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토석독구결 용언 부정사의 의미기능

        문현수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4

        본고에서는 점토석독구결에 나타나는 용언 부정사의 현토 양상과 그 의 미기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토석독구결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未<>’ 의 쓰임을 확인하였으며, 현대국어의 ‘못’으로 해석될 수 없는 ‘未’의 용례 를 좀 더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석독구결 부정사 ‘未’가 ‘不(未)’ 및 ‘不 (未), 不<>’와 달리 화자의 부정적인 인식이 포함되지 않은 단순한 ‘미완 료’의 의미기능을 가진다고 언급한 문현수(2010)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semantic function of verbal negatives in point-attached seokdok kugyol texts. As a result, ‘未<>’ which should be interpreted as 'mot못', having known not to exist in Character-attached Seokdok kugyol, is reported. And ‘未’ which could not be interpreted as ‘mot못’ or ‘ani 아니’ but an aspectual negative is reported a little more in Point-attached Seokdok kugyol than character-attached seokdok kugyol.

      • KCI등재

        利 와  令 의 변별성  -점토석독구결의 현토 양상을 중심으로 -

        문현수 구결학회 2022 구결연구 Vol.48 No.-

         본고에서는 동일한 독음을 지니는  利 와  令 가 점토석독구결에서 어떻게 현토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문현수 (2020)에서는 자토석독구결에서 쓰인  利 와  令 가 서로 별개의 형태적 구성을 표기하기 위해 마련된 구결자로서 철저히 변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 이러한 주장이 옳다면 , 점토석독구결에서도  利 와  令 는 변별적인 구결점으로 현토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 이는 나아가 점토석독구결이 표음적인 변별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변별도 중시하는 문자 체계를 바탕으로 성립하였음을 보여주는 근거의 하나로도 활용될 수 있다 . 본고의 검토 결과 , 점토석독구결에서도 자토석독구결과 마찬가지로  利 와  令 는 철저하게 별개의 점토로 현토됨을 알 수 있었다 . 예를 들어 , 乎利 와  乎令 는 주본  <화엄경 > 점토석독구결에서 각각  31(··)과  13(/)으로 나뉘어 현토되며 , <유가사지론 > 점토석독구결에서는 각각  15(·\)/15(ɔ)와  24(\)로 나뉘어 현토된다 . 이를 고려하면 , 利 와  令 는 서로 별개의 형태적 구성을 표기하기 위해 마련된 구결자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나아가 동일한 독음을 가진  利 와  令 가 점토석독구결에서도 변별적인 구결점을 이용해 현토되는 것을 볼 때 ,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의 점토는 표음적인 변별뿐만 아니라 형태적인 변별도 중시하는 문자 체계를 바탕으로 성립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 本稿 では 、同 じ 読音 を 持 つ 口訣字 である 利 [ri]と 令 [ri]を 、点吐釈読口訣 ではどのように 加点 しているのかを 考察 した 。先行 研究 では 、字吐釈読口訣 の 利 と 令 を 、別 の 形態的構成 を 表記 するた めの 口訣字 として 把握 したことがある 。このような 主張 が 正 しけれ ば 、点吐釈読口訣 でも 利 と 令 は 別 の 口訣点 として 加点 する 可能性 が 高 い 。本稿 の 検討 の 結果 、点吐釈読口訣 でも 、字吐釈読口訣 に 同 じ ように 、利 と 令 は 徹底的 に 別 の 点吐 で 加点 された 。例 えば 、乎利 [ho.ri]と 乎令 [ho.ri]は 、周本 華厳経 点吐釈読口 訣 では 各 々31(··)と 13(/)とに 加点 される 。そして 、瑜伽師地論 点吐釈読口訣 では 各 々15(·\)/15(ɔ)と 2 4(\)とに 加点 される 。したがって 、利 [ri]と 令 [ri]は 別 の 形態的構成 を 表記 するための 口訣字 である 可能性 が 非常 に 高 い 。さらに 、同 じ 読音 を 持 つ 利 [ri]と 令 [ri]を 点吐釈読口訣 でも 別 の 口訣点 として 加点 することをみると 、高麗時代 の 点吐釈読 口訣 の 点吐 は 、表音 はもちろん 、形態的 な 弁別性 をも 重視 する 文字 体系 をもとに 成立 したものであると 考 えられる 。

      • KCI등재

        ‘-롯’과 ‘-록’의 관계에 대하여

        문현수 구결학회 2016 구결연구 Vol.37 No.-

        본고에서는 고대국어와 중세국어에 사용된 ‘-/롯’과 ‘-/록’의 용례를 검토함으로써 이들이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5종의 자토석독구결자료와 새로 발견된 자토석독구결자료인 『慈悲道場懺法』 권4에서 쓰인 ‘-’과 ‘-’의 용례는 물론, 점토석독구결자료에 쓰인 ‘-’과 ‘-’의 용례도 모두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고대국어에서 어떠한 관련성을 맺으며 쓰이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 25(.·)이 ‘’으로 해독되는 점토임을 발견한 것은 큰 소득이라고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고대국어의 ‘-’, ‘-’과 중세국어의 ‘-롯’, ‘-록’을 비교하여 ‘-/롯’과 ‘-/록’이 어떠한 이유로 유사한 쓰임을 보이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대국어와 중세국어에서 ‘-/롯’은 거의 대부분 후행하는 체언을 수식하는 예로 쓰이는 반면에, ‘-/록’은 후행하는 체언과 용언을 모두 수식할 수 있었으며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의 사용 빈도와 용언을 수식하는 경우의 사용 빈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둘째, ‘-/록’은 조사 ‘-/로’와 강세 첨사 ‘/ㄱ’의 통합형으로 볼 수 있는데, 후행하는 체언을 수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그 체언이 부사어인 ‘NP/록’의 수식을 받을 수 있는 부사성 명사이기 때문이다. 셋째, 후행하는 체언을 수식하는 환경 하에서 쓰인 ‘-/롯’은 언중들에 의해 ‘-/록’의 강세첨사 ‘/ㄱ’가 속격조사 ‘-/ㅅ’으로 재분석된 것이다. 넷째, 강세 첨사 ‘/ㄱ’은 ‘-/록’을 제외하고는 ‘/ㅅ’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발견되지 않는데, 이는 이 환경을 제외하고는 강세 첨사 ‘/ㄱ’이 속격 조사로 재분석될 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 SCOPUSKCI등재

        이소푸렌의 마취농도에 따라 베라파밀이 개의 심혈관계에 미치는 혈역학적 작용

        문현수,김용락 대한마취과학회 1989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22 No.6

        Isoflurane has been known to reveal relatively stable hemodynamic effects on cardiovas-cular system,so many anesthesiologists recommend it as the anesthetic of choice for cardiovascular surgery in spite of its higher cost. Verapamil has been indicated in many cardiovascular diseases and its pharmacological effects are known to be infiuenced by the patients hemodynamic condition, disease state, and concurrent drug therapy. The author performed this experimental study to evaluate the hemodynamic effects of verapamil on cardiovascular system under variable concentrations of isoflurane anesthesia with 7 mongrel dogs. Heart rate (HR), mean arterial pressure(MAP), central venous pressure (CVP), pulmonary arterial pressure (PAP),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PCWP) and cardiac output (CO) were measured, and stroke volume (SV), cardiac index (CI), left ventricular stroke work index (LVSWI),systemic vascular resistance (SVR) and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PVR) were calcurated after 0.3 minimum alveolar concentrations of anesthetic (MAC) N₂O anesthesia with pancuronium relaxation as controls, after 20 minutes of 1 MAC and 2 MAC of isoflurane anesthesia, after verapamil 0.15 mg/ kg bolus with 0.005mg/kg/min infusion, and after 20 minutes of 1 MAC and 2 MAC of isoflurane anesthesia with verapamil infusion respectivel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comparing each data, and data between isolfurane alone and isoflurane with verapamil infusion. 1) Most of hemodynamic indices of cardiovascular system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 of isoflurane concentration except CVP and PVR. 2) Verapamil infusion decreased HR, MAP and SVR significantly but increased CO, CI and SV significantly. 3) PCWP was increased only under 2 MAC isoflurane, PAP and PCWP were increased slightly after verapamil infusion without significance. 4) Isoflurane with verapamil infusion decreased HR and MAP more significantly that islurane alone in a dose dependent manner but it decreased CO, CI and LVSWI less than isoflurane alone becaue of verapamil interaction. 5) Comparing with isoflurane alone, isoflurane with verapamil infusion increased CVP significantly by the interaction of verapamil effect. 6) General hemodynamic changes were enhanc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 of isoflurane. With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concluded that comparing with isoflurane alone, isoflurane with verapamil infusion not only increased CO, CI and HR, so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isoflurane concentration prudentl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MAP and HR for safe anesthetic management.

      • KCI등재

        점토석독구결의 전산 입력 현황과 과제

        문현수 구결학회 2019 구결연구 Vol.42 No.-

        . 본고에서는 점토석독구결의 전산 입력 현황과 향후 과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000년대 초반 점토석독구결이 최초로 발견된 후 이에 대한 연구는 많은 성과를 거두었는데, 이는 점토석독구결의 표기 방안의 마련과 전산화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었다. 현재까지 발견된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자료는 대다수 전산화가 완료되었다. 하지만 아직 전산화가 되지 못한 자료도 일부 있으며, 전산화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자료의 정밀화가 요구되는 자료도 존재한다.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못한 자료는 전산화를 하는 한편, 기존에 전산화된 자료도 포함하여 다양한 조명 각도에 따른 고해상도 사진 자료를 최대한 확보하여 전산 자료를 재검토함으로써 정밀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점토석독구결의 전산화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위해 구결점의 유니코드화도 시급한 과제라 할 수 있는데, 향후 각계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공식적인 논의의 장을 통해 이에 대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유가사지론』 점토구결의 수평쌍점에 대한 연구 -선어말어미 ‘-()-’ 포함 여부를 중심으로-

        문현수 반교어문학회 2019 泮橋語文硏究 Vol.0 No.51

        In previous Studies, the horizontal double points in the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Point-attached Seokdokkugyol tend to be deciphered having -sʌp[]-. This paper investigated all the horizontal double points in the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Point-attached Seokdokkugyol, and verified the deciphers. A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There are 12 horizontal double points in the Yuqieshidilun(瑜伽師地論)'s Point-attached Seokdokkugyol. Among these, +13(··), 21(··), 22~32(··), and 33(··) have -sʌp[]-. 23~33(··) and +41~51(··) are possible to have –sʌp[]-. On the other hand, 43(··), 41~51(··), 51~52(··), +51~52(··), 54(··), and 54~55(··) don't have -sʌp[]-.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generalize that all the horizontal double points have -sʌp[]-. However, the tendency that the upper horizontal double points have -sʌp[]- and the lower horizontal double points don't have –sʌp[]- is observed. It is necessary to examine carefully whether the regularization of the horizontal double points having –sʌp[]- is possible according to particular conditions. 본고에서는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의 수평쌍점에 대한 해독을 시도함으로써, 수평쌍점은 선어말어미 ‘--’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는 가설을 검토해 보았다.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에서는 총 12종류의 수평쌍점이 쓰였는데, 이 중 +13(··)[()], 21(··)[()], 22~32(··)[()], 33(··)[()]은 ‘--’을 포함하는 구결점이 분명하며, 23~33(··)과 +41~51(··)도 아직 해독은 불완전하지만, ‘--’을 포함할 가능성이 있는 구결점이다. 반면에 43(··)[()], 51~52(··)[()], 54(··)[()]는 ‘--’을 포함하지 않는 구결점이며, 41~51(··), +51~52(··), 54~55(··)도 아직 해독이 불완전하기는 하지만 ‘--’을 포함하지 않는 구결점임은 분명하다. 이처럼 총 12개의 수평 쌍점 가운데 적어도 4개의 구결점이 ‘--’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확실하지만 그 이상의 구결점이 ‘--’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모든 수평쌍점이 선어말어미 ‘--’을 포함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하지만 기준사각형 하단선을 기준으로 그 위쪽에 위치하는 수평쌍점은 ‘--’을 포함하고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수평쌍점은 ‘--’을 포함하지 않는 경향성은 관찰된다. 이처럼 수평쌍점의 ‘--’ 포함 여부를 특정 조건과 연관을 지어 규칙화할 수 있는지는 앞으로 다른 비단점(非單點) 구결점들의 해독 양상과의 비교․대조를 통해 좀 더 면밀하게 고찰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석독구결에 쓰인 구결자의 특성

        문현수 국어사학회 2020 국어사연구 Vol.0 No.30

        본고에서는 석독구결에 쓰인 구결자의 특성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지금까지는 각 구결자의 원자와 독법에 대한 연구가 중심이 되어 왔는데, 이를 문자 체계의 관점 에서 거시적으로 파악해 보면 흥미로운 현상이 관찰된다. 첫째, 독음이 겹치는 구결자 는 ‘’와 ‘’처럼 다른 형태소를 표기하거나 ‘’와 ‘’처럼 문헌에 따라 상보적 분 포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둘째, ‘’처럼 독음이 여러 가지인 구결자는 모음조화에 따라 자동적 교체를 보이는 하나의 형태소를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셋째, 구결자 중 에는 ‘’처럼 특정 형태소를 나타내는 표어자도 존재한다. 넷째, 연결어미 ‘-아/어’가 ‘’로 표기되는 것과 달리 모음조화 대립형이 별도의 형태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와 ‘’처럼 별도의 구결자를 통해 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다섯째, 말음첨기 자는 ‘[ㄴ](<隱)’처럼 원자의 초성이 없고 핵모음이 [ㅡ]인 경우에 종성을 이용한 것과 ‘[ㄱ](<只)’처럼 원자의 초성이 있고 핵모음이 [ㅣ] 경우에 초성을 이용한 것 이 있다. 여섯째, 조사나 어미에 자주 등장하며 다른 문법 형태소도 나타낼 수 있는 음절구조를 위주로 구결자 체계가 구성되었다. In the article, Characteristics of Kugyol Characters in Seokdok kugyol have been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riting system. First, There are many Kugyol Characters of the same sound value that represent different morphemes such as [ri] and [ri], or have complementar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literature such as [yə] and [yə]. Second, There are many Kugyol Characters having various sound values such as [a/ə] that represent morphemes which have automatic alternation according to vowel harmony. Third,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like [hʌj] that represent morphemes as a logogram. Fourth,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such as [do] and [du] that represent different morphemes because they don’t have automatic alternation according to vowel harmony. Fifth, There are some Kugyol Characters representing a coda such as  [n](<隱), of which the original character does’t have an initial consonant and has a nuclues of ㅡ[ɨ] and has a final consonant used to represent the sound value. There are also some Kugyol Characters representing a coda such as [k](<只), of which the original character has an initial consonant used to represent the sound value and has a nuclues of ㅣ[i]. Sixth, the writing system of Kugyol Characters consist of those that are used to represent particles and endings including other grammatical morphemes.

      • KCI등재

        진본 화엄경 권20의 미해독 구결점에 대한 해독 시도―선어말어미 ‘-오-’, 연결어미 ‘-며’, 조사 및 어미 구성의 ‘-과’, 부정문 관련 구결점을 중심으로―

        문현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7 No.-

        In this article, I made an attempt to interpretate the undeciphered kugyol points used in Jinben Huayanjing volume 20.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12 (·), 14 (·), and 12 (|), the kugyol points related with pre-final ending -o []-, are deciphered as hon [], hol [], sion [] respectively. Second, 52 (·), the kugyol point related with conjunctive ending –myə [], is deciphered as hʌmyə []. Third, 54 (i), 54 (/·), 54 (\·), and 35 (|·), the kugyol points related with ending/particle -kwa [], are deciphered as -kwa [], -?kwa [x], -ʌpkwa [], -du [] respectively. 32 (·), 35 (./), 45 (|·), and 53 (\·), the kugyol points related with negation, are deciphered as -gon [], dii [], -nʌ [], -mo [<>] respectively. 본고에서는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자료인 진본 화엄경 권20에 현토된 구결점 가운데 아직 미해독이거나 해독이 되었더라도 재검토가 필요한 구결점의 해독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어말어미 ‘-오-’와 관련되는 12(·), 14(·), 12(|)는 각각 ‘’, ‘’, ‘’으로 해독된다. 둘째, 연결어미 ‘-며’와 관련되는 52(·)는 ‘’로 해독된다. 셋째, 조사와 어미에 쓰인 ‘-과’와 관련되는 54(i), 54(/·), 54(\·), 35(|·)는 각각 ‘’, ‘x’, ‘’, ‘’로 해독된다. 넷째 부정문과 관련되는 32(·), 35(./), 45(|·), 53(\·)는 각각 ‘’, ‘’, ‘’, ‘<>’로 해독된다.

      • KCI등재

        석독구결의 능력부정에 대한 연구 - ‘{不}’의 특성과 장형 능력부정 구문의 어순을 중심으로 -

        문현수 국어사학회 2019 국어사연구 Vol.0 No.28

        This paper studied on negation of ability in Seokdok Kugyol.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不} and word order in long form negative sentences are focused. A summary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s follows. 1) {不} is a negative of ability, representing the form mot. 2) {不} is diffrent in form from ‘不’, which is a negative of ability only in Yuqieshidilun(瑜伽師地論) Seokdok Kugyol. 3) {不} and 不 represent the same form. They are represented as the same Kugyol-point in Huayanjing(華嚴經) Seokdok Kugyol. 4) ‘Verb- 不 能 -’ is a long form negative sentence in Huayanjing(華嚴經) Seokdok Kugyol, which has word order like ‘negative adverb verb’. ‘Verb- 能 不 -’ is a long form negative sentence in Yuqieshidilun(瑜伽師地論) Seokdok Kugyol, which has word order like ‘adverb negative verb’. It is because word order like ‘negative adverb verb’ does not be allowed in Yuqieshidilun(瑜伽師地論) Seokdok Kugyol, contrary to Huayanjing(華嚴經) Seokdok Kugyol. 본고에서는 석독구결의 부정법과 관련하여 <자비도량참법>에 처음 등장한 ‘{不}’의 기능과 독법을 토대로 능력부정의 부정사인 ‘不’․‘不’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장형 능력부정문의 어순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不}’는 능력부정의 부정사로서 [몯]이라는 어형을 나타낸다. 이때 구결자 ‘’는 [모]라는 음가를 지니며 말음 ‘ㄷ’은 해독시 보충된 것이다. 이는 ‘{爲}-’가 말음첨기 없이 [삼]을 나타낼 수 있는 것과 동궤의 현상이다. 둘째, <자비도량참법>은 <화엄경> 계통의 자토석독구결 자료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不}’은 <유가사지론> 계통에서만 등장하며 [ㄱ]을 말음으로 갖는 ‘不’과는 다른 형태의 부정사일 것이다. 셋째, <화엄경> 계통의 자토석독구결에서만 쓰이는 ‘不’는 ‘{不}’와 동일한 어형의 부정사를 표기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 둘이 다른 어형의 부정사를 표기한 것이라면 점토석독구결에서도 별개의 구결점으로 표기될 것이다. 하지만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구결에서는 능력부정의 부정사를 나타내기 위해 22(-)만이 쓰인다. 넷째, <화엄경> 계통의 장형 능력부정문인 ‘(피부정)동사- 不 能 -’는 부정사가 부사어 ‘能’ 앞에 오는 구성이며, <유가사지론> 계통의 장형 능력부정문인 ‘(피부정)동사- 能 不 -’는 부정사가 부사어 ‘能’와 대동사 ‘-’ 사이에 개재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자료의 계통에 따라 어순에 차이가 나는 것은 ‘부정사 부사어 (피부정)동사’의 어순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화엄경> 계통과는 달리 <유가사지론> 계통에서는 ‘부정사 부사어 (피부정)동사’의 어순을 기피한 데에서 말미암은 것일 가능성이 있다.

      • KCI등재후보

        오픈소스기반 IPSec VPN 테스트 방법

        문현수,이영석 한국통신학회 2017 KNOM Review Vol.20 No.2

        As Internet speed and computer performance have improved, more and more enterprises are using IPSec-like VPNs to gain access to intranets. IPSec-based VPN applications require a step-by-step test of functionality, such as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to test that the feature works correctl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add new functions and test them, as well as tests that link the virtual environment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However, many VPN software developed as open source does not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integrity verification for each phase from connection start to end, and there is no description for adding new func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sting method for VPN multi-tunneling using a representative IPSec open-source project, strongSwan, a testing method for connecting a 3rd-party plugin with a VPN client, and a KVM-based virtualization testing method. 인터넷 속도와 컴퓨터 성능이 좋아짐에 따라 IPSec과 같은 VPN을 활용하여 인트라넷에 접근하고 업무를 수행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IPSec기반 VPN 응용에서는 인증과 암호화같은 기능이 단계별로 정확하게 동작하는지 테스트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테스트하는 방법과 가상환경 및 물리환경을 연계한 테스트도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오픈소스로 개발된 많은 VPN 소프트웨어는 연결 시작에서 종료까지 각 단계(Phase)별 무결성 검증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원하는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설명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IPSec 오픈소스 프로젝트인 strongSwan을 이용하여 VPN 멀티 터널링에 관한 단계별 테스팅 방법, 3rd-party plugin을 VPN 클라이언트와 연동한 테스팅 방법 및 KVM 기반 가상화 테스팅 방법과 실험결과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