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성지구 지열수자원의 산출 및 수위변동 특성

        문상호,하규철,김영식,조성현,Moon, Sang-Ho,Ha, Kyoo-Chul,Kim, Yung-Sik,Cho, Sung-Hye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5

        유성지구 지열수의 산출 특성 및 수리적 연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3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장기 수위 관측을 실시하였다. 관측된 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수위변동 주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관측공에서 0.5일, 1일, 7일 주기성이 확인되었다. 7일 주기성은 온천지대에서의 독특한 양수 행태로 인해 발생되는 인위적 현상으로서, 연구 지역내 관측공들의 수리적 연결성이 양호한 것을 반영하였다. 수위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E-W 방향성과 N-S 방향성의 지질구조가 지열수 저류체의 발달 및 지열수 유동에 중요한 규제 요소로 작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지열수의 열원과 대수층의 수리적 연결성과는 상호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Water levels of thermal groundwater ($>30^{\circ}C$) were recorded from March 2002 to June 2006 at several monitoring wells within the Yuseong spa area. Using these data, we elucidated the long-term cyclic fluctuations of thermal groundwater levels with 1 year period. We also observed a noticeable water level variation with periods of 0.5, 1 and 7 days in most monitoring wells, which indicates relatively good hydraulic connectivity within the main hotspring area. By comparing water level variations among several wells, we found out that E-W and N-S trending geological structures should be an important control factor for emplacement and flow of thermal groundwater in the study area. It may be also inferred that geothermal source is highly associated with the hydraulic connectivity of aquifers at the Yuseong spa area.

      • KCI등재

        스크린 프린팅 기법으로 제작된 ZnBO 첨가 (Ba,Sr)TiO<sub>3</sub> Planner Capacitor 특성 분석

        문상호,고중혁,Moon, Sang-Ho,Koh, Jung-Hyuk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2 No.9

        We have fabricated (Ba,Sr)TiO3$TiO_3$ thick films doped with various amount of ZnBO dopants (1, 3, and 5 wt%) by screen printing method on the alumina substrates, which were sintered at the temperature below $1200^{\circ}C$.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ZnBO dopants, the relative dielectric permittivity of ZnBO doped (Ba,Sr)$TiO_3$ was decreased, while loss tangent was increased. 1 wt% ZnBO doped (Ba,Sr)$TiO_3$ thick film has relative dielectric permittivity of 759 at 1 MHz, while 3 and 5 wt% of ZnBO doped (Ba,Sr)$TiO_3$ thick films have 624 and 554, respectively. By introducing ZnBO dopants to the (Ba,Sr)$TiO_3$ thick films, leakage current densities were decreased. The decreased leakage current with increasing ZnBO dopants can be explained by increased density and grain size of thick film on alumina substrate. We believe this decreased leakage current density probably come from the increased grain size and increased density.

      • KCI등재

        청주 상대리 수막재배지의 지중 침투형 갤러리 설치와 예비 주입시험

        문상호,김용철,김성윤,기민규,Moon, Sang-Ho,Kim, Yongcheol,Kim, Sung-Yun,Ki, Min-Gyu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6

        우리나라 수막재배 지역은 성수기에 지속적인 지하수 사용으로 인해 수막재배 말기에 지하수위 하강과 더불어 지하수 고갈 문제로 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 국내에서는 이러한 지역에서의 지하수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인공함양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함양 방식 중 하나인 지중 침투형 갤러리 설치를 소개하고, 이 중 3개 갤러리에서의 인공 주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인공함양의 효율성을 예비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지역은 청주시 상대리 수막재배지이며, 갤러리의 규모는 가로${\times}$세로${\times}$깊이 $50cm{\times}300cm{\times}50cm$이다. 갤러리는 비닐하우스 동 사이의 이격 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하였으며, 터파기 작업, 자갈석과 규사 메움, 피조미터와 상부 부직포 설치 순서로 진행하였다. 3개 갤러리에 대한 인공 주입시험은 1차 예비, 2차 단계, 3차 장기 주입시험으로 구성된다. 1차 예비 시험에서 B 갤러리는 주입율 $33.29{\sim}33.84m^3/d$, $45.60{\sim}46.99m^3/d$일 때 수위 상승이 각각 20 cm, 30 cm, C 갤러리는 주입율 $21.1m^3/d$, $33.98m^3/d$, $41.69m^3/d$일 때 수위 상승이 각각 0 cm, 16 cm, 33 cm, D 갤러리는 주입율 $48.10m^3/d$, $52.23m^3/d$일 때 수위 상승이 각각 29 cm, 42 cm 정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 및 장기 주입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각 갤러리에 대한 주입율과 수위 관계식이 정량적으로 도출되었으며, 이와 같은 인공 주입시험 결과는 수막재배 기간 중에 사용 후 배출되는 지하수가 갤러리를 통해 자연적으로 주입되는 수량을 추정하는 데에 정량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st of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area in Korea has been inveterately suffering from the gradual draw-down of groundwater level and related shortage of water resources at the late stage of WCC peak time. To solve this problem, artificial recharge techniques has been recently applied to some WCC area. This study introduces infiltration gallery, which is one of the artificial recharge methods, and tentativel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ree galleries installed at Sangdae-ri WCC area of Cheongju City. Seven galleries are set up at each empty space between eight vinyl houses in this area and its dimension is designed as 50 cm in each width and height and 300 cm in each length. Installation process was including bed excavation, backfill with gravels and silica sands, and completion of gallery by equipment of piezometer and covering with non-woven cloth. For each B, C, D gallery, 3 types of test including preliminary, four step and one long-term injection were performed. The first preliminary test showed the rough relations between injection rates and water level rise as follows; 20 cm and 30 cm level rise for $33.29{\sim}33.84m^3/d$ and $45.60{\sim}46.99m^3/d$ in B gallery; 0 cm, 16 cm and 33 cm level rise for $21.1m^3/d$, $33.98m^3/d$ and $41.69m^3/d$ in C gallery; 29 cm and 42 cm level rise for $48.10m^3/d$ and $52.23m^3/d$ in D gallery. Afterwards, more quantitative results estimating effectiveness of artificial recharge were reasoned out through stepped and long-term injection tests, which is expected to be employed for estimating water quantity re-injected into the aquifer through these galleries by natural injection over the period of WCC peak time.

      • KCI등재

        유성 소유역의 강수 및 지열수의 산소.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변화

        문상호,조성현,이광식,윤욱,Moon, Sang-Ho,Cho, Sung-Hyeon,Lee, Kwang-Sik,Yun, U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4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유성 소유역내 강수, 지하수, 지열수의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조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1975년부터 2006년까지의 강수 패턴을 분석한 결과, 연구지역은 $6{\sim}7$년의 가뭄 주기성을 보였다. 2001년도 가뭄 시기부터 2004년까지 4년간 강수의 산소 수소 동위원소 조성은 점차 무거운 성분으로 변화해가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 지역에서 4년간의 강수량을 고려한 동위원소의 가중 평균간을 구해 보면 ${\delta}^{18}O=-7.7%o,\;{\delta}D=-51%o$로서, 동일 기간 내의 지하수와 지열수의 동위원소보다 무거운 조성 범위를 보였다. 이는 연구 지역의 지수 및 지열수가 동위원소적 관점에서 2-3년 이내의 강수에 의해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자료들을 검토해 볼 때, 연구지역에서의 지하수와 지열수는 1990년과 1992년이 가장 무거운 동위원소 조성을 보였으며 이후로는 산소 및 수소 동위원소 조성이 점차 가벼워지는 쪽으로 변화해가는 양상을 보였다. The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 in precipitation, groundwater and geothermal water were monitored over four-year period from 2001 to 2004 at the Yuseong catchment, Daejeon. By analyzing the long term rainfall pattern, we found out the drought cycle of 6 or 7 year. We fortunately revealed that the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 of rain has progressively changed to heavier isotopic ratios from 2001 to 2004. The weighted mean values of ${\delta}^{18}O\;and\;{\delta}D$ of rain are calculated to be $-7.7%o\;and\;-51%o$, respectively. These isotopic values are much heavier than those of groundwater and geothermal water collected at the same period, which indicates that the rain or snow of the study area would not immediately affect the isotopic composition of groundwater or geothermal water. Comparing with the previous data, the groundwater and geothermal water collected at 1990 and 1992 year has the heaviest isotopic composition and afterwards their isotopic composition has been progressively shifted to the direction of lighter composition field.

      • KCI등재

        서천 길산천 소유역의 고염분 지하수 수질과 산출 특성

        문상호,이봉주,박권규,고경석,Moon, Sang-Ho,Lee, Bong-Joo,Park, Kwon-Gyu,Ko, Kyung-Se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3

        서천지역 금강하구둑 부근의 길산천 소유역에서 전기전도도 12,000${\sim}$21,000 $\mu$S/cm 의 고(高)염분 지하수가 산출된다. 이러한 고염분 지하수 대수층은 심도를 달리하는 2개 모래질 퇴적층과 1개 풍화대 및 부정합면으로 구성되어 었으며, 대수층 상호간에는 수리지질 및 수리지화학적으로 단절된 양상을 보인다. 연구지역에서 산출되는 고염분 지하수의 기원에 대하여 고찰해 보기 위해, 대수층의 산출 특성, 지하수의 수질 특성, 지하수위 및 전기전도도의 시계열 관측과 주기 분석이 검토되었다. 국내 서 남해안지역에서 해수의 영향을 받은 지하수 수질은 주로 현재 진행중인 해수침투 개념에 의해 설명되는 경향이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결과 길산천 소유역 하류지역에서 보이는 고(高)염분 지하수의 수질 및 산출 특성은 해수침투라는 역동적인 메카니즘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과거 지질시대의 조간대 퇴적물내 혹은 매립지내에 포켓상으로 고립 포획된 고(古)염분 성분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High-saline ground water, whose eclectrical conductivity value ranges from 12,000 to 21,000 $\mu$S/cm, occurs at the small catchment of Gilsan stream near Geum-river estuary dike. These high-saline ground water comes form three different aquifers consisting of two horizons of sand sediments and one weathered zone with top part of unconformity. For these three aquifers showing mutual independence in terms of hydrogeological and hydrogeochemical connection, we examined characteristics of aqifer occurrences and their water chemistry, and observed and analyzed the fluctuations of the ground water leve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ur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saline characteristics of ground water in this study area should not come from dynamic recent seawater intrusion, but might be due to the fossil saline water included and isolated within the paleo-sediments or weathered zone and their upper unconformity part. This high-saline water seems to be now partially mixed and affected by freshwater in the higher inland reach of Gilsan stream.

      • KCI등재

        K-1 기지 주변 지질 구조와 지하수위 변동 특성

        문상호,김영석,하규철,원종호,이진용,Moon, Sang-Ho,Kim, Young-Seog,Ha, Kyoo-Chul,Won, Chong-Ho,Lee, Jin-Y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0 자원환경지질 Vol.43 No.2

        K-1 유류비축기지는 인위적 지하 공동을 이용하기 때문에 주변 지하수계의 안정이 중요하다. 기지 주변의 지하수계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광역적 지하수 유동특성, 기지내 공간적 지하수위 분포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지하수 유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질 요소를 검토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히수 유동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질구조적 특성은 2가지로서, 편마암-화강암 관입경계를 따라 재활성된 부분과 산성 암맥을 따라 발달한 단열 및 단층이다. 기지 내 4개 관측공들의 수위변동 양상을 검토한 결과, 대부분 강우와 지표수 유입 혹은 공동내 주입수에 의해 지하수위 변동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기지 남쪽에 위치한 관정으로부터의 양수가 기지의 지하수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산성 암맥을 따라 기지로부터 1.2km 남쪽에 위치한 지점에서의 양수작업은 관측 당시에 기지내 지하수위 변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델링 결과에 의하면 $250\;m^3$/day 이상의 양수량으로 지속적인 양수작업이 진행되는 경우 지하수 시스템 안정을 위해 주의가 요구된다. The most serious problem in oil stockpiles with artificial underground cavern is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ground water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ground water system around K-1 site, we determined the regional flow direction and leve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and investigated the major geologic factors influencing their flow system. Reactivated surface along the contact between granite and gneiss, and fractures and faults along the long acidic dyke may contribute as important pathways for groundwater flow. Within K-1 sit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rainfall events and injection from surface or influx water. In this project, the effect of groundwater pumping from the southern wells was examined. Based on equations relating water level drawdown to pumping rate at those wells, their pumped outflow of groundwater ranged from $80\;m^3$/day to less than $250\;m^3$/day. The modeling results with MODFLOW imply that the previous groundwater pumping at distance of 1.2 km may not affect the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of the K-1 site. However, continuous pumping work at quantity over $250\;m^3$/day in this area will be able to affect the groundwater system of the K-1 site, particularly along the acidic dyke.

      • KCI등재

        무심천 인근 상대리 수막재배지에서 지하수 사용 후 배출되는 최종 배수로 물의 수질 특성

        문상호,김용철,황정,Moon, Sang-Ho,Kim, Yongcheol,Hwang, J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5 자원환경지질 Vol.48 No.5

        우리나라의 대표적 딸기 수막재배지 중 하나인 청주시 가덕면 상대리 일대에서는 수막재배용 지하수 이용량이 몇가지 방법으로 산정된 바 있다. 이러한 지하수 이용량 산정 방법 중에는 수막재배 사용 후 배출되는 배수로의 유량을 근거로 하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배수로의 물이 모두 사용 후 배출되는 지하수로만 구성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적용된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가 사용된 후 무심천으로 유출되기 직전의 최종 배수로는 비포장 상태이며 하천 가까이에 나란히 개설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배수로의 물이 인근 하천수의 침투 유입에 의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상대리 지역에서와 유사한 하천과 배수로의 구조 및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 최종 배수로의 배출수가 수질의 관점에서 하천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해 보았다. 고려된 수질 요소는 현장 수온과 pH, EC 값, 실내 분석에 의한 이온 함량과 수질 유형이며, 현장 측정 및 시료 채취 기간은 2012년 2월부터 2015년 2월까지이다. 검토 결과, 배출수는 지하수의 평균 수질을 반영하지 않으며, 오히려 하천수의 수질을 많이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연구지역에서와 같이 배수로가 인근 하천 가까이에서 비포장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배출수의 유량 측정을 지하수 이용량 산정에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많은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에서 배출수의 수온은 주변 대기 온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변하기 때문에, 하천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판단하기는 부적절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배출수 내 지하수와 하천수의 혼합 비율을 정량적으로 산정하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angdae-ri riverside around Musimcheon stream, flowing through Gadeok-myon of Cheongju Cit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trawberry fields employing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in Korea. In this area, annual groundwater use for WCC has been calculated by a few methods. On the assumption that all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nal ditch may be mostly composed of groundwater, the discharge rate in it can be used as a good proxy for assessing the groundwater use. However, in the study area, the final ditch was set up in an unpaved state near and parallel to Musimcheon stream.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drainwater is likely to be influenced by infiltration and/or inflow of nearby stream. Hence, we examined whether or not stream water has influenced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final ditch in respect of ion concentrations or field parameters such as T,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C) values. The period of measuring field parameters and sample collection was from February 2012 through February 2015. The drainwater in the final ditch did not show the average quality of groundwater, but similar quality of stream water in respect of pH, EC, ion contents and water type. From this, it is suggested that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final ditch should not be directly used for assessing groundwater use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because of its sensitivity to ambient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proved not to be appropriate for estim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ditch and stream. For accuracy, additional methods will be needed to calculate mixing ratios between stream and ground water within drainage system.

      • KCI등재

        청주 상대리지역에서 수막재배가 지하수-하천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문상호,김용철,정윤영,황정,Moon, Sang-Ho,Kim, Yongcheol,Jeong, Youn-Young,Hwang, Jeo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6 자원환경지질 Vol.49 No.2

        우리나라에서 수막재배가 이루어지는 수변지역 대부분은 성수기에 지하수위 하강과 함께 지하수 고갈 문제로 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수변지역에서의 지하수 자원량 문제는 인근 하천수와의 연계 특성이 고려될 때 효율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하수와 하천수와의 연계성 및 지하수 대수층에 미치는 하천수의 영향을 논의하기 위해, 지하수의 토출온도, 지하수와 하천수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변화 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지역은 딸기 수막재배지로 잘 알려진 청주시 가덕면 상대리 지역이며, 지하수와 하천수의 시료 채취는 2012년 2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실시되었다. 하천 가까이 분포하는 지하수 관정들 중 일부는 하천수의 영향 정도에 따라 측정 시기별로 용출온도의 변화가 심한 것들이 관찰되었으며, 이들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비는 대부분 하천수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비와 유사함을 보였다. 이는 지하수에 미치는 하천수의 영향이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비 변화에 반영되고 있음을 지시한다. 관정 위치에 따른 공간적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천으로부터 우측 구릉지까지 4개의 측선을 설정하였다. 수막재배 말기인 2-3월 시기에, 하천에서 구릉지까지의 거리가 짧은 측선상의 관정들은 좁은 범위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범위를 보인 반면에, 하천에서 구릉지까지의 거리가 긴 측선상의 관정들은 폭넓은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 범위를 보였다. 연구지역에서 하천이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 거리는 수막재배 말기에 최대 160~165 m 정도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는 폭이 좁은 측선에서는 전체 거리에 해당되며, 폭이 넓은 측선에서는 전체 길이의 약 1/3 지점에 해당된다. 따라서, 폭이 넓은 측선상에서 관찰되는 넓은 범위의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은 하천수의 영향 뿐 아니라 2개 이상의 대수층들간의 영향력 변화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산소 수소 안정동위원소 조성으로 볼 때, 연구지역 내에는 3개 대수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 대수층이 관정 내에 미치는 상호 영향력은 수막재배 시기별로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Most of riverside in Korea, in case of application of water curtain cultivation (WCC) technique, has been inveterately suffering from the gradual drawdown of groundwater level and related shortage of water resources during the WCC peak time. We believe that the water resources issue in these riverside areas can be effectively solved when the interaction between groundwater and nearby surface water is well understood. To investigate the connection between stream and ground water, and the influence of stream water on the nearby aquifer, this study examined the water temperature and oxygen and hydrogen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The study area is well-known strawberry field applying the WCC technique in Sangdae-ri, Gadeok-myon, Cheongju City, and the sampling was done from February 2012 through June 2014 for stream and ground water. Some groundwater wells near stream showed big temporal variations in water temperature, and their oxygen and hydrogen stable isotopes showed similar compositions to those of adjacent stream water. This indicates that the influence of stream water is highly reflected in the stable isotopic composition of groundwater. Four cross-sectional lines from stream to hillside were established in the study area to determine the spatial differences in water quality of wells. At the late stage of WCC in February to March, groundwater of wells in line with short cross-sectional length showed the narrow range of isotopic compositions; however, those in the long cross-sectional line showed a wide compositional range.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of the stream water at the late WCC stage have reached to the distance of 160 to 165 m from stream line, which is equivalent to the whole length and one-third point in each short and long cross-sectional line, respectively. Therefore, the wide compositional range in the long cross-sectional lines was not only due to the influence of stream water, but apparently resulted from the change of relative impact of each groundwater supplying from two or more aquifers. In view of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there seems to be three different aquifers in this study area, which is competing for dominance of water quality in wells at each period of WCC.

      • KCI등재

        창원지역 낙동강 하천수와 주변 충적층을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의 효율성 평가

        문상호,하규철,김용철,고동찬,윤희성,Moon, Sang-Ho,Ha, Kyoochul,Kim, Yongcheol,Koh, Dong-Chan,Yoon, Hees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4 자원환경지질 Vol.47 No.6

        우리나라에는 4대강 주변에 충적 대수층이 많이 발달하고 있으며, 이러한 충적층을 활용한 인공함양 시스템 운영은 향후 우리나라 미래 수자원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낙동강 하천변 충적층에서 대수층 저류/이동/회수 방식의 인공함양 기법을 적용하였을 때, 하천수의 반복적인 주입이 대수층의 주입능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인공함양 시스템의 주입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2차례에 걸친 주입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험에서의 주입수(하천수)와 4개 관측정 내 지하수의 혼합 비율을 계산하여 주입 효율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혼합 비율 계산에서 사용된 수질 성분은 전기전도도로서, 연구지역에서의 하천수와 대상 지하수의 EC 값은 현저한 차이를 보여 혼합 결과를 확실하게 반영해 주었다. 2차례의 주입시험 결과, 일부 관측정에서는 1차에 비해 2차 시험에서 주입 효과의 발생 시점이 매우 느리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관측정에서 주입수의 혼합 비율 상승률이 1차 시험에 비해 2차 시험에서 현저히 저하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함양 시스템의 운영이 시간이 흐를수록 그 효율성이 떨어지게 됨을 지시해주는 것이며, 향후 주입수의 수처리 등 사전 관리와 함께 주기적 양수시험, 휴지기 운영 등 사후 관리가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함을 말해 준다. 하천수 주입에 의한 대수층의 수질 개선 효과는 1차 1,210분 주입 시 1일 이상, 2차 14일간 주입 시 4일 혹은 6일 이상 유지됨을 보였다. The alluvial aquifer, widely developed near the four major rivers such as Nakdong River, can be used effectively for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and is expected to be the future water resources in Korea.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impact of repeatedly injected river water into the riverside alluvial aquifer on injection rate or efficiency in its system at Changweon area. For this, injection tests were performed two times, first on June 19 and second on September 25 through October 9, 2013, and the mixing ratios of river water to groundwater were used as the tool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injection. The mixing ratios were evaluated by using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injected river water (average $EC=303{\mu}S/cm$) and groundwater ($EC{\fallingdotseq}6,000{\mu}S/cm$) measured at 20 m depth of four observation wells installed 10 m apart from each injection well. The result shows the remarkable differences on two respects. First, in some observation well, detection time for incipient injection effect during $2^{nd}$ injection test was shown to be much slower than that of $1^{st}$ injection test. Second, the hourly increasing rate of mixing ratios in $2^{nd}$ test was revealed to be reduced much more than that of $1^{st}$ test. This means that the efficiency of injection was badly deteriorated by only 1,210 minute injection work. Therefore, injection water needs to be adequately treated beforehand and repeated pumping work and/or resting phase is needed afterwards. To a certain extent,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saline aquifer was verified in this system by injection tests.

      • KCI등재

        한국인에서 족무지 지관절의 종자골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문상호,김동준,서병호,Moon, Sang-Ho,Kim, Dong-Joon,Suh, Byoung-Ho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2

        Purpose: Frequency of sesamoid bone on hallucal interphalangeal joint has been described to be low probability in orthopaedic and anatomical literature. We have, however, experienced two cases of interphalangeal joint dislocation giving difficulty to usual manipulative reduction because of presence of sesamoid bone recently. In order to ascertain existence of sesamoid bone on interphalangeal joint of hallux in Korean adults, radiological study have been performed with feet of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3 and October 2006, 974 patients with 1098 radiographs of feet which were reached skeletal maturity over 18-year-old were examined. Unilateral or bilateral anteroposterior, lateral and oblique radiographs were observed by one same person and presence was recorded if there was sesamoid in films. Distance of long and short axes were measured in lateral view and cases of two sesamoids in interphalangeal joint were record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left and right side or between men and women were evaluated by chi-square test. Results: Frequency of sesamoid was 980 cases (89.3%) and no occurrence in 118 cases (10.7%). Two sesamoids were observed in 3 cases. Average distance of long axis was 4.9 mm (range, 0.5-11.4) and average distance of short axis was 3.5 mm (range, 0.3-9.3). Unilateral sesamoid was observed in 7 patients (5.6%), bilateral absence was 7 patients (5.6%) and bilateral sesamoids in 110 patients (88.8%) out of 124 patients who took bilateral feet radiographs. Men has less frequency than women significantly (p=0.014)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quency according to side(p>0.05). Conclusion: Sesamoid bone was seen in 980 feet (89.3%) out of 1098 normal Korean radiological studies of feet. We report 3 cases of two seamoids which was extremely rarely reported in literature. Korean frequency is similar with Japanese, but much higher than Caucasians and black Afric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