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ig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모화숙(Hwa Sook Mo),박미라(Mi Ra Park),하대현(Dae Hyun Ha)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Big5 성격요인, 자기효능감,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Big5 성격요인과 주관적 안녕감의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서울 및 수도권 소재 353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NEO-PI-R 성격검사, 자기효능감 척도와 옥스퍼드행복척도를 실시해 구한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 분석 결과, 신경증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ㅇ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에, 나머지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및 성실성 요인은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5요인 성격 특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상관 결가 역시 신경증 요인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에, 나머지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및 성실성 요인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5요인 성격 특성의 예측력을 살펴본 결과,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이는 요인들은 외향성, 신경증, 성실성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신경증 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만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고, 나머지 4개 요인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선ㄴ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기 위해 Big5 성격요인이 유용한 심리적 구인이란 점과 특히 청소년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효능감에 대한 교육적 중재의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A total of 353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NEO PI-R, Genera self-efficacy scales and revised Oxford Happiness Inventory(OHI).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ing five personality factors on relative influence on subjecive well-being. Third in this study was to assess that self-efficacy plays a role as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Statistic methods to analyze the collective data were Pearson`s correm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provided as follows. First,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general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Big 5 personality factors accounted for 47% of the variance in subjective well-being. Statistic methods to analyze the collective data wer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provided as follows. First,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but Neuroticism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general self-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Big 5 personality factors accouted for 47% of the variance in subjective well-being. Theree factors were significant: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Third, the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of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the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is result indicated that self-efficacy had a mediator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five factors and subjective wee-being.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not only consideration of importance of self-efficacy but also personal characteristic for self-efficacy enhancing of adolescent` subjective well-being, also the neccssarily of the development program on self-efficacy for improv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 KCI등재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선혜(Choi, Sunhye),모화숙(Mo, Hwasook),하대현(Ha, Daehy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입각하여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을 초등학생에게 실시하고 그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과 공간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여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생 2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아동에게 12주 동안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을 실시한 후 사전-사후 통제집단 실험설계에 따라 종이접기 수업이 창의성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SCAMPER 기법을 활용한 종이접기 수업은 창의적 산물의 경우 측정시기에 따른 평균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인성점수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후검사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공간능력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순서와 규칙에 따라 정확하게 접는 것을 중요시 하는 기존의 종이접기 수업과 달리 다양한 아이디어의 발상을 돕는 SCAMPER 기법을 적용한 종이접기 수업이 아동의 창의성을 능력, 인성, 산물 평가 측면에서 모두 향상시킨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과 그 수업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중요한 의의가 있다. This experimental research aims to verify if the SCAMPER technique used in origami class will improve the creativity and spatial ability in children. The main focus of this experiment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creative education, which is increasing in popularity. For this purpose, an origami class was organized and taught using the SCAMPER technique to help to generate various new ideas, unlike the existing origami classes, which stresses the accuracy of folding according to the rules provided. Moreover,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created products was conducted along with a psychometric assessment to see whether the teachings of the origami class were still present for one to two months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 origami clas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eativity in children. According to the origami class product evaluation, there were positive change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effect lasted even longer than one or two months than previously predicted. In addition, i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f scores in not only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but also in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s. However, according to the scores of the RAVEN test, which measures spatial abi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s. Based on the final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CAMPER technique positively affects the creativity in children, but not their spatial a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 대학생활적응과 취업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최보라(Bora Choi),모화숙(Hwasook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에서는 전공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 대학생활적응과 취업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9월 10일부터 2018년 9월 15일까지 C지역 소재 2개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23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반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효능감의 영향력은 유의한 반면 대학생활적응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이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였다. 넷째,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대학생활적응과 진로결정효능감이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공 만족도, 진로결정효능감 및 대학생활적응을 함께 고려해야하며, 특히 대학차원에서 진로결정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efficacy, adjustment to college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the undergraduates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32 undergraduate student of 2 university in C area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odel fit index were satisfied with the model fit criteria. Looking at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 of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major satisfaction flow effect on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lso adjustment to college flow effect on career decision efficacy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prepara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flow effe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have mediation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djustment to college have mediation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major satisfaction has a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career decision 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progress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justment to college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play an important role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graduates students‘ career path and employment prepar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학생참여 유형과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김희란(Kim, Hee-Ran),모화숙(Mo, Hwa-S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대학생 학생참여 하위변인 수준에 따른 군집유형이 존재하는지와 이러한 유형의 분포가 개인 특성과 대학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 개발원의 전국 대학생 학생참여 조사(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of Learning, NASEL)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대학에 재학 중인 38,20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 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참여 유형은 적극적 참여형, 수업 중심 참여형, 수업 외 참여형, 교 우관계 중심 참여형, 소극적 참여형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소극적 참여형이 가장 높은 분포(37.4%)를, 적극적 참여형이 가장 낮은 분포(9.3%)를 보였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대 학 진학 첫 세대인 학생, 그리고 자연계열 학생들이 소극적 참여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규모와 소재지에 따른 학생참여 유형은 중소규모의 비수도권 대학에서 적극적 참여형이, 대규모의 수도권 대학에서 소극적 참여형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 생참여를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Us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NASEL) this study examines a typology of college students' engagement with activities in and outside college and its different distributions based on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e subsample is comprised of 38,208 students. We could find that a) 5 student groups were obtained from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 positive engagers, negative engagers, class-centered engagers, outside class-centered engagers, peer relation-centered engagers, and b) Different distributions in gender, first-generation college students, college size and location, and students' major existed in the 5 student groups. We discussed that this study's findings could help faculty and college administrators improve students’ success.

      • KCI등재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의 종단적 관계

        이숙정(Lee, Sook-Jeong),김희란(Kim, Heeran),모화숙(Mo, Wha-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국어 학업성취도, 수학 학업성취도, 국어 자기효능감, 수학 자기효능감간의 종단적 관계가 어떠한지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패널 자료인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를 활용하였으며, 표집된 총 6886명 중학생들의 1학년부터 3학년까지 3차례(2005년부터 2007년) 반복측정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 교과 내에서는 국어와 수학 교과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 에 정적인 상보적 인과관계로 나타났다. 즉, 동일 교과 내에서는 이전 연도의 학업성취도가 다음 연도의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전 연도의 자기효능감은 다음 연도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교차 교과 간 에는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간에 부적인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수학 효능감이 국어 성취도에 주는 영향은 예외적으로 정적인 영향 관계로 나타났다. 즉, 이전 연도의 국어 학업성취도는 다음 연도의 수학 자기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이전 연도의 국어 자기효능감은 다음 연도의 수학 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이전 연도의 수학 성취도는 다음 연도의 국어 자아효능감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관계로 나타났지만 이전 연도의 수학 자아효능감은 다음 연도의 국어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 관계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Math achievement and Korean and Math self-efficacy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nalysis. For the purpose, this study used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at includes 6886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Korean and Math scores and self-efficacy variables were measured 3 times repeatedly in each year.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was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i.e., mutual positive relationship within the same discipline. Whereas, over the whol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mutually negative influenced each other, I. e., mutual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discipline. However, Math self-efficacy on Korean achievement was positively influence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