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중고기 대왕-갈문왕 체제의 성립과 성골의 출현

        박수진 ( Park Soojin ) 수선사학회 2020 史林 Vol.0 No.73

        Galmunwang(葛文王) of the middle ancient period(中古期) Silla has distinct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nd later periods. The first is that all the king's younger brothers were installed as Galmunwang while they were alive.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period, where the fathers of the king’s mother and the queen were posthumously installed as Galmunwang. With the strengthening of the royal authority since the Nulji Maripgan(訥祇麻立干) period, it seems that from some point onward, the men of the Nulji Maripgan lineage were installed as Galmunwang while they were alive and became the king's political partner. Ipjong Galmunwang(立宗葛文王) appears after King Beopheung(法興王) in Bongpyeong Silla Stele in Uljin(蔚珍鳳坪新羅碑), and appears as the main agent of Gyo(敎) along with the King Beopheung and other nobles. Sukheuljong(肅訖宗) married Geumgwan Gaya(金官伽倻) lineage and played a decisive role in this lineage'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of the middle ancient period.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only the descendants of the king (or great king) and Galmunwang were crowned king. King Jinheung(眞興王) was the child of Ipjong Galmunwang and King Jindeok(眞德王) was the child of Gukban Galmunwang(國飯葛文王). The installation of king's younger brothers to Galmunwang while they are alive is an extension of the earlier perception. The fact that the father of king’s mother and the queen was mostly Galmunwang also means that the king can only appear among the king's descendants. This is because most of the king’s father was also king. Even when king’s father was not a king, he was posthumously installed as Galmunwang to become a king. If the younger brother is installed as Galmunwang and becomes king,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is naturally possible only among the descendants of the great king-Galmunwang. This is also related to the Seonggol(聖骨, Sacred Bone), since it is considered that Seonggol is composed mainly of the family of the great king-Galmunwang. In the period of King Jinpyeong(眞平王), the phrase “聖骨男盡(There are no Seonggol men left)” appeared because there were no men among the descendants of King Jinpyeong and his younger brothers who were Galmunwang. In addition to installing a younger brother as Galmunwang, it seems that the previous system that posthumously installed the father of the king's mother and the queen as Galmunwang also partly continued. If the younger brothers of the great king were installed as Galmunwang and assisted the king, and if the descendants of the great king and Galmunwang composed Seonggol and only they could ascend to the throne, it can be considered as a kind of the “great king-Galmunwang system.”

      • KCI등재

        유아영어교육과 초등영어교육의 연구동향 비교분석

        박수진(Park Sooji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영어교육과 초등 영어교육의 연구동향과 경향 분석을 통하여 유아 영어교육 분야의 다양한 연구개발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유아교육 분야에서 1983년부터 2003년 8월까지 발표된 40권과 초등교육 분야에서 1991년부터 2003년 8월까지 발표된 1079권을 합하여 총 1119권이다. 분석기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연구결과, 유아 영어교육은 영어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교수-학습 방법, 교사연구, 언어습득 및 발달, 필요성 및 근거 순으로 연구가 나타났다. 또한 초등 영어교육은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학습자 중심 연구, 멀티미디어, 교재분석, 실태 및 문제점, 언어습득 및 발달 순으로 연구가 나타났다. 유아와 초등의 영어교육의 연구는 1997년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의무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of the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case was studied through the research trend and its analysis of the early childhood and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total, 1119 dissertations were used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Among those, 40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from 1983 to August of 2003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ts, 1079 were published from 1983 to August of 2003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to obtai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s the result, in the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realities and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English education were published the most, and then the teaching method, teachers’ study, acquirement and development of the language, and necessity and foundation were followed. In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 teaching methods were published the most, and then learner-centered study,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realities and problems, and acquirement and development of the language were followed. The study of English edu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were influenced a lot as the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ecame obligated in 1997.

      • KCI등재
      • KCI등재

        교사, 부모,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ADHD 성향과 또래거부간의 관계

        박수진(Park, Soojin),이동훈(Lee, Donghun),최준섭(Choi, Joonsup)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동 ADHD 성향에 대해 평정한 교사, 부모, 아동(본인)의 평정 과 또래 거부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또래거부를 잘 설명하는 평정자는 누구인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P 광역시에 소재한 11개 초등학교, 13개 학급의 4, 5, 6학년 학생 350명 및 해당 아동의 담임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교사/부모/아동용 ADHD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지명검사를 실시하여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아동의 ADHD 성향의 각 하위요인(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충동성)에 대한 교사, 부모, 아동의 평정간의 관계는 아동 평정의 주의력결핍과 교사 평정의 과잉행동· 충동성을 제외하고 모두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ADHD 성향의 각 하위요인 모두에서 교사 의 평정에 비해 부모의 평정이 아동 스스로의 평정 결과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ADHD 성향의 각 하위요인에 대한 교사, 부모, 아동의 평정과 또래거부와의 관계는 아동을 제외한 교사와 부모의 평정이 또래거부와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가 평정한 아동의 ADHD 성향은 또래거부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반면에, 부모가 평정한 아동의 ADHD 성향은 과잉행동·충동성만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아동이 평정한 본인의 ADHD 성향은 또래거부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ADHD 성향을 지닌 아동의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충동성에 대한 교사의 평정은 해당아동의 또래거부문제를 성별에 따라 다르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또래거부문제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부모의 평정은 자녀의 성별에 무관하게 또래거부를 비슷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과잉행동·충동성에 대한 평정만이 또래거부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ADHD 성향 아동의 또래거부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법과 이를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 제공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rejection and rating of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themselves) on the ADHD tendenci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his purpose, ADHD questionnaires for teachers/parents/children were colle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In addition, peer nomination methods were conducted to measure peer relationships in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s ratings of each subfact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impulsiveness) of children’s ADHD tendencies were all shown as static correlation, except children’s rating of attention deficit and teachers’rating of hyperactivity·impulsiven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s ratings and peer rejection for each subfactor of children s ADHD tendenc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er rejection. Third, the ADHD tendencies of the children that the teachers rated was significantly explained through the peer rejection. On the other hand, the ADHD tendencies of the children with the parents’ratings showed that only the hyperactivity·impulsiveness were significantly explained, and the ADHD tendencies of the self-rated children did not explain the peer rejection statistically. Finally, the teacher’s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i.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impulses) were found to explain peer rejection problems differently by gender.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eachers’rating explained boys’peer rejection problems better than girl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by parents were found to explain the peer rejection regardless of their children’s gender, while the assessment of hyperactivity·impulses only explains the relationship carefu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o prevent peer rejection problems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ies were discussed and methods for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thi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북한 전쟁 만화영화를 통해 살펴본 안보 담론 변화 연구

        박수진 ( Soojin Park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3 통일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표는 북한 당국이 제작하여 방영한 전쟁 만화영화를 통해 안보 담론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 대상으로 본 연구는 전쟁 만화영화 『소년장수』 시리즈와 『고주몽』 시리즈를 선정하였다. 만화영화 『소년장수』 시리즈는 북한에서 가장 오랜기간 제작 및 방영한 만화영화이며 『고주몽』 시리즈는 가장 최근에 제작하여 방영한 “력사” 만화영화이자 전쟁 만화영화이다. 본 연구는 두 만화영화 시리즈를 총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시기 구분은 북한 “최고 지도자” 교체 시기, 만화영화 제작 및 방영시기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세 시기 모두 공통적으로 국가안보에 대한 일반 대중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전쟁에 활용하는 무기의 용도나 개발 방법 등이 각 시기 북한 당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ecurity discourse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hrough war animation films produced and broadcast in North Korea. This study selected two series of war animation films, which is the “Boy General,” and the “Go-Ju-Mong.” The “Boy General” series is the longest-running animation film about war, and the “Go-Ju-Mong” series is the latest history and war animation film. This study divided the two series of animation films by time. The period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criteria. First, the timing of the film production and broadcasting was considered. And also considered the changes in the “Supreme Leader” in North Korea and the time when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discourse on nuclear weapons changed, which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ssue in North Korean security discourse nowadays. This analysis confirmed that the “weapon” discourse in the war animation films emphasiz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hanged according to the perio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hown whether to make “new” weapons for offensive or defensive. However, it was found that all three periods in common encourage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general public in national security.

      • KCI등재

        국내 인삼 연구 현황 및 미래 수요 예측

        박수진(Soojin Park),조용진(Yong-Jin Cho),피재호(Jaeho Pyee),홍희도(Hee-Do Hong) 고려인삼학회 2006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0 No.4

        국내의 대표적인 생약재중에 하나인 고려인삼의 최근 5년간 연구 동향 및 기술개발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정보과학원(KISS), 농림부, 농림기술관리센터(ARPC) 등에 공개된 연구보고서 및 학술, 학위논문자료 등 총 332건의 연구결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개발 주체별로 보면 최근 인삼관련 연구는 주로 기타민간비영리단체 및 개인에 의한 보고 자료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대학, 공공기관 순으로 나타나 공공기관의 역할 증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주제별로는 토양 및 재배방법 같은 재배 및 농학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약리효능별 인삼 연구 분야에서는 세포 생리학적 연구 및 생식기능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임상연구는 비교적 미미한 수준이었으며 기능성 식품 및 제품개발 연구분야에서는 고려인삼을 이용한 다양한 식품개발에 관한 연구가 2005년 까지는 주를 이루고 있었다. 최근 5년간 국내 인삼 관련 특허기술 총 312건을 국제표준 기술 분류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식품관련 기술, 의약용 제제개발 기술, 효소, 미생물 관련 발효기술, 농수산관련 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Research literatures (e.g. research report, scientific paper and thesi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05) of 332 collected from KISTI, KISS, ARPC databas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give an overview of domestic ginseng researches. Most of recent ginseng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by private nonprofit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which suggests that a role of public institution for ginseng researches needed to be enlarged. In terms of research fields, cultivation and agricultural researches have been mainly accomplished in ginseng research. Cell physiology and reproductive function researches occupied large part of pharmacological studies, but clinical studies were relatively limited. Studies on general food products development have taken the main part in fields of food products including functional foods.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312 domestic ginseng patents by classifications of world internation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it was categorized into food technology, medicinal formulation development technology, fermentation technology, and agriculture-fisheries technology. This integrated overview of the widely scattered ginseng literatures shows current general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will be able to suggest further needs on cultivation, studies and industralization of ginseng.

      • KCI등재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그레이-박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 기법

        박수진(Soojin Park),박수용(Sooyo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8 No.9

        대부분의 구현 로직이 시스템 외부로 공개되지 않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사용자의 관점의 요구사항 명세 모델인 유스케이스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유스케이스 모델의 블랙박스 관점 기반의 시스템 분석은 시스템과 관련 환경과의 외부적인 상호작용 기술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기존 연구들은 상태 다이어 그램을 이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의 동적인 행위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요구사항 명세서에 반영하는 일종의 화이트-박스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 주기 상 초기 단계에 해당되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화이트-박스 기반 모델링은 고비용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이로 인해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개발자들의 많은 저항에 부딪쳐 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두 가지의 접근방식에서 임베디드 개발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의 양과 요구사항 단계에 소요되는 노력 비용, 두 가지 요소의 적점에 해당되는 요구사항 명세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그레이-박스 기반의 요구사항 명세 기법은 요구사항 추출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모델링의 적절한 깊이를 제시함은 물론, 작성된 모델을 기반으로 개별적인 개발자들이 자신이 맡은 컴포넌트의 API를 숙지하여 협업할 수 있는 요구사항 명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있다. The inner implementation logic of an embedded system is not exposed to users but encapsulated in the system, whereas the use case model is invented to show the interaction between outer environment and a system.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 use case model which stands upon the black-box mechanism in documenting requirements of an embedded system. In this background, previous studies have introduced some white-box approaches that utilize state diagrams as a main tool to grasp inner behavior of the embedded software and make several specifications from the state diagrams. However, the construction of a fully analyzed state model in requirements elicitation requires lots of efforts which have discouraged software developers or caused their resistance. The objective of our study is to find the optimal point between the amounts of information which needs to develop a consistent embedded system and the effort cost that is consumed in requirements elicitation of the embedded system. To this end, we introduced a gray-box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 method that guides the extent of the system modeling, which can give sufficient information to software developers. Moreover, we introduced an automatic requirements specification mechanism for providing APIs of each software component and help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individual developers.

      • 한글 글꼴 동일성 여부에 따른 단어 우월 효과

        박수진(SooJin Park),정우현(Jung Woo Hyun)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5 No.10

        한글의 글꼴 동일성 여부가 단어 우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바탕체 글꼴을 탐사 자극으로 사용하여 검사 자극과의 글꼴 일치 여부가 단어 우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자극 제시 시간에 따라 알아보았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첫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탐사 자극의 글꼴을 각각 바탕체와 세벌체로 하고, 검사 자극이 탐사 자극과 일치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단어 우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두 실험 결과, 탐사 자극과 검사 자극의 글꼴 일치 여부는 한글 단어 우윌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탐사 자극과 검사 자극의 문자형이 서로 달라도 단어 우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어 우월 효과가 국지적인 시각 자극의 속성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