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결소에 관한 통시적 고찰

        문윤덕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8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43 No.-

        Sprachhistorisch gesehen sind Fugenelemente einerseits aus Possesivsuffixen, andererseits mit den Pluralsuffixen aus Stammbildungssuffixen entstanden. Im Lauf der Entwicklung zum Neuhochdeutschen traten die Stammbildungssuffixe nictht mehr im Singular-Paradigma der Klasse, sondern nur noch im Plural. Dennoch sind ihre Entstehung und Bildung bis heute noch nicht vollständig aufgeklärt. Dies gilt u.a. daran, dass sich die Fugngenelemente jeweils unterschiedlich verhalten, auch in funktionaler Hinsicht. Für die Klassifizierung und Beurteilung der Fugenelemente ist diese Tatsache von großer Bedeutung. Es wird noch kaum beantwortet, wie diese Grammtikalisierung der Stammbildungssuffixe auf zwei Wegen (Fugenelemente und Pluralsuffixe) statt gefunfen hat. Solange diese Frage nicht geklärt sein sollte, besteht keine Veranlassung dazu, Fugenelemente und Pluralsuffixe als zwei unterschiedliche Gegenstände zu betrachten. War der Wandel der Fugenelemete vielleicht kein Vorzeichen für die Entwicklung der Stammbilungssuffixe zu Pluralsuffixen? Um diese Fragen zu antworten, bedarf es weitere Forschungen unter diachronischem Aspekt. 본 논문에서는 예전의 문법에서 나타났던 어간형성접미사, 소유격접미사, 복수접미사의 관계, 그리고 이들 접미사에 영향을 주었던 언어적 요인과 변화과정을 통시적 관점에서 살펴보면서 오늘날 연결소의 형태와 기능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예전의 문법에서 어간형성접미사가 연결소의 형태와 기능이 같아서 서로 구분되지 않을 때가 많았다. 그 이유는 연결소들이 한편으로는 소유격접미사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복수접미사와 함께 어간형성접미사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언어발달과정에서 고고지독일어의 어간형성접미사는 단수 어형변화에서 나타나지 않으면서 연결소와 복수접미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유에서 오늘날의 연결사들은 기본적으로 소유격접미사의 기능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복수접미사의 기능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결사들이 형태와 기능에서 제각각 변화하였기 때문에 그 생성과 변화과정은 아직 완전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다. 또한, 연결소와 복수접미사가 어떻게 비슷한 시기에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과제를 풀기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통시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실록산이 함유된 폴리이미드의 합성과 물성

        문윤덕,이영무 ( Yoon Duk Moon,Young Moo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1 공업화학 Vol.2 No.4

        3, 3`, 4, 4`-Benzophenontetracarboxylic dianhydride(BTDA)와 방향족 디아인민 4, 4`-oxydianiline(ODA) 및 amine terminated polydimethyl siloxane(PDMS)을 이용하여 homopolyimide(HPI)와 siloxane 함유 polyimide(SPI)를 합성하였다. 제 1단계 반응생성물인 homopolyamic acid(HPAA)는 극성용매인 N-methylpyrrolidone(NMP)을 이용하여 얻었다. 제 1단계에서 얻은 HPAA와 tetrahydrofuran(THF)에 녹인 세 종류의 PDMS(분자량 M_n=1700 g/mol, 4000 g/mol, 7000 g/mol)를 30wt%로 반응시켜 siloxane-copolyamic acid(SPAA)를 얻은 후 이를 thermal curing하여 SPI를 얻었다. SPI및 HPI의 precursor인 SPAA와 HPAA의 inherent viscosity는 0.35∼0.48 dl/g이었다. 함수율은 SPI는 최저 0.998%, HPI는 최저 1.88%정도였다. BTDA/MDA/siloxane계 의 유리전이온도는 258 ℃-267 ℃이었다. 열중량 분석 결과 BTDA/ODA/siloxane계의 경우가 BTDA/MDA/siloxane계보다 다소 높은 분해 온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Siloxane containing copolyimice(SPI) was synthesized from 3,3`, 4,4`-benzophenonetetracarboxylic dianhydride(BTDA), 4, 4`-methylene dianiline(MDA), 4, 4`-oxydianiline(ODA) and amine-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PDMS). Homopolyamic acid(HPAA) in tetrahydrofuran(THF) was reacted with PDMS to obtain siloxane containing polyamic acid(SPAA) followed by the thermal curing to manufacture SPI. SPAA and HPAA exhibited inherent viscosity value of 0.35∼0.48dl/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SPI ranged in 258 ℃ ∼264 ℃. SPI had a lower T_g than that of HPI. ODA based HPI and SPI showed slightly higher T_g values, thermal stability, and water content.

      • Dynamics of Solvent Diffusion in an Aromatic Polyimide

        문윤덕,이영무 한국공업화학회 1991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1991 No.0

        고내열성, 고기능성 방향족 폴리이미드는 우주, 항공, 전기 및 전자등 첨단소재 산업에 그 응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자소재의 제조시 플리이미드로 제조된 박막은 유전재료 및 포토래지스트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hip device 제조 과정 중 포토레지스트의 경우에는 반드시 stripping fluid - microprocessing이 끝난 후 device로 부터 포토래지스트등을 제거하는 용매 및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유체-에 노출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폴리머 박막, 특히 폴리이미드 박막과 stripping fluid(penetrant)와의 확산 이론을 이해하는 것은 새로운 chip fabrication 기법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 T.P. Russell 등은 Du Pont사의 Kapton막과 용매간의 확산거동이 Case II 메카니즘에 의한다고 보고하였다. H.M. Tong등도 Kapton/DMSO 사이의 확산거동이 pseudo-Fickian transport. Case II transport, intermediate transport등의 경우로 각각 해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반응 모노머로 3,3’.4,4’ -benzophenonetetracarboxylic dianhydride[BTDA]와 4,4’-sulphonedianiline[SDA]로 부터 solvent casting하여 제조한 폴리이미드 막의 확산과 투과거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험 인자로는 이미드로 열적 전환 반응시의 이미드화 온도(이미드화도), swelling 온도, swelling sol vent (penetrant) 의 종류등을 바꾸어 가면서 고찰하였고, Case II sorption 메카니즘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 조사하였다.

      • KCI등재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손 전략: 친근감 여부에 따른 공손을 중심으로

        문윤덕(Yoon-Deok Moon)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이 논문은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공손의 유형과 기능을 토대로 공손 전략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공손’이란 단어는 독일어에서 문법 용어가 아니지만, 문법서 여러 곳에서 눈에 띈다. 공손의 기준은 언어체계의 규칙에 따라 구성될 뿐만 아니라 언어 외적 요소들이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경계가 모호하다. 공손은 사회적 가치 못지않은 중요한 전략적 요소이기도 하다. 공손한 표현은 우선 대화 당사자 간의 친근감 여부에 따른 호칭 형태, 동사의 화법, 그리고 양상 불변화사를 통하여 나타난다. 화법동사는 청자에게 직접적인 요구를 강요하지 않음으로써 심리적 부담을 주지 않는 공손 표현으로 분류된다. 친근감을 수반하는 양상 불변화사도 체면위협행위를 약화키거나 회피함으로써 청자의 발화를 제한하는 적극적 공손 전략의 하나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독일어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공손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and functions of politeness in German communication and how politeness strategy can be realized. ‘Politeness’ is not a grammatical terminology in German, but it can be found in many places in grammar. The criteria for politeness are not only organized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language system, but the boundaries are ambiguous because non-language factors affect communication. Politeness is an important strategic element as well as social value. The polite expression first appears in the grammatical level of invariant with the form of address according to the familiarity between the conversational parties, verb modus, and modal particle. Modal particle with familiarity is considered to be a positive politeness strategy that limits the listeners speech by weakening or avoiding face threatening act. Modal verbs is classified as polite expressions that do not impose a psychological burden by not forcing the listener to make a direct requ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refore expected to suggest a rationale for empirical research on politeness in German communi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