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of the Hwacheon Granite

        박영록,고보균,Park Young-Rok,Ko Bokyun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04 암석학회지 Vol.13 No.4

        중생대 쥬라기에 생성된 과알루미나질 화천화강암의 산소와 수소 안정 동위원소 조성을 알아보고, 이들 값이 다른 지역에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이 가지는 값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해보았다. 화천화강암을 구성하는 석영과 사장석은 각각 8.2에서 10.6$\textperthousand$과 5.8에서 $\delta$$^{18}$ O 값을 가지며, 화천 화강암 주위에 분포하는 호상흑운모편마암의 전암 $\delta$$^{18}$ O 값은 8.1에서 9.4사이의 값을 갖는다 화천화강암의 전암과 흑운모의 $\delta$D 값은 각각 -84에서 -113$\textperthousand$과 -107에서 -l13$\textperthousand$ 사이의 값을 갖는다. 기반암의 전암 $\delta$D 값은 -76에서 -100$\textperthousand$ 사이의 값을 갖는다. 화천화강암의 $\delta$$^{18}$ O과 $\delta$D값은 과알루미나질 화강암이 전형적으로 가지는 값에 비해 낮은 값을 가지는 특징을 보여준다. 화천화강암이 가지는 낮은 $\delta$$^{18}$ O 값은 오랜 기간 동안 이루어진 유체-암석 상호작용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안정동위원소 모델링 결과는 약 1$\textperthousand$ 이하의 비교적 낮은 $\delta$$^{18}$ O 값을 가지는 유체가 비교적 높은 유체/암석 IB(<-6) 환경 하에서 동위원소 교환반응이 일어났음을 지시해준다. 이 유체는 천수가 화천화강암 및 주변에 분포하는 변성이질암과의 오랜 시간에 걸친 산소동위원소 반응 결과 $\delta$$^{18}$ O 값이 무거워진 유체이다.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of the Jurassic peraluminous Hwacheon granite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Jurassic peraluminous Daebo granite in Korea. $\delta$$\^$18/O values for quartz and feldspar of the Hwacheon granite range from 8.2 to 10.6 and 5.8 to 9.0$\textperthousand$, respectively. Whole rock $\delta$$\^$18/O values for banded biotite gneiss country rocks surrounding the Hwacheon granites range from 8.1 to 9.4$\textperthousand$. Whole rock and biotite $\delta$D Values for Hwacheon granite range from -84 to -113 and -107 to -113$\textperthousand$, respectively. Whole rock $\delta$D values for banded biotite gneiss country rocks range from -76 to -100$\textperthousand$. Both $\delta$$\^$18/O and $\delta$D values of the Hwacheon granite are characterized by low values compared to the 'normal' values for the fresh peraluminous granitic rocks. Low $\delta$$\^$18/O values of the Hwacheon granite resulted from fluid-rock interaction for a long period. Isotopic modelling result renders that a relatively low-$\delta$$\^$18/O fluid below -1$\textperthousand$ was involved in subsolidus isotopic exchange under a relatively high fluid/rock ratio (<-6). The fluid of meteoric origin has experienced a modification of oxygen isotopic composition as a result of fluid-rock interaction with the Hwacheon granite and surrounding metapelitic country rocks.

      • 정신분열병 환자의 신체망상과 압통역치에 관한 임상적 연구

        박영록,송지영,Park, Young-Rok,Song, Ji-You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7 정신신체의학 Vol.5 No.1

        Object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role of somatic delusion on the pain percep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t was hypothesized that pressure pain thresholds would be rather higher in schizophrenic patients who had somatic delusion than patients with other delus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3 groups, 23 men with schizophrenia who had somatic delusion, 25 men with schizophrenia who had other delusion, and 22 normal healthy controls. By using Algometer, pressure pain thresholds were examined to subjects on three non-tender sites with 6 weeks interval. The severity of delusion was evaluated in both patient groups. Statistically, Chi-square test, One-way ANOVA, Multivariate ANOVA, and Scheffe's test were used. Results :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matic and other delusion groups and normal control group at initial stage. 6 weeks later even when severity of delusion was thought to be ameliorated, this finding were sustained. 2) The severity of the components of delusion, conviction and preoccup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somatic delusion group and other delusion group according to the time interval. The decrements of the severity of delusion seems to be related with changes in pressure pain thresholds in both patient groups. Conclusions : We re-confirmed that both schizophrenic patient groups showed higher pressure pain thresholds compared to normal healthy control. However we failed to find the role of somatic delusion on pain perception in schizophrenia. Delusion, including somatic delusion, as a whole, seems to affect the increased level of pressure pain threshold due to attention deficit and decreased motiv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KCI등재

        중국 한자어 원지음 표기의 문제점

        박영록 ( Young Rok Par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大東文化硏究 Vol.76 No.-

        이글은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원지음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아울러 현행 원지음주의에 근거하여 중국의 지명이나 인명을 중국 원지음으로 표기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이론적 근거가 없음을 논한 것이다.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첫째로 외래어는 한국어의 일부로 간주하고, 둘째로 그 표기 원칙은 해당 외래어의 原地音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을 골간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어의 경우, 외래어 표기법 자체가 원지음을 기준으로 한다는 점에 근거하여 중국어 역시 이러한 대전제에 따르는 것이 일관성 있는 외래어 처리 방법이며, 아울러 이렇게 해야 문화적 주권을 추구할 수 있다고 하는 주장이 있고, 현재로서는 이것이 대중 매체에서 통용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주장의 문제점을 살펴 본 것이다. 첫째로 외래어와 원지음주의란 상호 충돌하는 모순적 개념이라는 점, 둘째로 언어들의 관계 및 각 개별 어휘들은 개별적 특성이 강한 것이므로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는 점, 셋째로 문화주권의 측면에서 중국어 원지음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문화주권이란 여러 가지 측면의 정의가 있을 수 있으며, 문화주권을 문화생산력이라 볼 때 원지음주의 보다 기존의 관습음을 따르는 것이 오히려 더 생산적이라는 점 등을 볼 때, 중국어 고유명사의 원지음 표기는 타당하지 않은 것이다. This paper argues that Chinese loanwords should be written in Sino-Korean pronunciations instead of in Chinese pronunciations. Previous traditional practice was to write Chinese proper names in Sino-Korean pronunciations, but it is argued that Chinese proper names should be written in Chinese pronunciations, since to the current Loanword Orthography(1986) has issued. Some researchers who insist that we should adopt Chinese pronunciations, give like these reasons: first, all of other loanwords are written in original pronunciation just except Chinese and Japanese; second, so for consistency of writing, we should adopt Chinese pronunciations; third, people easily confuse Chinese person and geographical name with Korean`s, and this is not good for subjecthood of culture. Their insistence like this may be called "original pronunciation theory". But I think any grounds of this original pronunciation theory are not given, even though above-mentioned ``consistency`` and ``subjecthood`` were given; becaus the premise of this "original pronunciation theory" is not correct. The current Loanword Orthography of Korean have two mainstay: the one, a loanword belongs to Korean, and the other, a loanward is writen in original pronunciation, and these two mainstay contradict each other. It is that, according to original pronunciation theory, the criterion of a loaword`s writing form is based on foreign language, that cannot stand up, clearly. So called ``consistency`` is not correct, because language is very complicated phenomenon, so there is thisness in languages and words. And ``subjecthood`` also has some problems. Subjecthood of culture may have several definitions, one of that is productivity in culture, in this case, ironically, "original pronunciation theory" doesn`t well at its goal. So I suggest that the basic principle of Loanword Orthography is to write in conformity with custom, and in the case of Chinese, is to write based on Sino-Korean pronunciations.

      • KCI등재

        『조당집(祖堂集)』 론난(論難) 여지(餘地)가 있는 어구(語句) 7사례

        朴英綠 ( Park Young-ro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6 No.-

        선어록, 특히 『祖堂集』은 漢語史 연구에서 晩唐·五代 시기의 早期白話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禪語錄이 난해하지만, 특히 『祖堂集』은 현재 陜川 海印寺의 高麗大藏經本이 唯一本이므로 磨耗된 글자, 의심스러운 語句 등에 대해 비교할 대상이 많지 않아 內容 外的으로도 讀解에 어려운 점이 많다. 이글은 『祖堂集』에 대한 기존 校勘書, 飜譯書 및 각종 道具書의 설명 중 妥當性이 疑心스러운 事例들을 점검한 것인데, 다만 분량 관계상 대체로 『祖堂集』의 권5까지가 주요대상이며, 그 이후는 후속 작업에서 다루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獲貧女之金珠”에서 ‘貪女’가 아니라 ‘貧女’가 올바른 표기이다. (2) “我法至六代陵遲傳法之人”에서 ‘陵遲’는 앞으로 발생할 현상에 대한 예언이 아니라 ‘당부’이다. (3) “況吾未能變易? 分段之報, 必然之至, 當有所在耳”에서 ‘變易’과 ‘分段’은 서로 수준이 다른 두 종류의 生死이다. (4) 달마화상 條에 수록된 반야다라의 讖言偈 중 ①“白寶初平平”의 ‘初平平’은 승찬대사가 전법 초기에 廢佛사태를 만나 왕성한 활약을 하지 못하였음, ② “草若除其首”는 글자수수께끼로서 ‘十’字를 의미한다. (5) “可笑奇”에서 ‘可笑’는 정도가 심함을 나타내는 부사로서 전체적 의미는 “대단히 기이하다, 대단히 뛰어나다”이다. (6) “撥草瞻風”에 대한 기존 해석은 대체로 상징적 의미의 분석에 편향되어 있으나 이것은 구체적 행위인 “행각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 There are aspects that can not be understood as the general logic because the sunroof is used a lot of symbolic expression and the sunfish itself aims at transcending the logic in the beginning and the expression of the 殺 佛 殺 祖(Kill Buddha, Kill Master) who can not be put into the mouth in other religions comes out freely. Because of this, there is a tendency to take the non-logic of some phrases for granted. However, even if it is an early dialogue, the sentence of a sentence should be complete in everyday language so that it can be meaningful. For this reason, the core of the line is the area of experience, which is often referred to as 'an uninterpretable part', but the phrase itself can be reviewed logically.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examples in the front of about five of the many doubtful phrases in the Zutangji, the First Analects fo Seon, and deal with the problem of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e prose.

      • KCI등재

        『리학지남(吏學指南)』의 몇 가지 쟁점(爭點) 검토(檢討)

        박영록 ( Park Young-ro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100 No.-

        『吏學指南』은 원대 徐元瑞가 1301년(元 大德 5年)에 편찬한 책으로서, 필자의 自序에 의하면 원제는 『習吏幼學指南』이다. 이 책은 주로 胥吏들이 실무에 있어 알아두어야 할 법률, 공문서의 각종 용어에 대한 어휘풀이가 주요 내용을 이루며, 끝 부분에 胥吏 된 자가 가져야할 마음가짐에 대해 역대의 箴言이나 역사적 사례들을 첨부하고 있다. 원대의 법률, 공문 시스템은 그 이후 명대와 청대에도 영향을 끼쳤을 뿐 아니라 이웃한 조선과 일본 등에도 영향을 끼쳤고, 또한 이들 나라에서 胥吏를 교육시킬 교재가 필요하였으므로 이 책은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오랜 기간 동안 계속 간행되었다. 따라서 참고자료로서 상당히 중요한 가치를 지니지만, 이 책 자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그런데 어떤 영역에 대한 연구의 초기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이 기존연구에서 보이고 있는데, 그 중 쟁점이 될 수 있는 몇 가지를 정리하였다. 이글에서는 우선 판본의 종류 및 현대화된 정리본에 대해 다루었다. 현재 『이학지남』의 가장 큰 문제는 『이학지남』의 문헌범위(볼륨)에 관한 것인데, 이들은 모두 판본에 대한 오해, 그리고 이러한 오해에 바탕하여 만들어진 잘 못 된 정리본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이학지남』의 판본은 크게 단행본류와 『居家必用事類全集』의 「辛集」에 포함되어 전해지는 전집(소속)류가 있다. 그런데 「辛集」은 『이학지남』과 『爲政九要』 두 종류의 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존 연구서들에서는 공히 『위정구요』를 『이학지남』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이다. 『위정구요』는 편집자가 趙素라는 여러 가지 문헌 증거가 있으므로, 이러한 오류는 시급히 시정되어야 한다. 아울러 현재의 현대활자 정리본은 저본과 교감출처를 밝혀놓지 않고 있는 등 문헌 학적 방법론을 따르지 않고 있어, 새로운 정리본이 필요하기도 하다. 또 하나의 문제는 『이학지남』의 釋義文에 보이는 특징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학지남』은 법률 및 관공서의 업무처리라는 전문영역의 용어해설집이지만 실제로는 어휘의 속뜻이나 語源 설명이 상당분량을 차지한다. 심지어 명확히 정의 내리기 어려운 것은 비유로 설명하기도 하는데, 업무상의 용례설명, 어원설명, 비유적 설명을 혼동하면 표제어에 대한 오해를 낳을 수도 있으므로 석의문의 성격을 잘 파악해야 한다. 그 외에 고문서인만큼 글자의 확정 및 句讀 등의 문제가 있는데, 여기에서는 석말윤의 서문에 보이는 ‘純吏’와 ‘能吏’ 등 몇 가지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상과 같은 서술의 과정에서 정광·양오진·정승혜 등 세 명이 공저한 『吏學指南』(2002년 태학사간)을 주요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것은 해제, 전산입력본문, 표제어 색인, 규장각본 『이학지남』의 영인본 등 네 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는데, 국내에서는 가장 종합적이며 접근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LiXueZhiNan-A Guidebook for officials in lower echelon≫ is a book compiled by Yuan rui Xu, in 1301 (DaDe 5 year, in Yuan Dynasty), according to the author's autonomy, the original title was ≪XiLi YouXue ZhiNan-Elementary guide for petty officials who are in training≫. This book mainly describes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official documents and legal literatures that a petty official should know. So the main part of this book is a vocabulary, but there is another part in this book, that is made of some maxims and historical events. This book was published for a long time in many countries of East Asia, because the law's and the official document's system of Yuan Dynasty have not only influenced the Ming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but also influenced neighboring Korea and Japan, and all of these countries needed textbooks to educate petty officials. So this book is of great value as a reference, Unfortunately,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f this book or utilizing this book in Korea. Fortunately, this book was published in 2002 by Taehaksa, a Korean publisher, and The work of writing this manuscript was conducted by three researchers-Jung Gwang, Yang O Jin, Jeong seung hye. This book consists of four parts: literature description, computerized text, heading index, and photographic edition. So this book can provide researchers with a number of references. However, after reviewing this book in detail, I found that there were some problems. Two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are listed below. First of all, the text entered in the computer corresponds to the main body of this book, but there is no explanation for the original text, and at least I could not find the same version of this book among the nine editions I have. Computerized text whose source is not clear can not be used as references for literature research. Incidentally, I also examined the issue of attribution of ≪WeiZhengJiuYao-Nine Important Points When Politics≫, many existing researches say that ≪WeiZhengJiuYao≫ belongs to ≪LiXue- ZhiNan≫, but it follows the early mistakes. In fact, ≪WeiZhengJiuYao≫ has nothing to do with ≪LiXueZhiNan≫. Secondly, in part of literature description, there are many mistakes in translating. I have proposed amendments to misinterpretation based on various literature sources. The beginning of this paper is to correct the errors in the book, and the above compendium is the first thing I wrote. However, after the audit, one of the judges proposed : to describe in a comprehensive review rather than a criticism of the writing. So I reconstructed the paper, but the main contents are the same, the above English text is left as it is.

      • 原典回歸와 文獻硏究 方法論

        朴英綠(Park Young-rok)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0 동아한학연구 Vol.- No.6

        중국과 한국에서 통용되는 한자 어휘인 ‘原典’은 흔히 영어로 ‘original text’로 번역된다. 그러나 한자 단어 ‘原典’에는 ‘scriptures’, ‘sacred book’, ‘an authoritative book on one subject’ 등에 해당하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 본고는 현재 사용하는 ‘原典’이라는 용어에 ‘중의성(ambiguity)이 있다’는 점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근래 한국과 중국의 학계에서는 ‘回歸原典(Return to the 'yuandian')’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나, 이 용어의 정확한 개념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가 되지 않고 있다. 앞서 말한 ‘原典’의 두 가지 지칭 대상은 사실 서로 성격이 완전히 다른 것인데 이 점에 대해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原典’의 지칭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구체적인 실천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原典’이 주로 ‘original text’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는데, 이 경우 ‘原典’이란 학술적으로 부적절한 용어가 될 수도 있다. ‘原典’은 ‘an authoritative book’이라는 의미의 간섭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문헌 연구의 범위를 축소시키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한 한자 어휘이지만 ‘原典’이 한국과 중국에서 화용론적 쓰임이 다르며, 따라서 양국의 학자들 사이에 오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도 주의해야 한다. 한편 ‘original text’라 할 때 ‘original’이란 과연 어떤 형식을 지칭하는 것인지, 현대의 과학기술과 어떻게 관계를 갖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정의(definition)가 필요하다. ‘原典’의 개념에 대한 논의 외에 ‘回歸(to return)’의 방법론 역시 검토가 필요하다. 이것은 크게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는 고문헌의 ‘原書’는 대개 귀중한 문화유산인데, 이것의 보존과 보급 사이의 모순에 관한 문제이다. 둘째는 ‘原典’에 대한 ‘파악’작업이다. 중국의 학계에서는 전문 주석서가 아닌 일반 연구서에서는 인용 텍스트에 대해 주석, 번역 등의 보충 설명이 거의 첨부되지 않고 있다. 1차 자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지 않는다면 ‘回歸原典’란 실천되기 어려울 것이다. The term of ‘yuandian(原典)’ is usually translated into ‘original text’ in English. However, the original meaning of yuandian includes ‘scriptures’, ‘sacred book’, ‘an authoritative book on one subject’, and so on. This paper discusses the matter of defining the meaning of yuandian. There are debates about ‘Return to the yuandian’ in Korea and China recently. However, there are lack of discussions defining the exact meaning of the term. As the change of objects leads the change of meaning, we need to distinguish differences. Because the way to practice shifts according to the object. This paper regards the term yuandian as the original text in spite of that may cause academic controversy. It may reduce the range of studying literature. And even it is same in Korean and Chinese, the term of yuandian have different usage within the framework of pragmatics. Therefore we need to make a definition of its usage. I als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o return’. This includes following two parts. First is about the contradiction between preservation and dissemination. Second is about grasping the original text. In Chinese academia, we can't find supplementary explanation such like footnotes, translation about the original text. If we do not try to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xt, we can't fulfill returning to the original text.

      • 선학과 일상언어 - ‘주변부 선학’의 중요성 -

        박영록 ( Park Young-rok ) 성철사상연구원 2001 백련불교논집 Vol.11 No.-

        禪學跟語言的關係很複雜奧密, 但現在的一般趨勢是先把禪語跟日常語言分成兩樣, 然後以禪語爲什麽特別的語言形式的看法下, 把禪語重新解釋闡述. 可是禪宗說的“不立文字”不是意味着不用語言來傳達信息, 而是意味着用文字來突破文字的局限性. 我覺得我們的日常語言沒那麽簡單的東西, 禪語的說法跟日常語言的說法很多方面有共通點. 擧幾個例子吧. 第一, 禪語跟日常語言都不重視語彙的定義而重視語境上的用法. 所以對具體的語境沒有理解的話, 把對方說的話只能看成“無頭無尾的話”. 第二, 語言只能指東西或事實, 不是那個東西或者事實的本身. 所以禪才說“不立文字”. 第三, 有許多說法技巧上有共通點. 比如“矛盾形式說法(oxymoron)” 這矛盾形式說法不只是“不立文字”這樣的口號, 在經典的結構裏也可以看到. 我們剛才說“語言跟那個指的事實是兩樣”, 剛好這樣, “禪學”跟“禪”也是兩樣. 禪學用語言資料來進行硏究, 而禪是爲得道的修練或者獲得的道理.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춘천 후동리 일대에 분포하는 중기 트라이아스기 관입암의 부화된 지화학 및 Sr-Nd 동위원소 특성 : 부화된 맨틀로부터 기원

        박영록(Young-Rok Park) 한국암석학회 2009 암석학회지 Vol.18 No.3

        경기육괴 중앙부 춘천 후동리 일대에 분포하는 관입암은 고철질의 조성을 가지는 반려암질 섬록암과 중성의 섬록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섬록암으로부터 분리한 흑운모에 대해 측정한 K-Ar 연령은 228Ma로서 중기 트라이아스기에 해당한다. 이 암석들은 Ba와 Sr과 같은 친석원소뿐만 아니라 MgO, Ni 및 Cr과 같은 호정원소들도 부화된 지화학적 특성을 보여주며, 이것은 연구지역의 관입암이 부화된 맨틀암의 부분용융으로부터 기원한 것임을 지시한다. 또한 연구지역의 관입암은 매우 부화된 Sr과 Nd 동위원소 조성을 보이는데 이러한 부화된 값은 지각물질의 혼염에 의한 가능성과 함께 오랜 기간에 걸쳐 불호정원소가 부화된 맨틀로부터 기원한 것에 기인한다고 보인다. 고철질암임에도 불구하고 주요 유색광물로 함수광물인 각섬석과 흑운모가 산출되는 점과 이 암석들이 조구조판별도에서 화산호 환경에 도시되는 점은 이 암석들이 섭입에 의해 영향을 받은 부화된 맨틀 물질로부터 기원하였음을 지시한다. The intrusive rocks in the Hudongri area, Chuncheon located in central Gyeonggi Massif consists of gabbroic diorite and diorite. K-Ar age of biotite separated from diorite sample records middle Triassic age of 228 Ma. The intrusives are characterized by enrichment of MgO, Ni and Cr as well as large ion lithophile elements such as Ba and Sr, which is indicative of derivation of magma from enriched mantle. The intrusives also have enriched Sr-Nd isotopic compositions, which appear to result from a longterm incompatible element enriched mantle source with an effect of crustal contamination. Occurrence of abundant hydrous minerals such as amphiboles and biotite rather than anhydrous minerals of pyroxene and olivine in mafic intrusive as well as being plotted in volcanic arc field in tectonic environment discrimination diagram indicate the mafic-intermediate intrusives in the Hudongri area, Chuncheon were derived from mantle material enriched by sub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