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 유형과 교실 피드백 환경 조성이 초등학생의 피드백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박민애,노현종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피드백 리터러시 특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는 것이다. 또한 도출된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학생 수준 및 학급 수준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잠재프로파일별 학업적 자기조절 능력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해 D지역 6개 초등학교의 42개 학급에서 5, 6학년 학생 881명을 표집하였으며, 자료의 위계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2수준 다층 잠재프로파일 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피드백 리터러시 특성에 따라 3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피드백 리터러시의 각 지표변수가 모두 보통 수준 이하인 ‘하집단(221명, 25.08%)’, 평균적인 수준인 ‘중집단(357명, 40.52%)’, 모든 하위요인이 가장 높은 수준인 ‘상집단(303명, 34.39%)’으로 분류되었다. 각 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수준의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확인적 피드백, 정교화 피드백, 교사-학생 관계의 점수가 높을수록 ‘하집단’ 보다는 ‘중집단’이나 ‘상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학급 수준에서는 피드백의 질이 높은 학급일수록 ‘하집단’ 보다는 ‘중집단’이나 ‘상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피드백 전달이나 교사 가용성이 높은 학급일수록 ‘상집단’ 보다는 ‘중집단’이나 ‘하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잠재프로파일별 학업적 자기조절의 평균 차이를 확인한 결과 ‘상집단’, ‘중집단’, ‘하집단’ 순으로 평균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교실현장에서 학생들의 피드백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제공 및 환경조성, 긍정적인 교사-학생 관계형성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방암 생존자의 기분장애 발생 위험요인

        박민애,서화정 대한불안의학회 2021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7 No.1

        Objective : The questionnaire-based study model ha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on diseases and drug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mood disorders and the severity of comorbid diseases in cancer survivors. This study used claim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over nine years to identify risk factors of mood disorders in breast cancer survivors Methods : 2,065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xcluding someone who were diagnosed mood disorders one year before breast cancer diagnosis.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4.0.0 Chi-Square test and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performed. Results :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461 (22.32%)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and 1,604 (77.67%) patients with no mood disorders. In the univariate Model 1 according to the CCI, the HR in the case of CCI 2 was analyzed as 1.629(95% CI, 1.15-2.30), CCI≥3 was analyzed as 2.031(95% CI 1.48-2.78), compared to the study subjects with CCI=0. The age and survivorship adjusted Model 2 HR, CCI=2 was 1.615(95% CI, 1.14-2.28), CCI≥3 was analyzed as 1.924 (95% CI 1.40-2.65). The fully adjusted Model 3 HR, CCI=2 was 1.599 (95% CI, 1.12-2.28), CCI≥3 was analyzed as 1.760 (95% CI 1.25-2.49). Conclusion : In order to improve the long-term quality of lif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nage survivorship, the severity of comorbidities, which a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mood disorders.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국내 학생 평가 연구 동향 분석

        박민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student evaluation research trends and to se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papers on student evaluation published in Korea over the last ten years. For the study, 939 papers on student evaluation published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21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LDA topic modeling. Following that, the change in research topics by period was identified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research topics by period. The result showed, first, student evaluation research was divided into ten categories. Second, based on the OECD's student evaluation framework, ten topics were classified into evaluation governance, evaluation process, use of evaluation results, and teacher evaluation capacity. In addition, research trends over time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f student evaluation are summarized based on these findings.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의 국내 학생 평가와 관련된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학생 평가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한국학술정보서비스에서 201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학생 평가와 관련한 논문 총 939편을 수집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선형회귀분석과 시기별 연구 주제의 비중 변화 등을 토대로 시기에 따른 연구 주제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평가 연구는 총 10개의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10개의 토픽을 OECD의 학생 평가틀에 기반하여 평가 거버넌스, 평가 과정, 평가 결과 활용, 교사의 평가 역량으로 범주화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전과 후로 나누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학생 평가의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향후 학생 평가 연구를 위한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독서 정서-행동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요인 탐색

        박민애,박신애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ading emotion-behavior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explore the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ir reading ability. Consequently, we analyzed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hich involved 5,295 high school sophomores as participants. First, we searched reading emotion-behavior latent profiles with reading emotion and behavior as sub-items. From the analysis, the reading emotion-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was categorized into negative emotion-passive behavior (22.25%), normal emotion-passive behavior (38.57%), positive emotion-passive behavior (26.04%), and positive emotion-active behavior (13.14%).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atent profiles of thes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self-efficacy, academic stress, and early reading habit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the student being categorized under the positive emotion-active profile. On the other hand, the stronger the fixed beliefs and the more time spent on mobile aphones,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the student being categorized under the negative emotion-passive behavior profil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Korean language comprehension and early reading habits significantly affected all the four latent profiles classifications. Additionally, factors that differentiated positive emotion-active behavior type from the positive emotion-passive behavior type were the mobile phone use and self-efficacy. Furthermore, academic stress differentiated typical emotion-passive behavior type from positive emotion-passive behavior type. Finally, we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reading emotion-behavio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독서 정서-행동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하고 영향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 8차년도 자료인 고등학교 2학년 총 5,295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으며, 독서 정서와 독서 행동을 하위문항으로 독서 정서-행동 잠재프로파일을 탐색하였다. 고등학생의 독서 정서-행동은 크게 부정정서-소극형(22.25%), 보통정서-소극형(38.57%), 긍정정서-소극형(26.04%), 긍정정서-적극형(13.14%)으로 구분되었다. 국어수업 이해도, 자기효능감, 학업 스트레스, 초기 독서 습관이 높을수록 긍정정서-적극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고정신념이 높고 휴대전화 사용 시간이 많을수록 부정정서-소극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특히 국어 수업 이해도와 초기 독서 습관은네 개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모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긍정정서-적극형과 긍정정서-소극형을 구분하는 추가 요인은 휴대전화 사용 정도와 자기효능감, 보통정서소극형과 긍정정서-소극형을 구분하는 추가 요인은 학업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독서 정서-행동과 관련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형성적 피드백이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및 영향요인 검증:회귀혼합모형의 적용

        박민애,손원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모니터링과 스캐폴딩으로 구성된 형성적 피드백이 고등학생의 수학성취에 미치는 효과의 차별적 유형을 탐색하고 이러한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3개 지역의 고등학생 513명을 대상으로 회귀혼합분석(regression mixture analysis)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개의 피드백 효과 집단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형성적 피드백의 하위요소 중 모니터링은 수학성취에 부적효과, 반면 스캐폴딩은 정적효과를 보이는 ‘혼합효과 집단’(35.87%), 또한 스캐폴딩만이 수학성취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스캐폴딩 효과 집단’(64.13%)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차별적인 피드백 효과 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피드백 활용능력을 가정하였고,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및 학교 유형을 통제한 후, 학습자의 피드백 활용능력과 수행목표성향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수학성취에 대한 형성적 피드백의 차별적 효과 검증을 통한 본 연구의 의의와 피드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eterogeneous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on math achievem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se patterns. To this end, a regression mixture analysis was conducted on 513 high school students in three regions nationwid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wo latent classes of feedback effects were derived. Specifically, the first pattern was labelled as ‘mixed effect group’ (35.87%), because monitoring had a negative effect while scaffol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math achievement. The second group was labelled as ‘scaffolding effect group’ (64.13%), since only scaffol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math achievement while monitoring did not. Next, a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predicting these differentiated feedback effects, and as a result, the effects of students’ feedback utilization ability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ere significant.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rough the verification of heterogeneous relationships of formative feedback with math achievement,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feedback were discussed.

      • KCI등재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학생과 교사의 피드백 경험 예측요인 탐색

        박민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group classification on the teachers’ and students’ feedback experiences. To this end, first, teachers and students were divided into low-experience groups and high-experienc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feedback experience. After that, the random forests was used to examine major variables that influence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analysis, subjects were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2019 Daegu Longitudinal Research. In addition, students, home, teachers, school and community variables were consider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variables related to teacher instruction and evaluation play a major role in classifying groups for both students and teachers. Specifically,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use of homework in a formative manner played a major rol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tudent learning influenced group classification. In the case of teachers, teachers' affective variables, such as school and student characteristics, etc. influenced group classific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feedback experience of students and teacher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생과 교사의 피드백 경험에 따른 집단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을 탐색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학생과 교사를 피드백 경험 정도에 따라 저경험집단(저인식/ 저제공)과 고경험집단(고인식/고제공)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하여 학생과 교사 각각의 집단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을 탐색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2019대구교육종단 연구 자료의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학생, 가정, 교사, 학교, 지역 사회 등과 관련된 변수들을 설명 변인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피드백 경험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는 데 있어 교사의 수업 및 평가와 관련된 변인이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생 중심의 다양한 수업방식을 사용하는지, 평소 숙제를 형성적으로 활용하 였는지 등이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외에도 학생의 경우 학생의 학습과 관련한 개인 특성이 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의 경우에는 교사의 정의적 변인, 학교 및 학생 특성 등이 집단분류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과 교사의 피드백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생용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FLSS) 개발 및 타당화

        박민애,손원숙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3

        The ability to use feedback, which is a key element of the AFL, at the point of emphasis on the Assessment for Learning(AFL), is an essential one needed to be successful learners. In this study, we have conceptualized students’ feedback literacy as their capacities and attitudes needed to understand and use feedback provided by various sources and in addition, the Feedback Literacy Scale for Students(FLS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both the field trial and main study were conduct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Rasch and factor analysis were applied to check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LSS. First, the feedback literacy was defined as students’ capacities and attitudes needed to make sense of feedback and use it. The construct for the use of feedback was subdivided into feedup, feedback, and feedforward, while the feedback attitude included cognitive, emotional(emotion, emotional control), and behavioral(feedback seeking) domains. Second, the final version of FLSS consisted of 14 items of students’ capacities and 21 items of students’ attitude toward feedback. Thir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scale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urth, as a result of the external validity test, the higher the learner's feedback literacy level, the higher the academic self-regulation.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applied use of the FLSS in Korea are discussed. 학습을 위한 평가(AFL)가 강조되는 시점에서 AFL의 핵심요소인 피드백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학생들의 학습과 평가에 있어 필수적인 역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학습자의 피드백 리터러시를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피드백 리터러시(feedback literacy)는 피드백의 활용능력 및 피드백에 대한 태도로써 정의되었으며, 이에 기반을 두어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Feedback Literacy Scale for Students: FLSS)가 개발, 타당화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예비검사(291명) 및 본 검사(376명)를 실시하였으며 문항과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점검하기 위하여 평정척도모형(Andrich, 1978)에 기반한 Rasch 모형 분석 및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피드백 리터러시는 피드백 활용능력과 피드백 태도로 구성되며, 활용능력은 다시 피드업, 피드백, 피드포워드, 태도는 인지, 정서(정서, 정서조절), 행동(피드백 구하기) 요인으로 세분화되는 등 다층⋅다차원(multi-level, multi-factor) 모형으로 개념화되었다. 둘째, 피드백 리터러시 척도의 최종 문항은 피드백 활용능력 14문항, 피드백 태도 21문항으로 총 3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결과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적 타당도 검증 결과, 학습자의 피드백 리터러시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조절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피드백 리터러시의 개념 및 척도의 의의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태도, 죽음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박민애,윤영섭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체조직기증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실험설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U시에 위치한 간호학전공 대학생 75명 으로 실험군 38명, 대조군 37명으로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자료는 SPSS/WIN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연 령 22.39±0.75세, 여성이 84.2%였으며 두 군간 일반적 특성과 사전자료 모두 차이가 없었다. 결과변수인 지식 (F=-8.921, p<.001), 태도(F=-5.414, p<.001), 죽음에 대한 인식(F=-3.075,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를 위해 개발된 간호대학생 교육 중재가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한편, 의료인뿐 아니라 타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 적용할 프로그램도 개발되어야만 인체조직기증 문화의 정착과 안정 이 확고해 질 것이다. 또한 보건의료 캠페인 및 공공 교육기관에서의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rograms on human tissue donation for nursing studen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human tissue don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5 nursing students located in U city, 3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7 in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The average age was 22.39±0.75 years old, women 84.2%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rior data between the two groups. Knowledge (F=-8.921, p<).001, Attitude (F=-5.414, p<).001, perception of death (F=-3.075, p=).004)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of nursing students developed to promote human tissue dona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human tissue donation. When programs to be applied to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train not only medical personnel but also experts in other fields must be developed, the establishment and stability of the human tissue donation culture will be solidified. It is also suggested that health care campaigns and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 KCI등재

        Rasch 평정척도모형을 통한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의 단축형 개발 및 타당화

        박민애(Minae Park),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2

        학습을 위한 평가 척도(AFL-Q)(박민애, 손원숙, 2016; Pat-El, et al., 2013)는 모니터링과 스캐폴딩 2개 하위요인, 26문항으로 국내 타당화 된 척도로서 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학습을 위한 평가 정도를 측정한다. AFL-Q는 초등학생이 인식한 교사의 학습을 위한 평가 정도를 측정하였지만 비교적 많은 문항과 중복된 내용 등으로 인해 학교 현장 및 학술 연구에 활용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asch 평정척도모형을 활용하여 단축형 AFL-Q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785명의 초등학생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모니터링과 스캐폴딩 요인별로 Rasch 평정척도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문항에 대한 반응범주의 수는 원래 5개보다 4개가 보다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항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모니터링 7문 항, 스캐폴딩 5문항을 선정하여 최종 12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 척도를 구성하였다. 셋째, 단축형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단축형 AFL-Q의 의의와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Assessment For Learning Questionnaire(AFL-Q) consists of two sub-factors and 26 items. It measures the degree of Assessment For Learning(AFL) perceived by students. Although AFL-Q reflects the degree of AFL of the teacher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ively well,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school and academic research due to the redundancy of item content and the large number of item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hort-form of AFL-Q was constructed using the Rasch measurement model an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tested. For this purpose, Rasch rating scale model was applied to monitoring and scaffolding factor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785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4-point response scale was more appropriate for the AFL-Q than the 5-point response scale. Second, based on the review of the item fit and difficulty indexes, seven items of the monitoring and five items of the scaffolding were selected and the short form composed of the 12 items was constructed. Thir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was found to be appropriate.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hort form AFL-Q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