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노 로쿠로(河野六郞)의 한국어 방언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동경대 소장 '조선어 방언의 음운론적 고찰(朝鮮語方言の 音韻論的考察)'을 중심으로 -

        박기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硏究 Vol.- No.7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no Rokuro’s book <Phonological Study of Korean Dialects>(朝鮮語方言の音韻論的考察) own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This book is identified as <data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Dialects>(朝鮮語方言の採集及び整理) written by Kono Rokuro by examining the bibliography and contents of it. The contents of this report is very similar to 『The Outline of Korean Dialects』written by Ogura Shimpei. This book is basis of the report『朝鮮方言學試考』. But two texts have some difference in description of Korean Dialects. It is very interesting work to find the difference and lighten underlying meaning of that. 본고에서는 동경대 소장 자료인 『조선어 방언의 음운론적 고찰(朝鮮語方言の音韻論的考察)』이 고노 로쿠로(河野六郞)의 ‘조선어 방언의 채집 및 정리(朝鮮語方言の採集及び整理)’라는 조사보고서임을 확인하고, 그 체제와 내용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서지적인 고찰과 내용 확인을 통해 이 자료가 조사보고서 와 동일한 것임을 확인하고, 자료의 전반적인 체제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그 체제가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의 『The Outline of the Korean Dialects』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머리말의 검토를 통해 고노 로쿠로의 방언 조사 시기와 장소를 확인하였으며 ‘ㆍ’ 음에 대한 연구 내용 검토를 통해 고노 로쿠로와 심악 이숭녕의 학문적 교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중모음에 대한 연구 내용을 검토하면서 이중모음과 복합모음이라는 용어의 차이가 나타난 이유를 살펴보았고, ㅿ에 대한 연구 내용을 검토하면서 ㅿ의 음가에 대한 견해가 『조선어 방언의 음운론적 고찰(朝鮮語方言の音韻論的考察)』과 『朝鮮方言學試考』 사이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Wireless Digital Stethoscope Diagnosis System using Heart Rate

        박기영,이종하,조숙진,이철희,정의붕,Park, Kee-Young,Lee, Jong-Ha,Cho, Sook-Jin,Lee, Chul-Hee,Jung, Eui-Bun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6

        Heart sounds of patient's chest could be heard using an analog stethoscope. However, auscultation of a heart sound can be diagnosed differently by each doctor hearing it. Therefore the condition of each patient is determined by the subjective comments based on the hearing ability of a physician who has years of experience. In this paper, through analysis of heart sound and heart rate of the patient's condition, we will define minutely how to diagnose the condition of patient using a wireless digital stethoscope diagnostic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bjective medical diagnosis by applying LCR (Level Crossing Rate) and to show the relationship of a disease using this system. 환자의 흉부에서 들리는 심음은 아날로그청진기를 이용하여 들을 수 있었다. 그러나 심음은 듣는 의사에 따라 다르게 진단한다. 그러므로 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의사들만이 주관적인 판단으로 환자의 이상 유 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음의 심박수를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진단 할 수 있는 무선디지털 청진 진단시스템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한다. 그리고, 이 시스템을 통해 진단되는 심음에 대한 레벨교차율(LCR)과 질병의 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심박수와 질병에 대해 새로운 개념의 진단시스템 환경을 제시하고 심박수의 레벨교차율은 질병에 따라 중요한 차이를 보여준다.

      • KCI등재

        팬데믹 상황에서의 목회돌봄 패러다임 연구

        박기영,송진영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코로나19 이후 우리사회는 뉴 노멀시대에 돌입하여, 일상 속에 비대면, 디지털, 안 전이라는 새로운 사회가 보편화되고 있다. 코로나19로부터 가장 심각하게 타격을 받 은 곳은 아마 교회일 것이다. 교회들은 대면 예배가 중단되고 온라인 비대면 예배의 현실화를 경험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교회는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하나?’라는 고 민을 하지 않는 목회자는 없을 것이다. 이렇듯 한국교회에 엄청난 충격과 많은 변화 를 가져온 코로나19의 영향은 목회현장 뿐만 아니라 성도의 신앙의식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의 목회돌봄 패러다임’이라는 주제를 선정하고, 교 회사적으로 팬데믹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하였으며, 목회돌봄의 기능과 팬데믹 시대에 필요한 목회돌봄 패러다임을 Patton의 목회적 돌봄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필요한 목 회돌봄 패러다임을 공동체적 상황적 패러다임이라고 보고, 이 패턴에 맞는 목회돌봄 의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공동체적 목회돌봄 패러다임에 포함되는 목 회돌봄의 방향은 첫째, 신앙공동체의 유지, 공감, 상호보완적 돌봄을 포함하는 신앙공동체 회복 둘째, 공교회성, 공공성, 지역공동체 돌봄을 포함하는 공공성 회복으로 구 성했다. 또한 상황적 목회돌봄 패러다임에 포함되는 목회돌봄의 방향으로는 첫째, 실 시간 화상 예배를 포함하는 시공간적 목회돌봄 둘째, 정신건강, 소셜미디어, 생태환경 을 포함하는 팬데믹 상황으로 구성하였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 1년이란 시간이 지나갔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코로나19 이후 급변한 환경에 적응하며, 비대면 예배로 인해 신앙생활에 변화를 겪고 있는 성 도들의 신앙형성과 삶의 방식 간의 순환적 연관관계를 분석하여 포스트 코로나에 대 비한 미래의 교회공동체 모습을 새롭게 모색하고 디자인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회의 본질적 기능의 재고찰을 통한 상황적 목회돌봄, 지역사회의 희망이 되도록 돕는 공동체 목회돌봄,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교회교육 등 포스트 팬데믹에서 의 목회돌봄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Our society has entered the New Normal era, and a new society of non-face-to-face, digital, and safety has become commonplace in everyday life since Corona 19. The most seriously hit place from Corona 19 is probably the church. Churches are experiencing the suspension of face-to-face worship and the realization of online non-face-to-face worship. There will be no pastors who do not worry about "what direction should the church go?" after Corona 19. As such, the impact of Corona 19, which has brought tremendous shock and many changes to the Korean church, is changing not only the pastoral scene but also the religious consciousness of the saints.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the theme of "Pastoral Care Paradigm in Pandemic Situation" and examined how the church views pandemics through various prior studies. It also considered the function of pastoral care and the pastoral paradigm needed in the Pandemic era centered on Patton's pastoral paradigm. In this process, this study considered the pastoral paradigm needed in a Pandemic situation as a community context paradigm and set the specific direction of pastoral care that fits this pattern. Thus,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included in the community pastoral paradigm consisted first of restoration of the religious community, second of restoration of the public nature, public nature, and community care, including maintenance, empathy, and complementary care.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which is included in the "situation pastoral paradigm", consisted of first, time and space pastoral care, including real-time video worship, second, and pandemics, including mental health, social media, and ecological environment. A year has passed since the outbreak of Corona 19. Therefore, the Korean church should seek and design a new image of the future church community in preparation for post-corona by analyzing the cyclical relationship between faith formation and lifestyle of believers who are changing their faith life due to non-face-to-face worship.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made several suggestions on pastoral care in post-fandemic, including situational pastoral care through the re-examination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the church, community pastoral care to help the community become hope, and churc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