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금오도지구 대륙사슴의 계통 분류학적 고찰

        문주영 ( Moon Ju-yeong ),장경희 ( Jang Kyung-hee ),강희진 ( Kang Hee-jin ),노형수 ( No Hyung-soo ),강병선 ( Kahng Byung-seon ),김승희 ( Kim Seoung-hee ),장필재 ( Jang Pil-ja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대륙사슴(Cervus nippon)은 우리나라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멸종위기종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고유종(C.n.hortulorum)은 멸종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부 지역에서 사육종 및 종교적 목적으로 방생한 개체군만이 발견된다. 현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지역인 남면 금오도지구에는 2004년 여수시에서 야생조수 방목지 조성을 통한 관광 활성화를 목적으로 방사한 대륙사슴이 서식하고 있다. 최초 방사된 대륙사슴은 만주종과 일본종의 혼혈인 것으로 추정되나 명확한 생물종 관리를 위해서 금오도에 서식하는 대륙사슴의 정확한 분류학적 위치의 파악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금오도에 서식하는 대륙사슴의 정확한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파악하고, 국립공원 외래종 관리방안 마련의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금오도 외래종 구제 시수집된 대륙사슴 4개체의 혀(tongue)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Cytochrome b 분석을 진행하였고, 도출된 염기서 열 정보는 Genbank 데이터와 기 구축된 국립공원 대륙사슴의 유전적 정보와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구역 내 서식하는 대륙사슴은 일본 본토인 혼슈 북부에 서식하는 아종 C.n.centralis로서 이는 우리나라 고유종이 아닌 일본아종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중재반응 모델 실행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실제 분석

        서유진 ( You Jin Seo ),이주영 ( Joo Young Lee ),문주영 ( Ju Yeong Moon ),손승현 ( Seung Hyun S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학중재 연구논문 총 55편을 선정하고, 논문분석을 통해 각 논문에서 제시된 중재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각 중재의 중재제공 특성과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 중재반응 모델의 3단계 중재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크기가 높은 중재와 중재제공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중재제공의 주요특성, 즉, 연구 대상자, 중재강도, 중재제공 집단구성 형태를 각각 3단계로 나누고, 이를 기준으로 중재들을 분류하여 중재의 각 단계별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학중재의 종류는 총 17개로 나타났고, 각 중재의 해당 연구논문 수는 대부분 5편 미만이었다. 중재는 준집단 설계연구로 대그룹 중재를 통해, 학급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칙연산 영역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해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둘째, 3단계 중재분류와 평균 효과크기 분석 결과, 17개의 중재 중 특히 소집단·또래협동학습, 인지·메타인지전략, 직접교수법, 구체물·표상기반 중재가 연구 대상자, 중재강도, 중재시간, 중재제공 집단구성 형태에 관계없이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차후 연구에 대한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55 intervention studies in mathematic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d the intervention implementation features and effect size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vention effects based on three-level intervention implementation features, such as, intervention participants, duration of intervention, grouping in order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Response-To-Intervention(RTI)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the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17 types of mathematics interventions for elementary students. In general, less than five intervention studies were available for each type of mathematics interventions. Most of the mathematics interventions were used quasi-experimental design and provided intervention in large group, teaching computation skills for all students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Second, among the 17 types of mathematics interventions, small-group group·cooperative cooperative interventions, cognitive ·meta-cognitive meta-interventions, Direct Instruction, and concrete concrete·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intervention were effective across the different participants, intensity, or the type of interven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증거기반 중재 구축을 위한 초등수학 중재연구의 질 분석

        이주영 ( Joo Young Lee ),손승현 ( Seung Hyun Son ),서유진 ( You Jin Seo ),문주영 ( Ju Yeong Mo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총 55편의 초등수학 중재연구들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는지를 질적지표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질적지표 충족도 분석결과를 통해 각 중재별 증거기반 중재의 충족수준은 어떤지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의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충족도 분석결과, 총 38편의 일반교육 연구의 경우 총 8개의 질적지표 중 3개를 제외한 5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고, 이에 높은 수준의 증거기반 중재를 찾기는 어려웠지만, 인지·메타인지전략 중재가 보통 수준의 증거기반 중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17편의 특수교육 연구 중 6편의 (준)집단설계연구의 경우 총 10개의 질적지표 중 3개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고, 11편의 단일대상연구의 경우도 총 20개의 질적지표 중 13개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질적지표를 충족하는 연구의 수가 매우 적었다. 따라서 특수교육 연구 중 증거기반 중재를 찾기는 어려웠다.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에 대한 논의점과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5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stud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evidence-based intervention which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mathematics performance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the 38 studies in general education failed to meet 5 of 8 quality indicators.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find a high-level evidence-based intervention. However, cognitive and meta-cognitive intervention was identified as a medium-level evidence-based intervention. Also, most of the 6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failed to meet 7 of 10 quality indicators and most of the 11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in special education failed to meet 7 of 20 quality indicators. Therefore, it was hard to identify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Several issues regarding the quality indicators and criteria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 are presented.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수학 사실적, 개념적, 절차적 지식 교수를 위한 증거기반 중재의 실제

        손승현 ( Seung Hyun Son ),서유진 ( You Jin Seo ),이주영 ( Joo Young Lee ),문주영 ( Ju Yeong Mo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국내 수학중재 연구 총 64편을 분석하여, 수학의 내용영역에 따라 수학의 사실적, 개념적, 절차적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증거기반 중재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각 중재의 세부적인 특징과 절차, 중재적용 수학영역은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실적 지식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는 수와 연산영역에서 또래교수, 놀이활동, 직접교수법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념적 지식의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는 수학의 전 영역에서 현실맥락 교수, 구체물·표상기반 교수, 수학적 의사소통을 위한 교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절차적 지식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는 수학의 전 영역에서 인지·메타인지 전략, 수학문제 만들기, 도식기반 표상전략 교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식의 영역별 효과적 중재의 특징과 절차, 중재제공시 유의점 등이 기술되었다. 또한 분석결과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의 지식영역별, 내용영역별 균형 있는 수학능력 향상을 위한 향후 연구방향과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reviewed research in elementary mathematics intervention and identified the evidence-based practices to build factual, conceptual, and procedural mathematical knowledge.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nstructional procedures and target mathematics content area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peer tutoring, activity-based mathematics, and direct instruction as effective interventions to build factual mathematical knowledge in the area of number and operation. Second, there were realistic context mathematics, concrete-representation-abstract,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to build conceptual knowledge across the all mathematics area. Finally, there were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problem posing activity, and schema-based representation strategy to build procedural knowledge across the all mathematics area. Instructional guidelines and procedures of the intervention across three knowledge areas and mathematics area were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64 articles. The importance of balancing these three knowledge areas across mathematics content areas to improve the instructional practices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대학생 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과 실제

        손승현 ( Seung Hyun Son ),이예다나 ( Ye Da Na Lee ),조성희 ( Sung Hee Cho ),문주영 ( Ju Yeong Moon ),마지성 ( Ji Sung Ma ),강민 ( Min Kang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장애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대학교육 전반에 걸친 지원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대학 내 장애학생 대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장애인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가 시작된 1995년부터 2012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 또는 등재후보지의 학술지에 발표된 총 3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우선 입학 전, 대학생활 중, 졸업 후 취업을 위한 지원으로 나누고 연구방법, 연구대상, 지원 분야, 지원 내용의 세부 분야별로 구분하여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논문에서 실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 연구가 대학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제도적인 변화에 따른 요구가 연구에 반영되었으며, 연구주제는 실태조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은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였다. 실제적인 지원을 제공한 분야는 대학생활 중 교수-학습 지원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또한 입학 전?대학생활 중·졸업 후 취업을 위한 지원으로 볼 때 입학 전, 졸업 후에 비하여 대학생활 중과 관련된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향후 다양한 연구 분야와 대상을 확장하여 장애대학생을 위한 개별화된 지원서비스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support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 diverse support service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be successful in college life. The search procedures using the Web-database system were implemented to find the proper research from 1995 to 2012. A total of 38 articles met the criteria for analysis and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Each article was analyzed according to pre-college (transition to higher education), college (Success learning program in higher education), post-college (work and higher education). Studies were analyzed by research methods, disability type, what type of services were provid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research trends reflected the changes in regulations and laws by the government.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survey and most of the subjects in research were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and sensory disabilit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tents areas of research were concentrated teaching and learning services and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focused success learning program in the college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variety of research areas and practical support was suggested, and additionally an individualized learning servic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