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비스 수준 제약하의 공급망 분배계획을 위한 수요선택 방안에 관한 연구

        박기태,김성식,권익현,Park, Gi-Tae,Kim, Sung-Shick,Kwon, Ick-Hyu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6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5 No.3

        대부분의 공급망 계획에서 사용되는 각 계획 기간 내의 예측수요는 확정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주어진 계획 기간 내의 수요 예측값은 확률적으로 분포를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안전재고를 통한 서비스 수준을 관리하는 방법을 대신하여 고객 수요의 분포내의 특정한 값을 수요 예측값으로 사용하는 수요선택 방법에 대해 다룬다. 수요 분위수와 계층 재고의 개념을 활용하여 서비스 수준 제약이 존재하는 시리얼 재고시스템을 대상으로 비교적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수요선택을 위한 휴리스틱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된 알고리듬이 최적해와 유사한 매우 정확한 결과를 보임을 입증하였다. In most of supply chain planning practices, the estimated demands, which are forecasted for each individual period in a forecasting window, are regarded as deterministic. But, in reality, the forecasted demands for the periods of a given horizon are stochastically distributed. Instead of using a safety stock, this study considers a direct control of service level by choosing the demand used in planning from the distributed forecasted demand values for the corresponding period. Using the demand quantile and echelon stock concept, we propose a simple but efficient heuristic algorithm for multi-echelon serial systems under service level constraints. Through a comprehensive simulation study, the proposed algorithm was shown to be very accurate compared with the optimal solutions.

      • KCI등재

        평면조형에서 빛의 수용과 표현에 관한 연구

        박기태 ( Park Gi Tae ),이진호 ( Lee Jin 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평면조형 표현의 여러 요소 중 빛은 조형언어로서 조형공간과 중요한 관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늘날 개인의 정체성에 주안 한 포스트 모던 시대에 빛을 표현하는 시각예술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향후 그래픽, 광고, 일러스트레이션 등 시각디자인 영역에서의 빛의 수용과 표현을 명확히 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평면조형의 빛의 수용과 표현 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빛의 근원을 찾고자 원시미술에서부터 현대미술까지의 역사적 과정에서 빛의 어떠한 표현적 변화가 있었는지를 조사하고, 시대별 작품 분석을 통해 평면조형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공간과 빛의 해석의 관계는 시대정신의 변화와 더불어 다변화되고 중세의 성화에서는 광선이나 색채의 효과를 신의 상징으로, 르네상스 이후의 빛과 색채는 인간 중심의 서정적 효과에 초점을 두었다. 또한 20세기에는 빛 자체의 순수성을 강조하는 오르피즘운동이나 광선주의 등이 탄생되고 최근의 포스트모던 시대는 일렉트로닉 아트, 테크놀로지 아트 및 디지털 아트, 정보화 시대의 예술의 흐름에 따라 가상공간 속에서의 조작적인 빛의 효과나 인공적 빛이나 색채에 대한 활용이 다양해져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 고찰된 변화만 보더라도 평면조형에서는 색채가 빛을 대신하여 표현되어 왔고, 빛은 색채를 통해 실현되어졌고 또한, 빛은 더 이상 2차원에 3차원을 그려내기 위한 것의 수단이 되어 있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현대 삶의 다양한 이미지들을 해석하고 다양한 매개체를 통한 빛을 조율하여 평면조형 작품에 접목한다면 새로운 장르 출현의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Among the elements of Molding Plane, light is a formative language and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formative spa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new possibilities and directions in visual art expressing the light of the post-modern era that emphasized today`s personal identity. In the future, it is aimed to learn acceptance and expression of light of Molding Plane as basic research to clarify acceptance and expression of light in visual design field such as graphic, advertisement, illustration. In search of the origin of light, we investigated what kind of expressive changes of light in the historical process from primitive art to modern art, and analyzed the formative features of Molding Plane, through analysis of the works of the period. The relation between space and light interpretation is diversified by the change of the spirit of the times. In medieval sanctification, the effects of light and color are symbols of God, and after the Renaissance focuses on human-centered lyrical effects. Also, in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logic of pure perception, Orphism and Rayonnisme emphasizing the purity of light were born, but recent postmodern times are based on the flow of electric arts, technical arts, digital arts. You can see that the effect of the manipulation light in the virtual space of artificial light and color is diversified. Even in the case of the changes observed in this paper, color has been expressed in place of light in plane crude, and light has been realized through color. Also, light is no longer a means of drawing three dimensions in two dimensions, but it is changing in many ways. Interpretation of various images of modern life and coordination of light through various mediums are expected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as emerging a new genre.

      • 인지적 색 공간에서 잔차 패치의 심층 학습에 기반한 잡음 제거 기법

        박기태(Gi-Tae Park),손창환(Chang-Hwan So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8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8 No.6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되고 대중화됨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 모바일 카메라를 애용하고 있다. 하지만 저조도 환경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 광량이 부족한 이유로 원치 않는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최근 심층 학습에 기반한 잡음 제거 기법이 제안되어 성능 측면에서 큰 진전을 보였을 지라도 여전히 텍스처 및 에지 표현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채널 간 칼라의 상관성을 고려하기 위해 인지적 색 공간에서 심층 학습을 훈련시키는 기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잡음 패치를 잔차 패치로 사상하는 학습 기법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한 기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정량적인 화질 평가에서 미세한 개선을 할 수 있었으며 시각적인 측면에서도 텍스처 및 에지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었다. With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most peoples have been using mobile cameras to capture photographs. However, due to insufficient amount of lights, it is highly likely that unwanted noises can be generated during image acquisition. Although noise removal methods based on deep learning have shown significant performance in recent years to eliminate the noises, they still require improvement and lack texture and edge representations.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training deep learning in a perceptual color space to consider color correlations between channels. In addition, a way of mapping noise patches to residual ones during learning is introduced. Th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proposed noise removal method slightly increases quantitative evalu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s and improves textures and edges.

      • KCI등재
      • 열매체 순환 펌프로서의 기포펌프에 관한 연구

        박기태(Gi Tae Park),LiXueSong,정효민(Hyo Min Jeong),정한식(Han Shik Chung) 한국동력기계공학회 2007 한국동력기계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Purpose of this study composes is solar heating system using bubble pump and confirm whether bubble pump is can be used as a working fluid pump. Device was consisted of working fluid pump, solar collector and heat exchanger. Solar collector system have a vacuum tube, and bubble pump manufactured by steel. One part manufactured by glass to see inside of pump and made level meter to check water level. At the mean time, we attached temperature sensors and pressure sensors at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bubble pump. In addition, the flow meter was installed at outlet of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then, we measured flow rate of working fluid. We analyzed floe rate, temperature and pressure. So, ascertain whether bubble pump can be used for the circulation of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