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횡단적 비교 여성학의 모색: 아시아 여성학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민가영 문화사학회 2011 역사와 문화 Vol.21 No.-

        Research on Transnational Comparative Women’s Studies: Focused on Asian Women’s Studies Gayoung Min(Hanyang University) Asian women’s studies have shown divergent historical contexts beyond western perspective as an intellectually postcolonial work. But these work have lead to reproduce the nationally and regionally bounded.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way for Asian women’s studies which have aimed to criticize western-centered perspective and reveal asian context to go beyond Asian boundedness. Specially this research aims to reproblematize the boundary of Asia by examining ‘division of civilization during the period of imperialism and division of human rights’ during the period of developmentalism after the world war II. Historically women’s human rights have been used to represent non western societies in a way of inferior to Western society and through this process hierarchy of areas have been justified. Women’s human rights in the age of imperialism and developmentalism had played a crucial role to represent the colony and no western society in a contrasting way of civilization vs tradition and savior for human rights vs victim of inferior human rights. Sati represented as a tradition against India women had been constituted as an universal tradition by collaboration between India elites and imperialist with erasing diverse interpretations and practices around sati in India. By comparing sati with a witch-hunt in Europe, while sati was represented as an ongoing practice to make India women’s life dangerous, witch-hunt was represented as an ended practice. To represent non western society as the homogeneous and the ahistorical serve to represent women as a victim of tradition by erasing cultural differences and complexities. The pattern around civilizaion between imperial and colony has been repeated around human rights between the 1st world and the third world. the concept of ‘division in human rights’ has emerged based on the dichotomy of universal savior vs universal victim. It is important to notice how ‘non western human rights’ has been invented. Narayan shows that how a dowry-murder has been represented as a India tradition, while it is a form of domestic violences that occurs in almost every country. She asked why dowry-murder has been represented as a local problems and murders in domestic violence have been invisible while the ratio of murder in domestic violence in the USA is similar to that in India. While a dowry-murder has been considered as a problem , general domestic violences have not issued. In a contrast while murders in domestic violence have not been visible, general domestic violences have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social issue. The process to construct issues about women’s human rights as a local tradition shows that the process to construct non western society as an other of western society is situated on cross internal and national connection. The fact raises a need for a trans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by showing multiple connectivities among nations. This method will open a space of possibility to problematize a category of Asia and go beyond a category of Asia.

      • 가해와 피해 중첩성에 대한 연구 : 가출한 십대 또래그룹의 폭력/범죄 문화와 그 안에서 여성의 위치를 중심으로

        민가영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17 여성연구논총 Vol.32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overlap between victim and offender in teenage group’s violence and deviance. Teenage group involved in violence and deviance showed following things. 1) Violence and deviance happened in teenage group are operated through gender division of labour. 2) There exists overlap between offender and peer. 3) It is founded that there coexist play and violence in teenage group’s subculture. It was observed for three factors mentioned above to construct a subculture of teenage group which is coexistence of hierarchy and team work. Once they are involved in violence and deviance, gender division of labour and hierarchy in peer group are emerging. Because women in peer group is relatively weak and under the influence of gender division of labour, they are inclined to be placed in overlap between victim and offender when they are involved in violence. This paper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overlap between victim and offender when we try to understand a mechanism of violence in teen age group.

      • KCI등재

        성매매를 통한 친밀함의 모방: 성매매와 성매매 아닌 것의 경계를 허무는 착취

        민가영 한국여성학회 2019 한국여성학 Vol.35 No.1

        This article examines how emotional industry has effected on sex industry and a way of exploitation of prostitues. Neoliberalism has forced people to consume individual intimacy through market since intimacy in private sphere has been abruptly broken. As a result there has been emerging new kind of prostitution which stresses ‘girl friend experience’ as their new selling point such as opibang prostitution. Postitues in opibang are required emotional labour which offer not only emotional reaction but establishing damaged masculinities in hierarchy of capitalism. The role required in opibang is harmful to prostitutes not because it forces to unwanted emotional service but make it difficult for women to protect themselves in restricted way. They could protect themselves through self alienation. But new kinds of prostitution make it difficult because they force to break the distinction between oneself in prostitution and oneself in everyday life. This situation is affected by new kinds of capitalism which exploit not by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m and work but by capitalism and life itself. 본 논문은 친밀함의 감정을 전면에 내세운 새로운 성매매 시장이 성매매의 성격을 어떻게 바꾸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점이 성매매 종사 여성을 착취하는 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에 관해 검토하고자 한다. ‘실제’ 삶의 영역에서 친밀함을경험하기 어렵게 만드는 사회 구조적 변화와 함께 개인의 필요를 시장에서 해결하도록 촉구하는 신자유주의의 논리는 성매매 시장에서 연애 감정을 전면에 내세운 성매매 유형을 등장시키고 있다. 그 대표적 예로 ‘여자친구 컨셉’을 내세운 한국의 오피방 성매매는 남성이 퇴근 후 여자친구의 집에 들러 편하게 쉬다갈 수 있는 컨셉을지향한다. 오피방에서 일하는 여성이 해야 하는 감정노동은 단순히 남성의 이야기를들어주고 맞장구를 쳐주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오피방에서 요구되는 성매매 일의핵심은 남성들로 하여금 내가 여성에게 인정받는 남성임을 확인시켜 줌으로써 손상된 남성들의 자존심을 복구시켜주는 일에 있다. 오피방에서 요구되는 여자친구 컨셉은 단순히 남성들에게 감정노동을 하는 것을 넘어서서 성매매 종사 여성이 성매매의권력관계라는 제약 속에서 최소한도로 행사할 수 있는 자기보호를 어렵게 만든다는점에서 그 위험성을 지닌다. 성매매를 하고 있는 순간의 자신과 실제의 나를 분리하는 적극적 자기소외를 거쳐야 그나마 자신을 보호할 수 있었던 성매매 종사 여성들은 이제 성매매와 그들의 실제 삶 사이의 경계마저 허물어 뜨리는 새로운 착취의양상 앞에서 그마저도 용이하지 않은 현실에 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후기 산업사회 전반에서 일어나는 자본주의의 통제 방식과 연결되어 있다. 현재 자본주의의 통제는 자본과 일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본과 삶 사이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삶 그 자체가 착취될 수 있는 자원이 되어가고 있다. 자본주의가 인간의 다양한 자질-상호성, 커뮤니케이션 등-에 최대한 의존하여 삶의 모방이일터에서 이루어지기를 요구하고 있는 흐름은 성매매 현장에도 적용되면서 성매매를 보다 더 착취적인 방식으로 변화시켜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젠더-계급 상호성을 통해 본 신빈곤층 십대여성의 젠더 역할 연구

        민가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7 여성학논집 Vol.24 No.2

        한국사회에서 외환위기 이후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선자유주의 흐름은 이전의 물적/규범적 토대를 변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신빈곤층 내의 젠더 역할에 대한 설명은 이 계급의 물적/문화적 조건과의 관계 속에서 설명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급적 차이를 젠더 분석에 도입하여 설명을 하기 위해 ‘젠더 보상체계’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신빈곤층 범주의 젠더 역할을 탐구하였다. 신빈곤층이 기반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개별 노동자 모델 그리고 개인주의화와 전망상실이 결합한 비유예문화는 이 범주의 젠더 작동을 기존의 전통적인 방식과 다르게 만드는 토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물적/문화적 배경을 기반으로 한 신빈곤층 가족은 성역할에 기반 한 가족 중심주의가 가족 구성원들에게 물적/규범적 보상으로 작동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고 있다. 남성들은 성별분업에 기반한 공적 자본의 대리인 기능을 상실해 가고 있고 여성들의 모성은 가족 이외의 다른 관계와 일자리들 사이에서 상황적, 선택적 역할로 이동되고 있다. 이러한 가족을 배경으로 한 신빈곤층 십대여성은 자본과의 관계에서 위계화 되고 있는 남성의 현실에 대한 간파와 함께 남성을 매개로 하지 않은 자본과 자신 사이의 직접적 관계를 설정해 나가기 시작한다, 또한 변화하고 있는 고용시장, 학력의 의미가 이들의 비유예/비훈육적 문화와 결합하면서 신빈곤층 십대들에게 성산업은 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의미를 갖기 시작 하는데, 이는 성산업과 비성산업 사이에 뚜렷한 구분과 명확한 위계가 설정되어야 할 필요성을 흐리게 만드는 조건이 되고 있다. The stream of neo-liberalism has brought much change in the Korean society since 1990s, among which new poverty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gender roles of teenaged girls in new family poverty from the intersectional perspective of gender and class. The new poverty is anchored in an individualized labour supply model, an individualistic culture and market-consumerism. The individualized labour supply model has made big entrance of women and youth toward the labour market. In this process, a lot of women have experienced a collision between family-centrism based on gender division of the labour and other ways of life. They have deconstructed the model of femininity by taking over the role of male-breadwinner and yet constructed a direct relationship with society and capitalism. Accordingly, the new family poverty contributed to the deconstruction of family wage system at work and the division of gender roles in the home. Men cannot play the traditional role of breadwinner any longer and women are necessarily to gain jobs, from which teenaged girls are socialized according to the de-gendered roles. Due to instability of new family poverty, adolescent girls cannot receive proper care within their family. That is why they find another network of peer groups outside through internet and more than often they are linked with sexual industry. This meets with the demands of men who want to buy the body and femininity of young girls. Through such exchanges, the girls can make money without any mediation with their parents. Neo-liberalism highlights that the class status of individuals is the most important capital and individual competition is based on one's class status naturally given. The individualistic culture of neo-liberalism has made culture visionless. It is difficult for underclass people to have prospects or hope for the future in the era of neo-liberalism, Education lost its function of class mobility. In this context, the meanings of sexual industry and the exchange of body have changed. Girls in low-income families do not have motivation of discipline by a double standard norm for sexuality. The culture of 'non-delay' and 'non-discipline' of new poverty teenaged girls is remaking a system of meanings about the double norm of sex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sum, the teenaged girls have showed the following attitudes to gender roles. First, they gain direct access to society without men's mediation. Second, they make a new system of meanings about the sexual dichotomy of women. Under the condition of the unstable labour market, distinctions between sexual industry and non-sexual industry have been obscure. In accordance with it, they have lost the motivation to be disciplined.

      • KCI등재후보

        ‘신빈곤층’ 가족 십대 여성의 가출 재생산 문화에 관한 현장기술지적 연구

        민가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2

        The type of run-away is constructed by specific social , economical and cultural context. This paper examines the mechanism of reproductive culture of run-away in new poverty family, so it aims to analyze the changing factors of run-away and give some suggestions. This paper uses the deep analysis in family, relation ships and sub culture as the methods. For that, this research uses the depth-interview of girls who are situated in change of family-relation around IMF era. This research has three finding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increasing of family that is unable to care, so that means there is increasing of the number of teenage who are excluded from caring and education. Second, the culture of neoliberal individualism makes teenage in new poverty give up the motivation for prospective life The fact menas that some new generation who lost dream and will for future life is coming up. Third, some girls who have experience the deconstruction of family makes new short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on-line, street and shelter. Because of the volatile of new relationship, it is difficult for them to have others who make them reflect themselves . That constructs the background for their deviant activities 가출 유형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기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배경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가 출의 배경은 특정 맥락에서 발생하는 가출 현상들을 자료로 하여 지속적으로 새롭게 구성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 사회에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신빈곤층 가족의 십대 여성 가출 재생 산 문화를 살펴봄으로써 달라지고 있는 가출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들에 대한 사회적 개입 방안에 대 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외환위기를 전후로 가족경제의 하락과 가족 형태의 변화, 가출을 경 험한 가족의 십대 여성에 대한 심층면접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첫째, 외환위기 이후 안전망의 기능을 할 수 없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한국 사회처럼 가족 외의 별다른 사회적 안전망을 마련해 놓지 않는 사회에서 이 사실은 곧 보살핌과 교육의 혜택에서 배제되고 있는 십대의 층이 확대되고 있음 을 의미한다. 둘째, 신자유주의의 개인적 조건에 기반 한 무한경쟁 체제 속에서 신빈곤층인 이들은 자신들의 계 급적 조건을 간파하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상실한 상황에 놓여 있으며 미래를 위해 현재를 유예시킬 필요성과 동기를 상실해 가고 있다. 그 대신 이들이 선택하는 것은 바로 지금 손쉽게 붙잡을 수 있는 현실로서 비유예, 비훈육적 문화적 특징을 보여준다. 즉 삶에 대한 전망과 동기를 상실하고 있는 신빈곤층 십대가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러한 태도는 가출의 배경을 이룬다. 셋째, 가족의 변형에 따른 가출의 경우 가족들과 관계가 끊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온라인, 거리, 쉼터에서 만난 단기성의 관계들이 이 자리를 대신 채우고 있다. 즉 지속 적인 관계망에서 배제되었다는 사실은 이들이 쉽게 비공식적인 관계망과 행위들에 빠지게 되는 배경으로 볼 수 있다.

      • 차이와 통합의 역설:다문화 정책을 통한 결혼이주 여성들의 초국적 실천에 관한 연구

        민가영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여성연구논총 Vol.27 No.-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governmnet drived multicultural policy since a great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women flowed. Korean multicultual policy has been criticized for its purpose aimed at national population policy and gendered national incorporation.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multicultural policy and women of international marriage with perspective which is based on considering power as multiple effects produced by agencies rather than producing direct consequences. Multicultural policy has been produced the effect of self-positioning of migrants as a group in the process of their accepting other's position. Multicultural policy has gathered disseminated migrants of women into the multicultural event and through this process migrants of women have situated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to social and political meaning. Also they began to realize that their diferrenecs as foreigner could be a social capital by participating in diverse multicultual programs. In the process they began to practice several activities in which their social difference could be used as meaningful social resources. This process enables them to make transnational meaning/practices in which they could make their inbetweeness as meaningful source beyond simply being assimilated and just being an alien. On one hand they deconstruct national will for assimilation, on the other hands they try to being incorporated in the center. This finding does not stand in position of trivializing agency of migrants by saying that empowering others results in neoliberal subject making resources for entering into mainstreaming. This research raises a question with theses findings about how to problematize mutual dependency between nation and migrants wihtout ignoring power relation.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청소년 관리 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한 청소년 연구의 초국적 협력 모색

        민가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4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a way of managing population by focusing on how to manage adolescents in postsocialist Mongolia. Since reformation Mongolia has begun to make it important individual's choice and freedom. As a result Mongolia has begun to experience social problem including increasing divorces, teenager's pregnancy and sexual disease. While socialist Mongolia stressed a strict social value and standard, postsocialst Mongolia is inclined to stress freedom and choice. Adding to these change, diverse cultural flows into Mongolia after reform policy have caused rapid social change in many aspects. In this context there have been increasing single parent and loss of caring children. Faced with theses social problem, Mongolia shows a new tendency in which adolescents' problems are defined as a social problem requiring social management. Once a certain is set as a social problem, social solutions are provided so that each person would accept that and discipline themselves with the solution. By which, new social order and value spread into individual's daily life. Adolescents defined as social problem are to be overcomed by education and counseling. In postsocialist Mongolia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 and people is being moved into increasing individual's responsibility and decreasing national engagement. Because there has been emerging new requirements of participation from below instead of one side order from above. This tension is negotiated by self-disciplined individual's development by education and counseling. 본 연구는 사회주의 종식 이후 포스트사회주의 체제에 진입한 몽골이 어떠한 청소년 관리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첫째 현재 몽골에서 청소년에 대한 새로운 정책이 나오게 된 배경으로서 개혁개방 이후 몽골 청소년들의 변화 양상에 대해 짚어보고 둘째로 이러한 변화를 다루는 몽골의 관리방식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주의 시기의 종식 이후 몽골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선택을 중시하는 흐름으로 변화하게 되면서 가정 해체, 버려지는 아이, 청소년 임신과 성병 증가와 같은 사회적 문제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회적 필요성 속에서 몽골은 청소년의 문제를 새롭게 규정하고 이를 조사함으로써 청소년이라는 범주를 새로운 사회조사, 연구의 대상으로 문제화 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는 전문가 집단을 양성함으로써 청소년 문제의 관리를 전문화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청소년 문제의 전문화는 크게 1) 교육 2) 상담 3) 청소년 센터의 운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자유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한 몽골은 새로운 사회시스템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정책의 요구에 직면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필요성 속에서 현재 몽골에서는 정책 형성과 그 실행에 있어 청소년 연구와 정책이 발달한 선진국과의 초국적 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앞으로 행해질 청소년 정책과 관련한 초국적 협력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다. 한국 입장에서 이러한 포스트사회주의 청소년에 대한 초국적 연구 협력은 한국 내 탈북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의 가족을 통한 통치성에 관한 연구

        민가영 한국몽골학회 2019 몽골학 Vol.0 No.57

        본 논문은 사회주의 종식 이후 포스트사회주의 국가의 체제전환 과정 속에서 가족이 어떠한 역할을 부여받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포스트사회주의 젠더 질서를 둘러싼 변화를 주목한 기존 연구들은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위한 토대로서 전통적 가족주의로 돌아가려는 신가족주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포스트사회주의 몽골은 글로벌 자본주의 구조 속에서 국가 발전을 이루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가족의 새로운 역할과 가치의 요구에 직면해 있음을 볼 수 있다. 포스트사회주의 조건 속에서 국가의 새로운 정체성을 찾아야 할 필요성과 글로벌 자본주의 구조에 적응해야 하는 양가적 필요성은 각기 가족에 대한 다음과 같은 담론을 등장시키고 있다. 현재 몽골의 가족 정책 방향의 가장 큰 축은 자본주의식 근대적 가족 패턴을 적극 도입하여 가족의 안정적 재생산을 이루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가족을 전문적 지식과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한 공간으로 만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전통적 가족 가치에 대한 민족주의적 노스탤지어 담론을 볼 수 있다. 포스트사회주의의 새로운 국가 정체성 확립은 가족과 여성을 전통과 국가의 상징으로 끌어내는 공통된 과정을 수반하고 있다. 몽골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가족 담론은 포스트사회주의 국가 몽골의 새로운 사회 질서가 전파되고 증식되는 중요한 장으로서의 가족의 위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family has been relocated by nation under postsocialist society. Neo-family centralism has been found in recent researches which have focused a change of gender relations in post socialist society. This research however shows that post socialist Mongolia has been facing new demands of value for family in order to develop a nation under global capitalism. There needs to reconstruct national identity after reformation and to be developed in global capitalism in Mongolia. A family policy in Mongolia reveals it’s goal to reproduce by accepting modern family model. As a result, a family has been demanded to analyze its problem and make a solution by accepting advice from specialist. Family has been a substantial theme to research involving other issues such as food, hygiene, sexuality, and violence. Making a family an object for knowledge leads to create family problem and produce a specialist to solve the problem of family. This process influences to produce new kind of normalization regarding family and make them have social influences. Second, Postsocialist Mogolia shows a conservative nationalist discourse regarding family. An attempting a new national identity involves making women and family a national symbol. The mosrt importtant axis family policy in Mogolia is to introduce capitalist modern family model so that it might produce stable reproduction of family. To do this, family has been made a place where specialists should engage. To make family an object of knowledge produces research for desease, sexual relation and gender equality. These process around family make family as a tool to produce post socialist system. Family discourses now shows that family is an important tool which produces new kinds of dominant social system. New kinds of discourses of family might affect on people according to gender, age,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