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수업 개선에 있어서 수업컨설팅의 기능

        민혜리(Min, Hyeree),윤희정(Yun, Huij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1

        최근 들어 대학은 수업의 질적인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된 방법 가운데 하나가 수업컨설팅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 면담과 설문 조사를 통하여 비디오 촬영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수업컨설팅의 기능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의견 조사의 결과를 종합한 결과, 교육역량별 중요도의 측면에서는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학생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개선방안 모색의 항목을 선택하였으며, 개선가능성 측면에서는 성찰 역량, 교수행동 역량, 학습촉진 역량의 순으로 선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수업컨설팅은 수업의 질적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교수자들이 지니는 교수행동 역량, 학습촉진 역량, 그리고 성찰 역량의 세 가지 수준의 제고를 위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세 역량에 대한 고른 성장을 위해서는 교수자들에게 학습촉진 역량을 위한 전략을 제공하는데 비중을 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결과의 확인을 통하여 지금까지 결과에 대한 평가와 만족도 측정의 수준에 머물러 있던 수업컨설팅 수행 전략 및 지표에 대한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수업컨설팅이 단순한 측정의 도구가 아니라 수업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로서 제공될 수 있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 교수들이 수업에서의 오류를 포착하는 것에 집중하려는 태도를 전환하여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컨설턴트와 함께 모색하는 것이 본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Colleges have recently made various efforts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ing in classes. One of the methods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ing is the use of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the video recordings. Using this method, there needs to be objective analyzed materials from video recordings by consultants, and voluntarily participation of instructors from college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video recordings is regarded as a way to raise the quality of teaching in class. Also, it is suggested that innovations for a teaching-assessment system and a system to judge the competencies of faculties in colleges would be a significant facto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video recordings were investigated in a survey by instructors who had taken part in consulting before. Important aspects to be assessed were verbal communications, interactions with students, searching for improvement, effectiveness, and observ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Recognizing teaching style, and self-reflection to search for action strategies were also considered. As a result, the instru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ulting program tend to concentrate on finding the weak points of their own clas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purposes and principles of instructional consulting, consultants should emphasize that in the process of consulting based on video recordings, instructors should find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realize the way in which they could improve their strong points and not to correct their weak points.

      • KCI등재

        강의평가 주관식 응답에 나타난 교수와 학생의 의견 차이 비교 분석: 강의의 장‧단점 의견에 대한 네트워크 및 내용분석

        민혜리(Hyeree, Min),윤한솔(Hansol,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1

        본 연구는 강의에 대한 교수의 자기평가와 학생의 평가를 비교하기 위해, 교수와 학생의 동일 강의에 대한 주관식 응답결과를 분석하여 교수집단과 학생집단의 인식 차이, 단과대학별 특성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동일 문항의 강의평가에 참여한 교수133명, 학생 4665명의 강의평가 주관식 응답자료를 6개 단과 대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네트워크분석방법으로 고려대 김규태 교수 연구팀이 제작한 엑셀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와 워드클라우드 이미 지를 추출하고, 키워드 네트워크를 Ucinet과 Netdraw로 분석하였다. 추출한 키워드는 다시 최종 8개 범주(강의환경, 강의자료, 강의운영, 설명방식, 상호작용, 교수특성, 평가, 기타)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와 학생 모두 설명방식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았는데 두 집단 모두수업을 평가할 때 가장 많이 고려하는 부분이 설명방식이 며, 학생의 수준과 이해도를 고려한 설명에 비중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강의 자료와 교수특성, 강의운영 영역의 분석결과는 교수가 학생의 의견에 조금만 귀를 기울여도 강의개선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단과대별로 살펴보면 자연대에서는 교수-학생 그룹 간 의견의 일치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강의개선을 위한 방향 설정에서양 집단의 인식차이를 파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response to the comment/essay survey on the same lecture between for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to compare self rating by professor on his or her lecture with student evalu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professor group and student group and the characteristic of college etc. The lecture evaluation with same questions by 133 professors and the responses to the comment/essay survey on lecture by 4665 students that were conducted respectively from 2013 to 2016 were analyzed by dividing 6 colleges. For the method of analysis, Excel macro program produced by Prof. Kim Kyu-tae’s research team was used as network analysis method to extract key words and word cloud image and the keyword network was analyzed by Ucinet and Netdraw. The extracted keywords were classified as the final 8 categories: lecture environment, lecture material, lesson management, how to explain, interaction, the characteristic of professor, evaluation and oth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greatest number of comments in How to explain for both professor and student group and these both groups take account of How to explain most.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it should put emphasis on explanation that considers the level of students and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analyzed result of lecture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 of professor and lesson management suggests that it’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 if the professors give careful attention to the opinion of students. To review it by each college,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howed lowest consistency for the opin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t means that it’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the gap in recognition between both groups in terms of setting direction for lecture improvement.

      • KCI등재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수강 경험 및 요구

        민혜리(Hyeree Mi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6

        이 연구는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개발을 통한 교수 대상의 교수법 교육의 가능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한 교수자들의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수강 경험과 요구 및 특성별 경험과 요구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속될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 개발과 활용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A대학교에서 2015-2018년에 개발한 7개의 교수법 콘텐츠를, 2017-2019년에 걸쳐 수강한 83명의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수들은 자기 계발 목적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하는 경우가 많았고, 콘텐츠 전반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개인 학습으로 교육에 대한 심리적 부담과 저항이 낮다는 점과 온라인으로 반복적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온라인 콘텐츠의 장점으로 꼽았다. 내용구성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에 대한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영역은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전달, 적절하고 충분한 예시, 흥미와 동기 유발, 학습자 간 상호작용 촉진, 적절한 난이도, 최신 경향 반영, 적절한 분량, 적절한 제시 순서와 속도, 윤리적인 구성이었다. 해당 영역에서 모두 수강한 교수자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가 현재 콘텐츠의 실행도 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온라인 교수법 콘텐츠를 수강하는 교수자들이 개선의견으로 제시한 것은, 내용구성 영역에서 적절하고 충분한 예시, 흥미와 동기 유발, 최신 경향 반영이었고, 사용편의성 영역에서는 안정적 재생, 이어보기 기능, 장소에 구애받지 않음이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 methods education for professo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online teaching content and providing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online teaching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strategies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and needs of professors who have taken online teaching content. A university surveyed 83 professors who took the seven teaching contents developed between 2015 and 2018, and took them from 2017 to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professors often took online teaching content for self-development purposes, we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content, and cited the low psychological burden and resistance of education through personal learning, and the possibility of repeated learning online.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in content composition, the area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easy-to-understand delivery, appropriate and sufficient examples, interest and motivation,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ppropriate difficulty, reflection of current trends, appropriate presentation order and ethical composition. The importance level recognized by professors in the area was higher than execution level. In conclusion, opinions for improving online teaching content were appropriate and sufficient examples in the area of content composition, interest and motivation, and reflection of the latest trends. In the area of ease of use, there was stable playback, relay function, and location-independent.

      • KCI등재

        대학교수 교육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민혜리(Hyeree, Min),길혜지(Hyeji, Kil),윤지영(Jiyoung Yo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의 교육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S대학교 우수강의자 인터뷰 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역량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측정영역 및 하위요소를 구성한 후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구인타당도 검증과 신뢰도 분석, Rasch 모형을 적용한 문항특성 분석 등을 통해 기초소양 21개, 교수역량 44개로 구성된 교육역량 진단도구를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대학교수의 교육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대학본부 차원에서는 진단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 등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tool for assessing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of the professor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 analysis of an interview with an excellent lecturer at S University,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to define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measurement domain, and to developed draft items. Next,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struct validity, reliability, item difficulty and fitness by rating scale model. In result,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al competencies consisting of 21 basic literacy and 44 teaching competencies was finally develope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by diagnosing professors’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support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using this tool practically.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수업 우수 사례 연구

        민혜리 ( Hyeree Min ),김경이 ( Kyungyee Kim ),남민우 ( Minwoo Na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서 전면적으로 도입된 온라인수업에서 우수사례를 수집, 분석하여 이들 수업의 공통요소와 향후 비대면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수사례는 온라인수업방식, 온라인 상호작용, 학습동기부여, 성과의 4개 영역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검토하고, 각 영역별 특성을 전공계열별로 나누어 차이점 및 공통점을 검토하였다. 우수한 온라인수업에서는 많이 활용되는 온라인 상호작용은 LMS 활용, SNS 활용, 온라인 그룹활동, 실시간 토론, 교육용 앱과 협업 도구 활용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학습동기부여영역에서는 참여유도형 학습 활동, 지속적인 교수자 모니터링 및 피드백, 강의 관련 다양한 콘텐츠 활용, 상세한 학습활동 안내의 순으로 활용하였다. 우수 사례들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평가된 요소는 1) 학습자의 이해도를 확보하는 온라인 강의 2) 실재감 높은 강의 콘텐츠 제작 3) 적극적인 온라인 상황에서의 상호작용 4) 다양한 에듀테크 활용 5) 온라인학습관리시스템(LMS)의 적극적 활용 6) 학습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과 피드백 강화가 제시되어 이 점이 향후 온라인수업의 개선에 중요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and analyze best practices in online classes that were fully introduced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derive common elements of these classes and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future. Best practice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online teaching method, online interaction,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by major category to examin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line interaction was found to be widely used in the order of LMS utilization, SNS utilization, online group activities, real-time discussion, and educational app and collaboration tool utilization. In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ion-inducing learning activities, continuous monitoring and feedback of instructors, the use of various contents related to lectures, and detailed learning activities were used in the order. Factors commonly evaluated as important in best practices were 1) Online lectures to secure learners' understanding 2) Production of realistic lecture contents 3) Interaction in active online situations 4) Use of various edutech 5) Continuous monitoring and reinforcement of feedback o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 This point was found to suggest an important direction for future online class improvement.

      • KCI등재

        묵(MOOCs)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의 인식 조사

        민혜리(Hyeree Min),금선영(Sunyoung Keu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묵(MOOCs)에 대한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K-MOOC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 64명을 대상으로 묵(MOOCs)의 교육적 목표와 그 활용에 관한 미시적 쟁점과 거시적 쟁점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대학교육 전문가들은 묵(MOOCs)의 교육적 목표를 교육 방법의 혁신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묵(MOOCs) 이수증 발급이 학위 제도의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는 데에는 대체로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는데, 이는 묵(MOOCs)을 보완재로서 인식하는 경향이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거시적인 차원에서는 전반적으로 K-MOOC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K-MOOC의 파괴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묵(MOOCs)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이에 따라 K-MOOC 활용을 위한 제도적 정비와 대학 간 공동 개발의 가능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Korean universities education specialists and seek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OCs. To investigate this, 64 Korean university education specialists were surveyed about the educational goals of MOOCs and their perception of micro and macro issues. As a result, Korean university education specialists recognized MOOCs educational goals as an innovation of education methods. Also, negative acknowledgment that issuance of certificates would cause confusion in the degree system, which is interpreted as a tendency to recognize MOOCs as a complementary material. On a macroscopic level, overall outlook was negative for K-MOOC. However, since K-MOOC is highly perceived to be subversiv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using MOOCs. Accordingly, it suggeste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the utilization of K-MOOC and the possibility of joint development between universities.

      • KCI등재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강의의 특성 연구

        민혜리(Min, Hyeree),이희원(Lee, Heew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good teaching practice in universities. After analy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30 undergraduate students in S university in Korea, and 2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overseas universities as well,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for good teaching. The results commonly suggested that the content of lectures, teaching skill of faculties, motivation of active learning and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were important elements for good teaching. It was noted that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S university included professionalism of contents knowledge, enthusiasm and sincerity of the faculty giving the lecture, whereas th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overseas universities proposed the addition of interdisciplinary subjects, content knowledge, intimate rapport with students and faculty, and care and understanding for students. Particularly, th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oversea universities considered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student learning support systems of tutorial and peer-advising were essential requisites for good teaching.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좋은 강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그간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특히 현재 대학 강의평가의 주체인 학생들의 입장에서 어떤 강의를 좋은 강의로 생각하는 지에 대한 연구는, 실제로 수업개선에 기여하게 된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간의 연구들은 국내 대학에서의 수업 경험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우리 대학 수업에서 미진한 부분이 무엇인지 세부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와 해외 대학에서 함께 수강 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강 경험에 대한 자료를 통해 각각의 좋은 강의의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국내 및 국외 강의를 함께 수강한 학생들이 지적한 좋은 강의의 공통적 요소는 수업 내용, 교수의 수업 운영 기술, 과제와 평가, 학생 참여적 수업 유도, 학생 간의 교류 촉진이라 답하였다. 그러나 이 공통적 요소들의 세부 내용에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즉, 국내 대학 수강에서는 수업 내용의 요소로서‘교수의 전문성’과‘교수의 성실과 열의’를 꼽았는데 비해 해외 대학 수강에서는‘학제 간 연구를 시도하는 강의’와‘연구에 필요한 실질적 내용 제공’을 좋은 점으로 꼽았다.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국내 대학‘질문을 통한 지적 자극’을 꼽은데 비해 해외 대학은‘교수-학생의 수평적이고 친숙한 관계’와‘학생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를 꼽았다. 기타사항으로는 해외 대학 수강 학생들은‘수업외의 특강이 있다는 점’과‘많은 정보가 담긴 수강편람’이 매우 좋은 강의요소라고 꼽았다. 특히 해외 대학 수강의 경우 수업외적인 요소로‘Tutorial System을 통해 학생에 대한 관리 및 학생지도를 한다’ 와 ‘Peer-Advisor를 통해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에 도움을 준다’를 매우 좋은 수업지원제도로 평가하였다.

      • KCI등재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 방안 탐구: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희원(Heewon Lee),민혜리(Hyeree Min),이경우(Yi Kyung-woo)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3

        한국의 공과대학의 교육 목표는 1) 전공교육의 강화, 2) 팀워크능력, 커뮤니케이션 스킬, 비판적 사고력 등을 포함하는 공과대학 소양의 함양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도로 제안된 것이 공학소양교육이다. 현재 공과대학의 교양교육 개선안에는 전공에 구애받지 않는 보편적 교양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미국형과 일반 교양교육과 구분되는 공학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형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공학소양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개편에 적용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교양 교육과정 개편 내용과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 논문에 제시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교양교육 개선안은 교양교육의 학점 중 학생들의 자유선택 과목의 비중을 줄이고, 공학소양교육으로 이수하게 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안은 전공에 구애받지 않는 공통적 교양교육의 틀을 지키면서 전공과 단과대 학의 특성을 반영하는 전공소양형 교양교육을 강조 하는 현실적 방안으로 평가될 수 있다. Engineering Colleges in Korea have two educational objectives: 1) strengthening of speciality 2) cultivation of the engineering literacy such as the ability of working together,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and creative thinking. In order to achieving these objectives, Engineering Literacy education was originated. The improvable proposal of general education course of engineering college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American type that emphasizes on the general education independently of major. The other is Korean ABEEK s type that attach importance to engineering literacy. This study researches the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at applied ABEEK s engineering literacy on redesigning the curriculum. To redesign the curriculum, college of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reduced the optional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and had the students complete the engineering literacy. This device is effective, because it is able to keep the universal general education and make the most of major s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학교-지역사회 연계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역교육자원 활용방안: 서울시 동북지역 2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김언순(Kim, Eon-Soon),민혜리(Min, Hyeree),이부영(Lee, Bo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이 연구는 지자체 단위에서 지역자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 현실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인적, 물적 자원을 활용한 교육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이유와 활용실태 및 향후 적극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는 서 울시 노원-도봉구 지역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6년 9월-10월 온라인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지역자원 활용 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관심부족과 업무부담의 가중을 이유로 들었고, 활용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지역자원 활용을 위한 예산 등 행 정, 재정적 처리의 어려움과 학생들이 이동과 안전문제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피력하였다. 또한 지역교육자원 활용 확대를 위해서 ‘지자체와 교육지원청이 중심이 된 학교와 지역 사회 자원이 협력하는 협의체’가 가장 필요하 다고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런 결과를 종합하면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해 경험중심의 교육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행정적 지원 및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지원하고 조정할 민-관-학 통합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수업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 결과 활용 방안 탐색

        이희원(Lee, Heewon),민혜리(Min, Hyer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시행 중인 강의평가 제도가 대학교육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S대학의 교양과 전공 교과목 대상 강의 평가지를 통합하여 기본 문항과 선택 문항으로 구분된 평가지로 개선하고, 강의평가 결과가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유의미한 정보로 제공될 수 있도록 평가 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여 교수자에게 송부되는 강의평가 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을 활용하여 5개의 교양 교과목 수강생과 사범대학 교육학과 대학원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여 개발된 강의평가 피드백 시스템의 효과성과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강의평가 피드백 시스템을 통하여 가공된 강의평가 결과는 전체 평점을 제공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각 영역별로 평균값을 산출하고 ‘문항별 응답 자료의 분포’를 제공하여 동일교과목 혹은 유사 영역의 강좌와 비교가 가능하도록 그래프로 제시하였고 개인 교수자의 평균값, 최고/최저값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purported to find a concrete method through which the course evaluation system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For this cause, two separate course evaluation forms from university S, one for liberal arts courses and the other for majors courses, were integrated into one evaluation form containing both mandatory questions and optional questions. Furthermore, the course evaluation feedback system was developed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course evaluation results to professors, so that they could be utilised as meaningful data which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ourses. Through a trial run of the course evaluation feedback system, which involved the professors of five different liberal arts courses and professors of Ph.D students majoring education at a College of Education,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e developed feedback system were assessed. Results confirmed that the feedback system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