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무기체계 분야의 소프트웨어 신뢰성 추정 모델 적용 사례

        박다운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6

        국내 무기체계 연구개발과정에서 소프트웨어 신뢰성이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그래서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연구개발 절차에는 소프트웨어 신뢰성 향상을 위한 활동들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개발절차에 포함된 활동은 소스코드 정적 및 동적 분석으로 국제 표준에서 요구하는 활동과 다소 차이가 존재한다. 소프트웨어 신뢰성 관련 국제 표준인 IEEE std 1633-2016에서는 소프트웨어 신뢰성 확보를 위한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있으며, 이들 가운데 소프트웨어 신뢰성 추정을 필수 활동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신뢰성 추정은 시험단계의 결함을 기반으로 통계 모델을 활용해 현재 시점의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추정하는 활동이다. 추정한 모델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고장률을 추정할 수 있으며, 목표 고장률과의 비교를 통해 시험 종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 소프트웨어 신뢰성 추정 모델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목표한 소프트웨어 신뢰성을 달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시험이 진행되었으며, 정량적인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무기체계 소프트웨어의 개발 과정에서 국제 표준에서 제시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공학 프로세스를 반영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e domain of Korean weapon system development, issues about software reliability have become crucial factors when developing a weapon system. There is a process required for weapon system software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at includes certain activities requir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software. However, these activities are biased toward static and dynamic analyses of source code and do not include activities necessarily required by the international standard. IEEE std. 1633-2016 defines a process for software reliability engineering and describes software reliability estimation as an essential activity in the process. Software reliability estimation means that collecting defective data during the test and estimating software reliability by using the statistical model. Based on the estimated model, developers could estimate the failure rate and make comparisons with the objective failure rate to determine termination of the test. In this study, we collected defective data and applied reliability estimation models to analyze software reliability in the development of a weapon system. To achieve objective software reliability, we continuously tested our software and quantitatively calculated software reliability. Through the research, we hope that efforts to include activities described by the international standard will be carried out in the domain of Korean weapon system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종목별 사이클 선수들의 윈게이트 테스트 시 무산소성 능력 및 하지 근 활성의 차이

        박다운,이용우,신승남,오재근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종목별 사이클 선수들[단거리(SDCG), n=6, 장거리(LDCG), n=6]을 대상으로 SS–10sec 간, RS-30sec 간 윈게이트 테스트(WT) 시 무산소성 능력, 주측 하지의 대둔근(Gmax), 대퇴직근(RF), 대퇴이두근 장두 (LBF), 전경골근(TA), 내측 비복근(GM) 근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SS-10sec WT 시 체중 당 최 대파워에서 SDCG가 LDCG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SDCG와 LDCG 내에서 모두 최대파워 와 체중 당 최대파워가 SS-10sec WT에서 RS-30sec WT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p<.01, p<.05, p<.05), LDCG 내에서 평균파워, 체중 당 평균파워가 RS-30sec WT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p<.001). 피로지수는 SDCG와 LDCG 모두 SS-10sec WT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 나타났다(p<.05, p<.01). SDCG 내에서 최대 근 활성과 평균 근 활성 모두 SS-10sec WT에서 RS-30sec WT보다 LBF의 활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또한 LDCG 내에서는 평균 근 활성이 SS-10sec WT에서 TA과 GM의 활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p<.05).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각 종목에 맞게 특성화된 훈 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시켜 준다면 경기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o compare the anaerobic capacity and the muscle activity of dominant lower extremities gluteus maximus(Gmax), rectus femoris(RF), long head of biceps femoris(LBF),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mius medialis(GM) with SS-10sec and RS-30sec Wingate test(WT) of cyclist[Short(SDCG), n=6, Long(LDCG), n=6].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DCG was significantly identified higher Peak/kg than LDCG during SS-10sec WT between the groups(p<.05). SS-10sec WT was significantly identified higher than RS-30secWT in Peak power(p<.01 and p<.01, respectively) and Peak/kg between SS-10sec and RS-30sec WT within SDCG and LDCG(p<.05 and p<.05, respectively), for Mean power and Mean power and Mean/kg, RS-30sec WT was significantly identified higher than SS-10sec WT(p<.001 and p<.001, respectively). SS-10sec WT was significantly identified lower Fatigue index than RS-30sec WT in both groups(p<.05 and p<.01, respectively). In SDCG, SS-10sec WT was significantly identified higher Peak and Mean muscle activity than RS-30sec WT in LBF during WT(p<.05 and p<.01, respectively). In LDCG, SS-10sec WT was identified as significantly higher muscle activity in TA and GM(p<.01 and p<.05, respectively). Therefore, in the future study, it is considered that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application for specific event based on the current study could improve athletic performances.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뇌졸중 환자의 이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다운,유두한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23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5 No.1

        Purpose : This study aims to deeply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dependencies that stroke patients experience while mobility to receive outpatient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nd present them as data to secure the right to mobility and independence of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three women and two men among stroke patients who are currently undergoing outpatient treatment in the outpatient rehabilitation room of the rehabilitation hospital and are experiencing restrictions on mobility. The interview period was September 2022, and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the interview contents were repeatedly analyzed by recording and transcription.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in four stages according to Giorgi method, a phenomenological study. Results : As a result of interviewing the mobility experiences of stroke patients, 20 meaning units were found to derive 10 main meanings and 4 theme. The 4 theme were "Changes in daily living," "Restrictions on mobility," "Dependent body and mind," and "Darkness about the right to mobility for the disabled." Stroke patients who suffered from mobility differ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situation, physical func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efforts to ensure their right to mobility and improve independence through physical,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needed for stroke patients as well as all disabled people who have difficulty moving in the community.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외래 작업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동하는 동안 경험하는 어려움과 의존성을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고 뇌졸중 환자의 이동권과 독립성 확보를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현재 재활 병원 외래 재활치료실에 통원 치료 중이며 이동성에 제한을 겪고 있는 뇌졸중 환자들 중 여성 3명, 남성 2명으로 구성하였다. 면담 기간은 2022년 9월이었으며, 자료 수집을 위하여 일대일 심층 면담으로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은 녹음 및 필사로 담아 반복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현상학적 연구인 Giorgi의 방법에 따라 4단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 뇌졸중 환자들의 이동 경험에 대해 면담한 결과, 20개의 의미단위들을 찾아내어 10개의 주요의미와 4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주제는 일상생활의 변화, 이동의 제약, 의존적인 몸과 마음, 장애인 이동권에 대한 깜깜함이었으며, 이동과 관련되어 어려움을 겪는 뇌졸중 환자들은 개인이 처한 상황과 신체적인 기능,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 이동에서 어려움을 겪는 모든 장애인들을 위해 물리적, 환경적 그리고 제도적 개선을 통하여 이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독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팁제트 로터의 평형끝단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예측 방법론 연구

        박다운,수형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20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Vol.25 No.2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on an optimal method to determine an equilibrium tip speed. The equilibrium tip speed is a blade tip velocity when the tip-jet rotor is in a torque-balanced state that a torque generated by the tip-jet and a torque generated by a rotation of the rotor are in a balanced state. The equilibrium tip speed is determined by using linear interpolation method and polynomial regression method to apply the tip-jet rotor torque obtained by 3D steady flow analysis considering JWI(Jet stream tip Wake Interference). Polynomial regression method is a faster and more accurate method than linear interpolation to figure out the speed. Also, a simple method to obtain the relation between the blade tip speed and the tip-jet rotor torque i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