance, is a novel about a man who, after arriving at a mountain village that barely engages with the outside world, hunts a village legend, the king of wild boars. Zigoku Mori is a novel about a man who appears in a village where whaling is a multigenerational family business; he is strapped in a cave for decades while attempting to catch a legendary whale on his own. These heroes are all regarded as outsiders and are alienated and excluded until the end. Their image as a “villain” or “sinner” marks them as having a taboo status within the group, and in the end, they are even used. These heroes slowly begin identifying themselves, and interact with prey such as the wild boar or the whale that will be the “scapegoat of the community.” Uno Koichiro’s works are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through the “scapegoat” mechanism, through which fate inevitably excludes certain characters through ritualistic customs. His works, such as the words “I’m a Manchurian,” adequately display his existential thoughts, which were exposed as he suddenly faced an unfamiliar group away from his home of Manchuria. He reaches his existential consciousness through the model of an outsider, excluded and disregarded by the community. 본 논문에서는, 귀환자출신 작가들이 일본 문학 내에서 차지하는 독특한 위상을 밝혀가는 작업의 일환으로, 우노 고이치로(宇能鴻一郎)의 작품 세계를 고찰해 보았다. 일본 관능소설의 대가로 알려져 있는 우노 고이치로는 작가 데뷔시 『고래의 신(鯨神)』이라는 작품으로 일본판 백경이라는 찬사와 함께 제46회 아쿠타가와상을 받았다. 그리고 주목할 만 한 것은, 이 작품을 비롯한 『지옥 작살(地獄銛)』, 『멧돼지의 연회(猪の宴)』와 같은 초기 작품에서 그는 ‘내지의 이방인’과 같았던 자신의 처지를 투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무엇보다도 주인공이 작품 내에서 항상 공동체의 외부자로 등장함과 동시에 악인처럼 등장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외부와의 왕래도 거의 없는 산 속 마을에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한 남자가 마을에서 전설처럼 내려오는 멧돼지의 왕을 사냥한다는 소설 『멧돼지의 연회』나, 대대로 고래잡이를 가업으로 하는 마을에 어느 날인가 나타나 홀로 전설의 고래를 잡으려 수십 년을 동굴에 갇혀 산 『지옥 작살』의 남자 등, 주인공들은 그 집단으로부터 ‘외부인(よそもの, 流れ者)’이라는 이유로 끝까지 소외되고 배척당한다. 더구나 ‘악인’이나 ‘죄인’의 이미지로 인해 집단 내에서 터부시되고, 마지막에는 이용까지 당하게 되는 주인공들은 점차 멧돼지나, 고래와 같은 사냥감에게 자신의 처지를 이입해 가며 서로 교감하게 된다. 이는 마치 ‘공동체의 희생양’처럼 묘사되는데, 제의적인 관습 속에서 운명적으로 배척당할 수밖에 없는 ‘희생양’ 메커니즘을 통해 개인과 공동체 간의 관계를 파고드는 우노 고이치로의 작품들은 “나는 만주인”이라는 말처럼, 그가 고향 만주를 떠나 낯선 집단과 갑자기 조우하게 되면서 노정했던 자신의 실존적 사고를 잘 나타내고 있다. 공동체로부터 배척당하고 도외시되는 외부인의 조형을 통해 자신의 실존의식을 도정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아베 고보의 ‘만주표상’-귀환자의 노스탤지어-

        박이진 만주학회 2012 만주연구 Vol.- No.14

        본 논문은 일본작가 아베 고보의 ‘만주표상’이 형성된 과정을 추적한 것으로, 이전까지 선행론에서 지적되어 오던 ‘패전을 통한 고향상실감’이라는 논리구도를 좀 더 확장시켜 아베 고보의 전후일본에서의 인식 변화에 착안하여 고향상실자의 시점이 형성된 구도를 고찰하였다. 아베 고보는 전후일본을 대표하는 문학자로 일본의 카프카라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기도 하다. 1948년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하는 그는, 자신이 유소년기에 보냈던 만주를 무대로 한 소설을 데뷔작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패전으로 만주에서 일본으로 강제 귀송 조치에 따라야 했던 아베 고보는 실제 자신의 출신 때문에 아이덴티티의 균열을 겪게 된다. 전후일본 사회에서 만주일본인이라는 출신이 갖는 이질감을 자각했던 아베는 만주에서는 지배민족 일본인이었던 자신의 과거 사이에서 극심한 저항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과거 자신의 고향에서 침략자이자 식민자였던 만주일본인이 갖는 위화감이 어떠한 것이었는지를 인식하게 되는 아베는, 같은 일본인 사이에 벌어지는 복수극을 그린 『굶주린 피부』라는 작품을 통해 그러한 내적 갈등(혼란)을 표출하고 있다. 그러나 자신이 계획한 복수가 성공한 듯해도 스스로를 향한 자괴감은 일본인이라는 출신으로부터 도망칠 수 없는 현실을 다시금 상기시키게 된다. 결국 아베 고보는 식민지주의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감을 폭력성을 통해 묘사, 풍자하게 되고, 식민지의 풍경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 존재인 피식민자의 입장을 사자(死者)로 그려내게 된다. 『변형의 기록』이 그것으로, 이 작품은 과거 만주와 전후일본의 피식민자의 입장을 이중적으로 투영한 것이기도 하다. 아베 고보는 전후일본의 미군점령의 현실을 식민지주의라는 지배 이데올로기로 직시한 것으로 이와 동시에 만주에서의 일본인이 갖고 있던 존재감을 보다 선명하게 인식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제는 더 이상 만주를 고향이라고 여길 수 없는, 고향상실자로서의 위치감각을 인지하게 된다. 『탐정과 나』에서 묘사되듯이 건조한 날씨와 회오리치는 모래 바람처럼 황량하고 메마른 만주의 표상은 실제 만주의 풍토를 이루는 요소이기도 하지만, 침략자 일본인이라는 사실관계 때문에 오는 죄책감에 그리움이 넘치는 정겨운 기억으로 고향 만주를 표현할 수 없었기에 형성된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아베 고보의 인식 변화에 따른 노스탤지어의 형성과정으로, 황량하고 살풍경한 만주의 이미지는 아베 자신의 표상할 수 없는 고향에 대한 내면 풍경을 함유하고 있다.

      • KCI등재

        일본 태교론의 전통과 근대

        박이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1 일본사상 Vol.- No.41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확산된 태교론을 역사적 관점에서 그 흐름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일본 태교론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평가받는 시모다 지로의 『태교(胎敎)』(1913년)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태교론이 당시 등장할 수 있던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당시 최신 과학지식으로 유행하였던 위생학과 우생학이 결합하여 탄생한 근대일본의 태교론의 특징을 규명할 수 있었다. 일본에서 전통적인 태교가 여성 중심의 금기록(수양서) 같은 성격을 가졌다면, 『태교』는 임신과 출산에 있어 모체를 아이를 낳기 위한 ‘빌린 배’로 인식했던 전통적 신체관을 부정하고 모자의 건강이 중요하다는 근대적 위생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반면 당시 일본 사회에 확산된 유전학과 인종개량론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태교』 이후 20세기 전반에 출간된 태교 서적에는 ‘태교가 우생학’임을 명시하기에 이른다. 국민우생법(1940년)을 제정해 민족위생보호라는 명목으로 일본인을 계급화하고 선민사상을 고취했던 당시 위생학과 우생학이 결합하여 탄생한 태교론은 국민우생법에 명분을 제공하였다. ‘불결함’과 ‘장애’는 좋지 못한 것이라는 인식 저변에 영향을 주는 ‘과학적 근거’로 기능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flow and trend of the theory of prenatal care that has spread in Japa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This is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himoda Jiro’s book Taikyō (1913), which is regarded as a epochal turning point in the theory of prenatal care in Japan. At the same time, the background to which this theory of prenatal care could appear at that time was examined. In the process, it was clarified that the theory of prenatal care in modern Japan was born by combining hygiene and eugenics, which were popular as the latest scientific knowledge at that time. If traditional prenatal care in Japan consisted of characteristics stemming from a female-centered “book for self-discipline”, Taikyō denied the traditional view of the body in term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recognized the mother as a ‘borrowed belly’ for bearing children. And Taikyō explained with the modern concept of hygiene that the health of mothers and children is important. Books on prenatal care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fter Taikyō stated that prenatal care is a form of eugenics. In Japan, the National Eugenic Act (1940) enacted under the pretext of protecting national hygiene inspired the classification of the Japanese as ​​a chosen people. At that time, the theory of prenatal care, which was created from the combination of public hygiene and eugenics, provided a justification for the National Eugenic Act, and this still serves as the basis for the Eugenics Protection Law and Motherhood Protection Act. It serves as a supposed “scientific basis” for the perception that “insanitariness” and “disability” are not good.

      • 위암 수술 환자에서의 삶의 질 -WHOQOL-BREF의 타당도 및 유용성-

        박이진,정양환,한상익,김진조,박승만,Park E-Jin,Jeon Yang-Whan,Han Sang-Ick,Kim Jin-Jo,Park Seung-Man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목적: 본 연구는 위암 환자에서 한국판 단축형 세계보건 기구 삶의 질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50명의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나이, 성별을 고려하여 선정된 성모자애병원 직원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에게 100문항으로 이루어진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를 구성하는 26문항을 선별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신체영역, 심리영역, 사회영역, 독립성 영역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각의 영역에서 단축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점수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신체영역과 사회영역에서 위암 수술 환자의 삶의 질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판 단축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는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고 타당한 도구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WHOQOL-BREF (Brief form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and to explore quality of life (QOL) by using WHOQOL-BREF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ifty (50)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were recruited with informed consents. Age- and gender matched hospital staffs served as controls. The 100-item WHOQOL instrument was employed for the all subjects. The scores of the WHOQOL-BREF, which is a short version (26 questions) of the WHOQOL, and includes four domain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HOQOL. Results: The scores of the WHOQOL-BRE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WHOQOL in all domains. Two domains, physical and social, were associated with wors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Conclusion: The WHOQOL-BREF is a valid instrument that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 KCI등재

        『근대문학』‘문학자상’에 대한 試論 ― 전후문학 형성기 <근대적 주체, 지식인 문학자>가 갖는 담론구조 ―

        박이진 한국일본학회 2012 日本學報 Vol.90 No.-

        本稿は『近代文学』という戦後の思想空間の上で論じられている具体的な言説に関する考察である。とりわけ近代文学派が唱えた<文学者像>に注目する。彼等は自らが主張する芸術の自立や知性の解放による文学の新たな出発のためには、まず文学者の位置を規定し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1946年、創刊号の「政治と文学」論にみられるように、創刊の当時からテーマセックトとして働いた『近代文学』は、蔵原惟人や新日本文学会のヘゲモニーを相対化しようとする観点に立っていた。近代文学派の議論は、戦前のプロレタリア文学運動に対する批判的な省察から出発し、民衆との関係の再成立に基づいた'インテリゲンチャ'の文学者像を導き出す。その上、1947-48年度に至っては、日本の近代化においてのインテリゲンチャの覚醒と省察を求める議論が進められる。文学者は'近代的な主体としての知識人'になるべきだという観点は、それ自体が文学者の役目に関する議論に他ならない。過去の日本が歩んできた歪曲された近代化についての歴史的な認識に基づき、真の近代化や民主主義文学の創造を目指した近代文学派は、社会的な責任を備えた市民のエネルギによってこそ戦後文学が繰り広げられると唱えた。

      • 정신분열병 환자의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에 대한 지형학적 연구

        박이진,전양환,이재원,한상익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6

        Objective:Results from various methodological modalities indicate laterality of brain func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abnormaliti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n neurophysiological field, there is particular interest in the P300 component of event related potentials, being recorded during discriminative information processing. A wide literatures documented reduction of P300 amplitudes in schizophrenic patient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topographic pattern of amplitudes of P300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patients(N=20) with schizophrenia by DSM-VI and normal controls(N=20). The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were measured by “oddball paradigm”, which known as a standard method. P300 latency was determined by Global Field Power and amplitudes measured on 5 electrodes(Fz, Cz, Pz, T3, T4) were compared between controls and patients. Results:There were reduction of P300 amplitudes on all 5 cortical area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mpared with normal controls. There is no anterior to posterior effect but also left to right effect in the both groups. Conclusion:P300 amplitudes reduction without localization were founde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연구목적: 저자들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보처리과정을 반영하는 사건관련전위 P300의 지형학적인 분포 양상을 조사 하여 이들 환자에서 나타나는 정신생리학적인 측면의 병태생리를 확인하려고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군은 DSM-Ⅵ에 의해 진단된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과 나이와 성별을 일치시킨 정상인 대조군 20명으 로 하였다. 청각 사건관련전위 P300은‘oddball’모형으로 기록하였다. P300 잠복기는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에 의해 결정하였으며 P300 전위는 5군데에 위치한 전극(Fz, Cz, Pz, T3, T4)에서 측정하여 비 교하였다. 결 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의 P300 전위는 측정한 5개 전극 부위 모두에서 대조군보다 감소되어 있었다. 두 군 사이 에 전·후, 좌·우에 따른 지형학적인 분포상의 편측성은 없었다. 결 론: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P300 전위가 편측성 없이 뇌전반에 걸쳐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 KCI등재

        집합기억으로서의 전후- 1970년대 『인간의 증명』 속 기원의 이야기 -

        박이진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0 No.-

        This paper considered the history that was presented to the public in Japanese society in the 1970s and analyzes how it is remembered. The novel『Proof of the Man (Ningen no Shōmei)』(1975, Seiichi Morimura) reproduces the occupation history (1945-1952) and represents post-war Japan. This novel also re-discusses the postwar perception formed after the occupation period. In this novel, the murderer (the mother) kills a mixed blood child to protect the Japanese family. This mother's choice tragically reproduces the situation in which she had to live during the history of oppression. Also, the two detectives in Japan and New York who investigate the case have a history connected with the occupation. Furthermore, the history of the hidden past is highlighted by highlighting the unhappy personal history of the two detectives who were both victims and perpetrators. It is historical as the story of origin. It is important that popular novels in the 1970s reproduced the postwar history such as the time of the occupation. The reason for this is related to the postwar recognition of Japanese society at present. As in this novel, a crime that excludes the negative elements of postwar Japan's "secret of birth" after completing a period of high growth also affects the war responsibilities and historical perceptions. The public will have a closed perception of postwar Japan. 이 글은 1970년대 일본사회에서 호출되는 역사는 무엇이고 또 어떠한 사회상으로 기억되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점령기를 재현하고 있는 모리무라 세이치의 소설 『인간의 증명』에 나타난 고착화되고 있는 ‘전후표상’을 통해 재담론화되고 있는 ‘전후인식’의 변주를 살펴보았다. 이 소설은 일본인 가족을 지키기 위해 흑인혼혈아 아들을 살해할 수밖에 없던 어머니의 선택이라는 도식 속에 ‘신파로서의 점령기 기억’을 완성하고 있다. 또한 사건을 파헤치는 일본과 뉴욕의 두 형사가 간직한 점령군과 관련된—피해자였고 가해자였던- 불행한 개인사를 전경화하여 봉인된 과거의 기억을 ‘기원의 이야기로서 역사화’하고 있다. 1970년대 대중소설이 점령기와 같은 전후사를 소급해 올라가 과거를 전경화하고 있음은 현대 일본사회의 ‘전후인식’과 관련해 중요한 현상이다. 이 소설에서처럼 고도성장을 완료한 전후일본의 이른바 ‘출생의 비밀’에 얽힌 부정적 요소를 배제하는 범행은 전쟁책임관이나 역사인식과 연동되어 폐쇄적인 ‘전후인식’의 고착화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