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에서 분리한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PFGE를 이용한 molecular typing

        박은희,김미희,김정아,한난숙,이주현,민상기,박연경,진성현,정구영,빈재훈,Park Eun-Hee,Kim Mi-Hee,Kim Joung-A,Han Nan-Sook,Lee Ju Hyeoun,Min Sang Gi,Park Yon Koung,Jin Seong Hyun,Jeong Gu Young,Bin Jae Hun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2

        2001년부터 2003년까지 부산지역의 냉각탑수에서 분리한 L. pneumophila (serogroup 1) 39균주에 대해 제한효소 SfiI 처리한 경우 PFGE 양상은 dice coefficient $<65\%$의 유사성을 가진 band를 Awl로 10개의 pulsotype으로 나누었고, 가장 많았던 유형은 E pulsotype으로 39주중 18주로 $46.2\%$를 나타내었으며, 그 외 A pulsotype $17.9\%$, C pulsotype $15.4\%$, F pulsotype $7.7\%$ 및 B, D, G, H, I, J pulsotype이 각각 $2.6\%$로 유전적 양상이 다양하였다. 제한효소 NotI 처리한 경우 PFGE 양상은 dice coefficient $<60\%$의 유사성을 가진 band를 $a\~h$로 8개의 pulsotype으로 나누었고, 가장 많았던 유형은 f pulsotype이 $38.5\%$였으며 그 외 d pulsotype $20.5\%$, e pulsotype $17.9\%$, a pulsotype $10.3\%$, h pulsotype $7.7\%$ 및 b, c, g pulsotype이 각각 $2.6\%$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산지역에서 분리되는 레지오넬라균에 대한 유전자 유형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레지오넬라증의 집단 발생 또는 산발적인 질병 발생이 있을 경우 분자학적 측면에서 사람과 환경에서 분리된 균으로부터 감염원과 감염경로를 규명하는 역학적인 도구로써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In this study, we did the molecular typing of 39 environmental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 isolates collected from 2001-2003 in Busan using the pulsed-filed gel electrophoresis (PFGE). PFGE of SfiI fragments were divided into 10 pulsotypes $(A\~J)$, corresponding to $<65\%$ similarity and a subtype within each pulsotype was characterized by $>84\%$ similarity. The major cluster was pulsotype E $(46.2\%)$, which included 18 isolates and was divided into 4 subtypes $(E1\~E4)$. PFGE of NotI fragments were divided into 8 pulsotypes $(a\~h)$, corresponding to $<60\%$ similarity and a subtype within each pulsotype was characterized by $100\%$ similarity. The major cluster was pulsotype f $(38.5\%)$, which included 15 isolates. The ATCC type strain L. pneumophila serogroup 1 was identified as a different molecular pulsotype compare to the Busan isolates. It is possible that L. pneumophila serogroup 1 isolated in Busan with specific DNA pattern is comparable with those isolation in other cities in Korea.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 내 공중화장실에 대한 탐방객 인식에 관한 연구 : 지리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이호(Ho Lee),이승록(Seung-Rok Lee),박기현(Ki-Hyun Park),박은희(Eun-Hee Park),차진열(Jin-Yeol Cha),심규원(Kyu-Won Sim),강동원(Dong-Won Gang)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1

        본 연구는 공원 내 공중화장실에 대한 탐방객의 인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지 설문조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성삼재와 중산리 일원을 방문한 탐방객 29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공중화장실의 관리상태, 외관, 디자인 요인 모두 탐방객의 공중화장실 이용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 관리상태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탐방객의 인식과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중화장실의 청결한 관리 및 유지, 악취 방지, 소모품의 원활한 공급 등에 우선순위를 두어 집중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Data of 292 visitors were collected from Seongsamjae and Jungsanri in Jirisan National Park. The results showed that maintenance, outlook and design of public toilet are positively related to visitors’ satisfaction. One of the major research findings is that the maintenance of public toilet most affects visitors’ satisfaction. Therefore, the park managers need to put great emphasis on the cleanliness and maintenance, preventing stinks, consumable supplies of public toilet in order to enhance visitor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 KCI등재

        중학생의 자의식이 기술·가정 교과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의 중요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은희,이상주,Park, Eun-Hee,Lee, Sang-Joo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16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18 No.2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juvenile self-consciousness on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in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4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Deagu metropolitan City.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hi}^2-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Our findings are as follows. Self-consciousness had factors as privately and socially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The factors of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were clothing, self-express and excellence in traditional cloth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d factors as appearance management, plastic surgery interest, diet importance, health focus and eating habit. Self-consciousnes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ctors of the importance of unit 'Clothing and self-express', and self-consciousness on 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 differences by gender of middle students was examined in clothing and textile interest, clothing and textile unit interest and knowledge acquisition route.

      • KCI등재

        설사환자에서 Campylobacter jejuni의 분리 및 항생제 감수성 특성

        박은희,김정아,최성화,빈재훈,최홍식,석동희,이수철,김영희,Park, Eun-Hee,Kim, Joung-A,Choi, Seung-Hwa,Bin, Jae-Hun,Cheigh, Hong-Sik,Suk, Dong-Hee,Lee, Su-Chul,Kim, Young-Hui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6

        2005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설사환자의 분변 882건에서 27주의 C. jejuni가 분리되어 3.1%의 분리율을 보였으며, 계절별로는 7월에 가장 높은 9주(11.7%)가 분리되었으며, 분리균주 모두는 catalase 양성, hippuric acid를 가수분해하였다. heat-stable antigen을 이용한 PHA법으로 확인한 혈청형은 HS2형이 18.5%로 가장 많이 분리되었으며 Hs1/44형과 HS2l형 이 각각 11.1%, HS4 complex와 HSl9형 이 각각 7.4%,그리고 HSl8형이 3.7%였으며, 40.7%인 11주는 본 실험방법으로 혈청형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정도는 cephalothin에는 100%의 내성률을 erythromycin과 imipenem에는 0%의 내성률을 나타내어 분리균주 모두 감수성이었다. 항생제별로는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63.0%, tetracycline 51.9%, ciprofloxacin 37.0%, ampicillin과 nalidixic acid 33.3%, gentamycin 25.9%, clindamycin 7.4%, chlorarmphenicol 3.7%의 순으로 내성률을 보였다. ln this study we isolated 27 isolates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stool samples of 882 diarrheal patients.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patients was highest at July (11.7%). All the isolates of C. jejuni hydrolyzing sodium hippurate were serotyped on basis of heat-stable antigens, and identified with the use of passive hemagglutination assay. A total of 59.3% among 27 C. jejuni isolates were identified into 6 different serotypes, which serotype HS2, HSl/44, and HS2l were dominant. Antibiotics resistant rates of C. jejuni isolates were shown to be 100%, 63.0%, 51.9%, 37.0%, 33.3%, 25.9% and 7.4% to cephalothin,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 tetracycline, ciprofloxacin, ampicillin, gentamycin and clindamycin, respectively. All isolates were sensitive to the erythromycin and imipenem.

      • KCI등재

        토마토 (Lycopersicon esculentum) 표피조직의 이형세포 분화 발달

        박은희,김인선,Park, Eun-Hee,Kim, In-Sun 한국현미경학회 2004 Applied microscopy Vol.34 No.4

        식물체에 여러 유기성분을 함유하는 발향성 식물인 토마토는 표피조직에 여러 형태의 이형세포가 발달한다. 유용식물인 토마토에 대하여는 많은 영역에서 활발하게 집중 연구되고 있으나,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이형세포에 촛점을 두고 구조적으로는 자세히 연구되어 있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표피조직, 특히 생식기관의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이형세포들의 구조 및 분화 발달양상을 주사전자현미경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토마토 표피조직에는 불규칙형 기공과 방사형 돌출기공의 두 유형의 기공이 발달하였으며, 모용은 분비성과 비분비성의 다양한 4가지 형태로 분화하였다. 분비성 모용은 peltate 형과 capitate형 분비모로 대별되었고, 비분비성 모용은 단상모와 원좌형 기저세포의 장상모로 발달하였다. 특히, 화경에는 돌출기공의 발달이 현저하였고, peltate형 분비모는 꽃받침과 자방 표피조직에 뚜렷하였다. 이후 분비모용과 돌출기공에 대한 세포학적 측면에서의 구조적인 연구가 병행되어 본 결과와 접목되면 구조와 기능간의 관계규명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며, 유용성분의 자원화 및 기능물질 개발에 있어 더욱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Plants of Lycopersicon esculentum, containing various organic compounds, are known to develop idioblasts in their epidermis. Lycopersicon esculentum have long been investigated in many areas, but structural aspects of the epidermis of various organs have not been carried out in detail. Thu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patterns of idioblast development, particularly those of the reproductive organs, in L. esculentum epidermi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present study mainly focused on patterns of the stomata and trichome types. Two types of stomata were developed in the flowers and fruits: anomocytic stomata (stomata type I) were distributed normally throughout the epidermis, whereas actinocytic raised stomata (stomata type II) were found variously in different epidermal tissues. For the trichomes, both glandular and non-glandular types were developed in the epidermis. The former included peltate glandular trichomes having four head cells (trichome type I) and capitate multicellular glandular trichomes (trichome type II). The latter included non-glandular short trichomes (trichome type III) and considerably elongated trichomes with basal rosette cells (trichome type IV). In paticular, the raised stomata were well-developed in the peduncles and the peltate glandular trichomes were prominent in the sepal and ovary epidermi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on the ontogeny and ultra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these idioblast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result, will aid us i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al relationship in the epidermal differentriation of Lycopersicon esculentum.

      • SCOPUSKCI등재

        중학교 화학 분야의 개념 연구에 대한 문제점 분석

        박은희,강대훈,백성혜,박국태,김혜경,채우기,권균,Park, Eun Hee,Kang, Dae Hun,Paik, Seoung Hey,Park, Kuk Tae,Kim, Hye Gyeng,Chae, Woo Ki,Kwon, Gyun 대한화학회 1999 대한화학회지 Vol.43 No.3

        중학교 화학 분야의 오개념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의 문제점을 밝혀, 학생들의 정확한 오개념 조사를 위한 바탕을 마련하고자 한다. 기존의 중학교 화학 분야에 대한 오개념 조사 설문지가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잘못 사용되고 있었으며, 문항 내용 자체에도 오류가 있었음을 지적하고자 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들의 분석 결과들이 오개념이 아니라 무개념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학교 1학년 학생 182명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설문지 A와 B를 투입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 A는 오개념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들에서 사용한 문항들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투입한 결과를 선행 연구들의 결과들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설문지 B는 설문지A에서 응답한 학생들의 구체적인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새롭게 개발한 것이다. 설문지 A를 통해 얻은 결과와 선행 연구들에서 얻은 결과들을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일관성이 없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주관식 정답률이 객관식 정답률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나는 공통점은 있었으나, 문항 자체의 오류들이 발견되었다. 설문지 B를 통해 학생들의 생각을 알아본 결과, 설문지 A에서 과학적 개념과 오개념으로 분류된 학생들중에서 무개념으로 판단된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roblems of questionnaires related to misconception researches of middle school chemistry and to prepare a ground for the correct misconception research for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questionnaires of the misconception researches related to chemistry in middle school were analyzed, and the mistakes of the questions which were used in 7th grade students were found, based on a definition of misconceptions in this study. Also, the errors 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were indic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most of the 7th grade students did not have misconceptions contrary to some of the previous researches conclusions. They only had no conceptions related to the contents. In order to support this analysis, two different questionnaire sets (questionnaire set A and B) for 182 7th grade students were used. After obtaining similar results to those of the previous researches by the questionnaire set A, the students' thoughts were examined by the questionnaire set B.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rrect answer rates of subjective questions were very low compared with those of objectiv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set A for 7th grade students. It was hard to find consistency amo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using the questionnaire set A. And many contents of the questions consisted of the questionnaire est A were not consisted with a definition of misconceptions. There were errors in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too. The students classified as the havingscience-concepts group and the having-misconceptions group by the questionnaire set A were classified as the having-no-concepts group by the questionnaire set B.

      • KCI등재

        설사 환자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의 특성

        박은희,민상기,이주현,박연경,정구영,빈재훈,Park Eun Hee,Min Sang Gi,Lee Ju Hyeoun,Park Yon Koung,Jeong Gu Young,Bin Jae Hun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4

        부산광역시 관내 병원에 내원한 설사환자 704명의 분변으로부터 64건의 황색포도상구균을 분리하였다. 황색포도상구균의 평균 분리율은 $9.1\%$였으며, 5월에 가장 높은 16건$(16.8\%)$이 분리되었으나 계절에 상관없이 꾸준히 분리되었다.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 64균주 중 $45.3\%$인 29균주의 황색포도상구균이 장독소를 생산하였으며, 장독소 유형별로 A형이 24균주$(37.5\%)$, B형이 3균주$(4.7\%)$, C형이 2균주$(3.1\%)$순이었다. 또한 15종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율은 penicillin과 ampicillin에 대하여 각각 $95.4\%$와 $93.8\%$로 매우 높은 내성율을 나타내었으나, chloramphenicol과 vancomycin에 대하여는 $100\%$ 감수성이었다. Oxacillin에 내성을 나타내는 MRSA은 $31.3\%$였으며, vancomycin에 내성을 나타내는 VRSA은 $0\%$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MRSA의 분리율은 남자가 $35.7\%$ (15균주/42균주), 여자는 $26.3\%$(5균주/19균주)로 남자가 더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9세 이하 5명(남자 4명, 여자 1명), 20대 1명(남자 1명), 30대 2명(남자 2명), 50대 4명(남자 3명, 여자 1명), 60세 이상 8명(남자 5명, 여자 3명)이었다. 10대와 40대에서는 MRSA가 분리되지 않았다. 공시 항생제에 대한 내성양상은 분리된 64주 중 61주의 균이 최소 2종류 이상의 약제에 대하여, 최고 12종류의 약제에 대하여 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다제내성형을 나타내었다. The major causative bacteria of food poisoning were Salmonella spp. $(35.6\%)$, Staphylococcus aureus $(11.3\%)$ and Vibrio parahaemolyticus $(3.2\%)$ in our country. In this study we attempted isolation of S. aureus from stools of patients with diarrhea. Sixty-four strains $(9.1\%)$ were isolated from 704 the stools of patients with diarrhea. The enterotoxin was detected from 29 isolates $(45.3\%)$: 24 isolates $(37.5\%)$, 3 isolates $(4.7\%)$ and 2 isolates $(3.1\%)$ were A, B and C type, respectively. In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63 isolates $(98.4\%)$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60 isolates $(93.8\%)$ to ampicillin, 35 isolates $(54.7\%)$ to erythromycin, 32 isolates $(50.0\%)$ to gentamycin, 22 isolates $(34.4\%)$ to tetracycline and 20 isolates $(31.3\%)$ to oxacillin. All of S. aureus isolates were susceptible to chloramphenicol and vancomycin, 20 isolates $(31.3\%)$ were methicillin-resistance S. aureus (MRSA). MRSA isolation rate was higher in male $(35.7\%)$ than female $(26.3\%)$. With the exception of two isolates which were resistant only to penicillin, sixty-one isolates wer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

        박은희,Park, Eun Hee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9 한국교육논총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3학년 341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성취적 양육태도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자율적 양육태도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성취 지향적, 애정적, 자율적인 것으로 지각할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유의한 예측력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영향을 끼치며 이는 교사가 통제행동을 하는 것 보다 자율성 지지 행동을 할 때, 학생들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teachers' autonomy support a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A total of 341 high school students from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urvey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parental attitudes, teacher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were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as oriented more toward being attainable and relatively less self-direc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ough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ir parents' attitudes as more attainable-oriented.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 terms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more goal-oriented, compassionate, and autonomous the parental attitudes are, the likelier are students to have develope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Second, the male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autonomy support of teachers than were the female students. This shows that the results have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v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ly, the perception of autonomy support by teachers affects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mong students. We can therefore conclude that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develop most effectively in students who are supported by their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