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병원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문지선,정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

        본 연구는 중소병원 기혼간호사 210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중소병원의 안정된 인력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3년 4월 15일부터 4월 26일 까지 설문지를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로 이직의도는 Mobly (1982)가 개발하고 김미란 (200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직무만족은 Stamps 등 (1978)이 개발한 도구를 배경옥 (2007)이 간호사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역할갈등은 Hall (1972)의 도구를 곽영주 (1990)가 수정․보완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사용한 도구를, 간호업무환경은 Lake (2002)가 개발한 도구를 강기노 (2010)가 수정․보완하여 중소병원 간호사에게 적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소병원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은 직무만족, 역할갈등 및 직위였으며,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37% 였다. 그러므로 간호관리자는 중소병원 기혼간호사들의 이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직무만족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보수체계를 개선하고, 역할갈등 중 어머니로서의 역할갈등을 줄일 수 있도록 직장 내 보육시설 운영 및 탄력적 근무시간제도의 도입과 함께 부담 없이 산휴와 육아휴직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인적자원 확보와 제도의 정비 등 행정적 보완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혼 일반간호사의 현 직장에 대한 몰입을 유도할 수 있는 승진유인체계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descriptive survey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nurses. A total of 210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Collected data were from April 15 to 26, 2013. The tool developed by Mobley (1982) and modified/complemented by Kim (2007) was used to measure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Stamps et al.(1978) and modified for nurses by Bae (2007). A tool developed by Hall(1972) and modified/complemented by Kwak was used to analyze role conflict. Finally,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Lake(2002) and modified/complemented by Kang (201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job satisfaction, role conflict, and position ar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nurses. Thus,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married nurses, the following measures are necessary. First, nurse administrators must improve the compensation system, which scored poorly in the job satisfaction category. Also, it is important to operate workplace child care facilities and introduce flexible working hours to reduce nurses’role conflicts as mother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dministrative improvements, such as the acquisition of sufficient human resources and system modifications, to allow married nurses to feel free to go on maternity or child care leave. also, married nurses commitment to the current work that could lead to the need to develop incentives can promote.

      • KCI등재

        국회 청소노동자의 직접고용 전환 협상 과정의 동학: 국가의 역할을 중심으로

        문지선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지역과 세계 Vol.44 No.2

        Focusing on the retirement guarantee among three major agendas of the National Assembly Environmental Labor Union as 'wage increase, retirement guarantee, and refusal to take over for middle managers in a subcontracted company',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the state’s role on the labor union, where the state is represented by state apparatus and political forces such as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the National Assembly Management Division, and the assistants to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negotiation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cleaning workers’ direct employment transition. The negotiations have been prolonged, because the National Assembly Management Division and the assistants to the Chairman of the National Assembly insisted on a conservative retirement age, paying attention to the standpoint of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whereas the trade union has been distrustful of the claims made by the National Assembly Management Division from its past experiences. Therefore the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did not actually participate in the negotiations, bu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negotiation process and played the most powerful role in public sector industrial relations. In addition, due to the pragmatic attitudes of congressional cleaning workers and the situation that the intermediary manager and the second union threatened the National Assembly Environmental Labor Union by dividing public opinion, the National Assembly Environmental Labor Union had no choice but to focus on negotiations that could yield results in a short time rather than struggle. So the parliamentary cleaning workers' direct employment transition experience confirmed the usefulness of negotiations through the use of external political resources rather than collective action, and it might risk negatively affecting the trade union movement. 이 연구는 2017년 1월 국회 청소노동자들의 직접고용 전환에 앞서 이루어진 직접고용 전환 협상 과정에서 기획재정부 및 국회사무처라는 국가 기구와 국회의장실 같은 정치세력 등 국가의 행위자가 수행한 역할에 주목하여, 이러한 국가 역할이 국회환경노동조합에 미친 영향을 노동조합의 세 가지 주요 의제였던 ‘임금 인상, 용역업체 중간관리자 고용 승계 거부, 정년 보장’ 중 정년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직접고용 협상 과정에서 국회 청소노동자와 국회사무처의 논의가 답보 상태에 놓이자 4차 협의부터 국회의장실이 참여했는데, 국회의장실과 국회사무처는 기획재정부의 입장을 신경 써 보수적인 정년안을 주장했고, 노동조합은 그간의 경험으로 국회사무처의 주장을 불신하여 협상이 장기화되었다. 결국 기획재정부는 협상에 실제로 참여하지 않으면서도 협상 과정에 가장 강력하게 작용하는 행위자로 역할 하였다. 여기에 투쟁을 기피하는 국회 청소노동자들의 실리주의적 태도, 용역업체의 중간관리자와 제2노조가 직접고용 전환을 반대해 여론을 분열시키는 등 조직을 위협하는 상황으로 인해 국회환경노동조합으로서는 투쟁보다는 단시간에 성과를 얻을 수 있는 협상에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국회 청소노동자의 직접고용 전환 경험은 집합행동보다 외부 정치 자원의 활용을 통한 협상의 유용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어 향후 노동조합운동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위험도 있었다.

      • 시니어(고령화)를 위한 뷰티커뮤니티케어 및 제론테크놀로지의 활용

        문지선 한국행정학회 2022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출산율 감소 및 기대 수명 증가에 따라 빠른 속도로 인구고령화 진행되고 있음.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인해 노인돌봄에 따른 사회적 문제도 심화. 그간 고령자복지정책은 취약계층의 기본생활보장에 집중되었으나, 앞으로는 노화과정에 있는 중장년, 노년층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이들의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후를 지원하는 보편적서비스로 확대될 전망. 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주체로 노년을 바라보는 활동적 노화(active aging)의 관점에서 고령인구의 경제적·사회적 활동과 자립적인 삶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고령자가 시설이 아닌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계속 거주하면(aging in place)독립적이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이 되어야함. 인구고령화가 먼저 진행된 선진 국가들에서는 복지서비스의 효과성을 높이고 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기재로 ICT(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 Cognition Technology) 활용을 강조함. 유럽에서는 고령인구의 ‘활동적이고 건강한 고령화’를 지원하기 위해 ICT기반의 고령친화 R&D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일본은 건강, 의료 분야의 서비스 질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 로봇 등 지능정보기술의 활용을 촉진함. 인구고령화에 따른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과학기술이 광범위하게 활용되면서 복지와 기술 분야의 의미하는 다양한 용어들이 등장함. 고령자 친화기술을 의미하는 제론테크놀로지(gerontechnology), 노르딕 국가들을 중심으로 발전된 개념인 복지기술(welfare technology), 유럽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AAL(ambient assisted living)등이 존재함. 제론테크놀로지는 1990년대 초반을 전후로 등장한 개념으로, 고령자의 건강하고 독립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 노화에 관한 융합 연구로 정의할 수 있음. 노년학(gerontology)과 기술학(technology)을 합성한 개념이며, 1989년 네덜란드에서 처음 소개된 이후 기술을 적용하여 노년의 활동적인 삶을 지원하는 학문 분야로 발전함. 제론테크놀러지의 목적은 노화에 따른 신체적, 지각적, 인지적 저하를 경험하는 고령층의 욕구를 파악하고, 기술적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임. 커뮤니티케어(community care)란, 지역사회에 있는 사람들이 개개인에 맞게 복지 급여와 서비스를 누림과 동시에 지역사회에 도태되지 않도록 자아 실현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사회의 구성원으로 올바르게 설 수 있는 혁신적 사회 서비스 체계임. 뷰티커뮤니티케어란 고령자의 외적인 아름다움을 통해 내적인 심리상태를 움직여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을 이끌어 냄으로써 본인 스스로 삶의 보람과 긍지를 갖도록 만들어 줌.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를 위한 뷰티커뮤니티케어와 제론테크놀로지를 활용한다면, 고령자도 심리적, 정서적 치료와 재활을 추구하여 자아존중감을 회복하고 외적, 내적의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줌.

      • KCI등재

        여성의 연령별 공공고용서비스 이용과 주관적 취업 효과

        문지선,전선영,홍미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2019년 서울시여성인력개발기관의 직업훈련에 참여한 후 2020년 취업상태인 여성을 대상으로, 공공고용서비스 이용 경험이 ‘직업훈련 서비스의 취업 도움 정도’라는 주관적 취업 인식에 미친 영향을 연령별로 비교했다. 직업훈련을 받은 여성들은 취업지원 서비스를 40대, 50대, 60대 순으로 많이 이용했지만, 20~30대의 이용률은 저조했다. 30대와 40대, 60대는 직업훈련과 취업지원 서비스를 같이 이용했을 때 직업훈련의 취업 도움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30~40대 여성은 경력단절 가능성이 높다고 해서 저학력자 등 노동시장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주관적 취업 효과가 더 큰 것은 아니었고, 50~60대는 경제적 동기가 강하다고 해서 실제 취업자가 모든 직업훈련 서비스를 취업에 도움이 됐다고 평가하는 것도 아니었다. 이 글은 이용자 관점에서 주관적 취업 효과를 분석한 차별성이 있으며, 추후 여성 연령별 ‘수요자 맞춤형 공공고용서비스’를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mpared the impact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among women who participated in vocational training at the Seoul Women's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in 2019 and were employed the following year. Women in their 40s, 50s, and 60s used job placement services the most while its utilization rate was lower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Women in their 30s, 40s, and 60s show a positiv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when using vocational training and job placement services. For women in their 30s and 40s, despite higher likelihood of career interruption, th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was not significantly greater for vulnerable workers. For those in their 50s and 60s, despite their stronger economic motives, not all vocational training services were evaluated as helpful. This study is unique in analyzing the subjective employment effect from the user's perspective and can contribute to the design of employment services customized by women's age.

      • KCI등재

        아동 성폭력 피해자 보호를 위한 특별 진술절차 도입방안

        문지선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34 No.4

        The special evidence rules under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were introduced to prevent child victims of sexual abuse from suffering secondary harm by having to repeatedly testify about the abuse in court and undergo cross-examination by the defendant. However,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these special evidence rules unconstitutional in 2021, the protective shield that shielded child victims from the defendant's cross-examination was removed. Although the recently amended Act on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declares for the first time the principle of protecting child victims in criminal proceedings by considering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it fails to improve the timing and method of cross-examination that negatively affects children, making it difficult to say that sufficient protective measures for child victims of sexual abuse have been established. To prevent child victims of sexual abuse from suffering secondary harm and providing inaccurate testimony during standard cross-examination in trial procedures, which hinders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pecial testimony procedur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victims of sexual abuse while still providing the defendant with the opportunity for cross-examination. The special testimony procedure should be conducted in a pre-trial evidence preservation process presided over by a judge, where a specialist trained indirectly questions the child about issues raised by the defendant’s inquiry and records this process. After undergoing the special testimony procedure, it should be explicitly stated that, in principle, witness examination of child victims of sexual abuse is not allowed, except in cases where new issues are discovered that are not due to the fault of the defendant.

      • KCI등재

        고령화친화산업의 현황과 뷰티시장의 접근 방향 : 고령화(시니어)화장품을 중심으로

        문지선,최상범,유선희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6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of the domestic age-friendly industry, examines the ingredient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f aging cosmetics, and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raw materials other than the notices, and prepares data for the aged-friendly industry to quickly cope with changes in the cosmetics industry environment and aging people. I wanted to. In addition to the ingredient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search trends on the development of ingredients for anti-aging cosmetics are examined, and the anti-aging effects of each ingredient are examined. Through this, 'aging' and 'cosmetics', 'Anti-Aging', 'Anti-Aging', etc. In order to lead the development of anti-aging cosmetics related to the aging industry, research activities on products that are effective in preventing aging by strengthening the skin in addition to the four ingredient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re constantly being conducted. In the functional cosmetics field notified by the Minister of Food and Drug Safety, it is believed that various basic research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research on anti-aging can be scientifically supported rather than a single research. 본 연구는 국내 고령친화산업의 동향을 살펴보고, 고령화 화장품의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성분, 고시 외 원료 연구 동향 분석 등을 조사하여 고령친화산업이 화장품 산업 환경과 고령화들의 변화를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식약처 고시 성분 외에 항 노화 화장품의 원료 개발에 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원료들의 항 노화 효과를 알아보며, 이를 통해 국, 내외에 등재 학술지에 게재되어진 논문을 중심으로 ‘고령화’, ‘화장품’, ‘안티에이징’, ‘항 노화’ 등의 연구논문을 토대로 자료를 종합 하였다. 고령화 산업과 관련한 항 노화 화장품의 발전을 이끌기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고시하고 있는 4종 원료 외에 피부를 강화시켜 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제품에 대한 연구 활동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고시하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 분야에서 단일 연구가 아닌 복합 적으로 항 노화에 대한 연구가 과학적으로 뒷받침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초 연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 KCI등재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 개발

        문지선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5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a sunscreen with antioxidant effects by simultaneously investigating the antioxidant and UV protection capabilities of various plant extracts. First, to investigate the UV-blocking ability of 33 kinds of plant extracts, the absorbance spectrum between the UV wavelength of 280 to 400 nm was investigated. Arrowroot, graviola, wheat sprout, sangbaek skin, thorn meal, lacquer, etc. 11 species were selec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selected plant extracts are measured to examine the degree of antioxidant activity, and from this, it is a plant extract that has excellent UV prote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at the same time. The species was selected. A gel-shaped cream is prepared by mixing the selected gold, hops, and licorice extracts in a ratio of 1:1:1, and the UV protection effect of this cream is measured when the cultured cells are irradiated with UV rays. Determined by the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ed mixture of plant extracts complemented each other in terms of ultraviolet absorption ability and increased cell damage protection effect.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ossible to develop a sunscreen with an antioxidant effect if the antioxidant and sunscreen capabilities of various plant extracts were determined at the same time.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조사하여 추후,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33종의 식물 추출물들의 자외선 차단 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외선 파장 280~400nm 사이의 흡광도 스펙트럼을 조사하고, 이로부터 우수한 자외선 차단능력을 갖는 것으로 보이는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녹차, 감초, 방풍, 칡, 그라비올라, 밀싹, 상백피, 가시박, 옻, 등 11종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식물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정도를 살펴보고, 이로부터 다시 자외선 차단 능력과 항산화 활성이 동시에 우수한 식물 추출물로 황금, 홉, 감초추출물 3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황금, 홉, 감초추출물을 1:1:1로 혼합하여 겔 형태의 크림을 제조하고, 이 크림이 가지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배양된 세포에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보여주는 세포 손상 방어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선정된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은 자외선 흡수 능력에서 상호 보완적이며, 세포 손상 방어 효과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다양한 식물 추출 물들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능력과 자외선 차단 능력을 동시에 결정할 경우 항산화 효과가 있는 자외선 차단제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다중평형 상태의 젠더 이데올로기와 부부관계 만족도의 학력별 차이

        문지선 한국여성학회 2019 한국여성학 Vol.35 No.1

        Based on the multiple equilibrium model, this study examines three topics about how the difference in the couples’ perception of woman’s care role and work role affects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how this effect of difference in the couples’ attitudes varies depending on wife’s own gender role attitudes, and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according to wife’s educational background. The husband's attitude toward woman’s work role is more important than that toward woman's care role i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decreasing effect of women's marital satisfaction attributed to couple's recognition gap about woman's work role is more stronger among the egalitarian women. For the women who have contradictory gender ideologies such as the neo-traditional attitude and the flexibly egalitarian attitude, the attitude toward motherhood ideology determines the satisfactions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 instabi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couples’ recognition about woman’s economic activities may arise from egalitarian females with a high school diploma, rather than highly educated women who are attracting attention as the leading forces of the gender revolution. 이 연구는 가족 동학에 대한 젠더 이데올로기의 영향에 주목하는 다중평형모형에 따라, 여성의 돌봄역할과 일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와 남편과의 인식 차이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어떻게 작용하고, 부부 태도 차이의 영향이 여성 자신의 성역할 태도에 따라 어떻게 다르며, 이 효과가 여성 학력별로 차이가 있는지 세 가지 조절효과모형으로 살펴봤다. 여성의 부부관계 만족도에는 돌봄 역할보다 일역할에 대한 남편의 태도가 더 중요했는데, 특히 성평등한 여성에서 여성 일에 대한 부부의 인식차가 여성의 부부관계 만족도를 크게 낮추었다. 반면 신전통적 태도나 유연하게 평등한 태도같이 모순적인 젠더 이데올로기를 지닌 여성에서는 모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태도가 부부관계를 결정하였다. 또 대졸 여성은 여성 일역할에 대한 부부의 인식차가 크더라도 자신의 성역할 태도와 상관없이 부부관계 만족도가 높고, 오히려 고졸 여성이 여성 일에 대한 부부의 태도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경제활동에 대한 남편과의 인식차로 인해 발생하는 부부갈등과 부부관계의 불안정성은 성혁명의 선도 세력으로 주목받는 고학력 여성이 아닌 고졸 여성, 특히 성역할 태도가 성평등한 고졸 여성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었다. 이처럼 이 연구는 학력 동질혼, 여성 소득 비중 등을 통제한 후에도 부부관계에 있어 여성의 일에 대한 부부의 태도 차이가 중요하다는 점과, 이러한 부부의 젠더 이데올로기 영향이 학력 계층별로 다르다는 점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