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Maintenance of Organizational Healthiness through Regular Organizational Culture Diagnosis

        Ju, Hyo-Jin(주효진),Jang, Bong-Jin(장봉진),Myung, Sung-Jun(명성준),Ju, Dong-Beom(주동범) 한국정부학회 2017 한국행정논집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을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12년까지 2년을 주기로 정기적으로 조직문화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조직문화진단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을 통해 조직의 건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조직발전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전략들을 조직문화에 대한 변화관리전략을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1차 진단에서는 현재 수준의 조직문화 유형에서 시장지향문화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혁신지향문화가 가장 약한 문화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차 진단, 3차 진단, 4차 진단 모두 시장지향문화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지향문화가 가장 약한 문화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 살펴보면 상위직 직원들의 조직문화에 대한 진단을 비교분석해 보면, 상위직의 경우 노무현 정부의 현재수준에서는 관계지향문화를 이명박 정부 때에는 시장지향문화를 가장 강한 조직문화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2010년의 3차 진단을 제외하고는 혁신지향문화를 가장 약한 조직문화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래의 바람직한 조직문화유형에 대해서는 관계지향문화가 현재수준과 같이 가장 강한 조직문화유형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었고, 가장 약한 조직문화유형은 위계지향문화가 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의 경우 현재수준에서는 시장지향문화를 가장 강한 조직문화유형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혁신지향문화를 가장 약한 조직문화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래의 바람직한 조직문화유형에 대해서는 관계지향문화가 가장 강한 조직문화유형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었고, 가장 약한 조직문화유형은 시장지향문화가 되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직문화에 대한 진단과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조직문화 관리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관성 있는 조직문화의 강도는 조직에 안정감을 가져다준다는 측면과 문화적 동일성으로 인해 정책 및 사업전반에 대한 명확한 의사전달과 의사결정에서의 합의 또는 공감대 형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산림청에서는 아주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둘째, 바람직한 미래문화와 현재문화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gap)의 강도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처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조직문화를 통해 조직이 발전하고자 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원들 모두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작업들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조직의 기관장이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조직의 지속적인 발전과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현재시점에서의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보다는 여러 해에 걸친 시계열적 관점에서의 조직문화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ducts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analyzes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head office of Korea Forest Service in the span of 2-year, from 2006 to 2012. Through the diagnosis this study looks for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 organizational healthiness of KFS, which are centered on managing organizational culture sustainabl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diagnosis results on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public officials of KFS shows that market culture was strongest at the current level of the first diagnosis. On the other hand, adhocracy culture was the least perceived type.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diagnoses, market culture is the strongest and adhocracy culture was the least perceived culture. high-ranked officials perceived clan culture as the strongest culture at the current level during the Roh Moo-Hyun Government and market culture during the Lee Myung-Bak Government. Except the third diagnosis in 2010, they perceived adhocracy culture as the weakest. Comparative analysis on lower position officials’ diagnosis on organizational culture shows that they perceived market culture as the strongest culture at the current level and adhocracy culture was weakest culture. As for future desirable culture, they hoped for clan culture to be the strongest culture and market culture to be the weakest culture. The measures to manage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regular diagnosis and analysis on organizational culture with two years in cycle from 2006 to 2012 targeting the public officials of KF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consistent organizational cultural strength has an aspect bringing stability to the organization and merits that clear communication on policy and overall business becomes easier, and agreement or sympathy formation in decision making becomes easier, due to cultural homogeneity. Those merits are implied to work positively in KFS. Second, strength of gap between desirable future culture and current culture could be confirmed, and thus it was understood that measures to cope with such a phenomenon are needed. Third, organization’s head to recognize the need for simultaneously shaping sympathy of all the public officials regarding a direction for organizations to develop through organizational culture. Lastly, this study employs time-series analysis to study the chang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nfirms the continuous effort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BK21 PLUS Project의 변화 분석과 발전방향: 소셜 빅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명성준 ( Sung-jun Myung ),김연수 ( Yeon-soo Kim ),이상엽 ( Sang-yup Lee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7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1 No.4

        대학교육의 사명과 역할, 대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에도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대학교육의 환경과 체질 변화 속에서 이제는 우리가 원하는 대학교육의 모습은 어떠한지, 대학교육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지, 그러한 발전을 위해서는 대학교육 재정지원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하는지에 관해서 좀 더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고, 장기적인 구상과 세밀한 설계도를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대학지원정책으로서 BK21 PLUS(Brain Korea 21 PLUS)는 학자 및 언로 등에 의해 많이 분석되어 왔다. 최근 스마트기기의 급속한 보급과 소셜미디어의 확산으로 자료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데이터의 생산, 유통, 소비 체계에 큰 변화를 주면서 데이터가 경제적 자산이 될 수 있는 빅데이터 시대를 맞이하게 됨에 따라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소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재정지원사업, 특히 연구중심대학지원사업인 BK21 PLUS Project를 중심으로 소셜 빅 데이터분석을 통해 사업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 사업의 발전방향을 탐색적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분석의 함의는 2021년에 새로 시작될 가칭 BK21 FOUR 사업에서는 전체 대학 중 상위 15% 이내 대학만 선정이 가능하도록 해서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차별화를 시도해야 한다. 첫째, 인재양성 측면에서, 고등교육의 선순환적 자생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인력 양성 및 활용의 선순환 생태계 구축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인재 활용방안을 고도화해야 한다. 둘째, 연구경쟁력 측면에서, 양질의 균형 잡힌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 자율적 경쟁을 강화하고, 연구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단 중심의 개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Fundamental changes are also emerging from the missions and role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in the university education. In the changes of environments and constitutions in this university education, now is the time when more fundamental reflection is required and long-term and detailed plans are established regarding what is the image of university that people want, how to develop university education and how the financial support for university education should be changed. Meanwhile, BK21 PLUS (Brain Korea 21 PLUS) has been analyzed through the reports and related press releases. Recently, as smart devices and social media spread out rapidly, the amount of data is increasing exponentially and Big Data Age arrives where the data can become an economic asset while making big changes in data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now is the time to analyze the public awareness about the government policy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changes of the project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big data focusing on the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roject, especially on BK21 PLUS Project which is a research-oriented university support project, and presen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is project in an exploratory level. In the tentative BK21 FOUR project which will newly start in 2021, differentiation is required to select only the top 15% of universities as research-oriented university. First, in the asp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 virtuous autogenous eco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higher education. A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construct virtuous ecosystem and utilization plans of manpower should be improved. Second, in the aspects of research competitiveness, efforts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balanced research competence. In order to strengthen autonomous competition and research competitiveness, project reorganization should be made focusing on project teams.

      • KCI등재

        도시재개발사업의 변동과정에 대한 연구

        명성준 ( Myung Sung-j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4

        이 연구는 도시재개발로 시작해 도시재생이란 개념으로 발전해 온 도시재생정책의 변화과정과 정책적 목표의 변화에 대해 살펴본다. 도시가 가진 다양성, 즉 사회,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서 건축물과 사람의 조화를 통해 도시의 모습을 재구성하기 위한 재개발정책은 정책의 초점에 따라 정책개입의 주요대상에 차이가 있었고, 개입의 결과인 도시의 모습, 구성원, 생활환경의 변화는 재개발 지역의 다수 이해관련자들로부터 찬성과 비난 의견을 공유하여 왔다. 이 연구는 각 정권별 도시재개발정책의 내용과 정책 초점의 변화 속에서 제기되었던 찬반론을 정리하며, 도시재개발정책의 정책 목표, 대상, 수단의 변화 속에서 표출되었던 찬반론을 정리하였다. 정책이 가진 다양한 목표 속에서 재개발 지역의 주민들은 안정적 주거환경과 생활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그 속에서 도시재개발이 가져오는 다른 장점들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결과는 도시재개발정책의 우선순위와 정책수단을 고려한 새로운 정책모형의 고려를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change in urban regeneration policy, which started with urban redevelopment and developed under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changes in policy goals. The redevelopment policy to reconstruct the shape of the city through the harmony of buildings and people across society,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that is, the diversity of cities, differed in the main targets of policy intervention depending on the focus of the policy, and the result of the intervention. Changes in the shape of the city, its members, and the living environment have been shared by many stakeholders in the redevelopment area. This study summarizes the pros and cons that were raised amid changes in the content and policy focus of urban redevelopment policies for each regime, and also summarized the pros and cons expressed in the change of policy goals, targets, and means of urban redevelopment policies. Among the various goals of the policy, the residents of the redevelopment area emphasized the need to improve a stable residential and living environments and in that context, other advantages brought by urban redevelopment are important.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emphasize the consideration of a new policy model that considers the priorities and policy tools of urban redevelopment policy.

      • KCI등재

        디지털성범죄 대응정책의 국가별 비교 연구 : 미국·영국·호주를 중심으로

        명성준(Sung-Jun Myung) 한국비교정부학회 2021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5 No.4

        (Purpose) Recent crimes such as Nth Room Case, Telegram sexual abuse, and Webhard cartel raised the big alarm to the society, prompting big attention to the public and the political circle. A diversity of policies and programs are introduced to prevent such crime and support victims, but called for is more attention and resource of governments. In the rise of digital crimes and the demand of efficient use for public resource this study seeks to look at the policies of digital sexual crimes of South Korea, Australia,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The comparison of the policies of the four countries intends to their common and unique feature and searches for ways to improve policy outcome.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analyze the policies for digital sexual crime victims, foremost, reviewed is a diversity of documents from four countries and policies of each country are compared by the process of supporting victims. Then, the comparison of four countries identifies their common and unique features. (Findings) Digital sexual Crimes as a relatively new phenomenon takes a lot of public attention from the recent incidences. Despite its prevalence the legal and policy approaches have several holes such as the lack of legal and practical definitions, the interpretation of cases and levels of victim support. The political perspective shaped by triggering incidences often determines the policy trajectory.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Recent rises of digital sexual crimes with the rapid advanc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produces a wide variety of policies supporting the victims. The policies include removal of digital images, stronger measures to screen indecent material, granting legal and ethical accountability to internet service providers, and couselling service to victim. The recent attention shows overlapping services, exposing the legal and practical issues to be resolved.

      • 일반논문 : 우리나라 에너지자원 정책의 변화와 방향: 대상별 정책 환경과 정책 내용을 중심으로

        명성준 ( Sung Jun Myung ) 가톨릭대학교 정부혁신생산성연구소 2011 정부와 정책 Vol.3 No.2

        에너지 소비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에너지의 안정적 수급이 중요한 정책과제로 꾸준히 제시되어 왔다. 더욱이 국내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고유가 등 에너지자원 시장의 불확실성은 세계 각국의 에너지자원 확보 경쟁을 심화시키면서 우리의 어려움을 가중시켜 왔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논문은 지금까지 진행된 우리나라 에너지자원 정책연구를 검토하여 정책의 변화와 접근방향을 짚어 보고자 한다. 정부출연 연구원에서 발간되는 기본과제들을 중심으로 해외자원개발, 석유산업, 천연가스, 석탄산업, 신 재생에너지, 즉 에너지자원을 정부의 관리대상별로 구분하여 현재 상황과 앞으로의 정책방향을 살펴보았다. 최근 우리의 에너지정책은 에너지원의 유형별로 관리대상을 나눠가면서 에너지의 원활한 공급을 추구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해외에너지 자원 확보, 화석연료의 효과적 활용, 그리고 신 재생에너지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Continuing growth in energy consumption puts its stable supply as a prime policy interest. With the lack of nature-endowed resources, market uncertainties from oil price accelerate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energy sources and multiplies our difficulties in responding to the uncertainty. This study, in response to the ever-increasing difficulty, seeks to review the policy studies about energy resources and examine the changes in our energy environment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energy policies. Based upon the policy scheme for energy management, this study looks at market conditions and policies in energy development in foreign nations, oil industry, natural gas industry, coal industry,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The energy policies recently take aims at stable supply and focus on acquisition of energy resource in foreign countries, effect use of fossil fuel, and extensiv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 KCI등재

        지방분권과 지방선거구 획정 - 영국 지방선거구 획정 사례를 중심으로-

        명성준 ( Sung-jun Myung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9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3 No.4

        지방자치를 위한 노력으로서 지방분권은 지방자치단체 대표자의 선출과정에 의해 크게 의존한다. 우리나라의 지방선거제도는 1991년 재개된 이후 몇 차례 변화를 통해 지금의 모습을 가져왔다. 지방선거제도가 지역의 대표성을 높이고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인 보충성, 자율성, 책임성의 3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의 선진국으로 지칭되는 영국의 지방선거제도와 지방선거구 획정제도에 대한 조사를 통해 진행되었다. 매 지방선거가 진행되기 전 영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자신의 선거구획정위원회인 Local Government Boundary Commission을 구성하고, 전문가에 의한 객관적 조사를 통해 지난 선거에서 문제가 되었던 선거구의 문제를 해결한다. 영국의 선거구 획정위원회는 중앙정부에 독립적으로 움직이며 제도적인 면과 운영적인 면 모두에서 자율성과 책임성을 가지고 결정을 내린다. 특히 선거가 시작되기 오랜 시간 전에 선거구 재획정 작업을 시작하고 전문가 분석과 지역주민의 의견수렴을 통해 새로운 선거구에 대한 합의를 찾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우리나라 역시 주민의견수렴, 전문가분석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시간을 갖고 선거구 획정 및 재획정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As an effort for local autonomy, decentralization is highly dependent on the election process of local government representatives. Since the country's local election system was resumed in 1991, it has been changed in several times. The local election system should focus on three factors: supplementality,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order to enhance the representation and smooth operation of the reg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the UK's local election system and the local election district delimitation system, which is called an advanced country of local government. Before each local election, British municipalities form their own Local Government Boundary Commission, an objective investigation by expert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electoral districts that were problematic in the last election. The electoral commission of the United Kingdom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makes decisions with autonomy and accountability in both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terms. In particular, they are beginning to re-determine the districts long before the elections begin, and are seeking consensus on new districts through expert analysis and community inpu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take sufficient time to collect opinions and analyze experts, and to carry out voting and re-determination procedures.

      • KCI등재

        국가사무의 기능이양에 대한 중앙-지방정부 공무원의 인식 연구 - 국유림 관리 업무를 중심으로 -

        명성준 ( Sung-jun Myung ),주상현 ( Sang-hyeon Ju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2

        이 연구는 산림청이 수행하고 있는 국유림관리업무에 대해 중앙부처와 지방정부 삼림분야 공무원들이 국유림관리 업무의 중요한 기능들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인식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정부기능의 지방이양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국유림 업무 서비스 시행 주체인 지방산림청과 지방정부 광역자치단체 해당분야 간부급 업무담당자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소유권이 기반한 주체별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생태계 핵심자원에 대한 국가관리 책임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셋째, 난개발 방지 및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이행하기 위해 전문성을 가진 중앙정부 조직 필요하다. 넷째, 국유림 업무의 광역적 관리가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정부의 인력 및 전문성 부족을 들 수 있다. 결국 국가사무의 지방이양에 대해서는 사무의 특성에 따라 충분히 검토한 후 순차적으로 지방이양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This study seeks to find policy implication on the devolu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s affairs to local governments by surveying the perceptions of civil servants in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e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to help define the direction of functional devolution. Data for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managers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who take charge of forest management. Data analysis shows that critical tasks include management based upon ownership,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y of central government agencies in protecting ecosystem resource, needs for independent, expert-based organizations for growth management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region-based management on national forest due to inter-jurisdictional nature, and capacity building of local government and subordinating agencies. Policies for devolution, at least on national forest management, are to take a step-by-step approach with an effort for capacity building.

      • KCI등재

        친환경 도시건설에 관한 연구: 영국 레스터시와 브라질 꾸리찌바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명성준 ( Sung Jun Myung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1 국가정책연구 Vol.25 No.2

        이 논문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친환경도시의 건설에 대해 논의한다. 세계화된 경제구조 속에서 지역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창의적 인재들을 유인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선호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즉 자연경관과 환경친화적 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인 친환경도시의 모습을 살펴보고 이를 시행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친환경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지역 내 적절한 수준의 하드웨어적 특성과 소프트웨어적 특성이 완비되어야 한다. 하드웨어적 특성으로는 친환경적 주거시설, 친환경적 문화시설, 지역산업의 친환경적 운영, 녹색 교통체계, 폐기물 절감과 재생에너지 사용을 통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시설 기반 등이 지역에서 갖춰져 있어야 한다. 소프트웨어적 특성으로는 지역 내의 협력적 거버넌스 체제의 완비, 지역주민들의 환경에 대한 공유된 문제의식, 민주적이고 효과적인 추진체제와 리더십, 마지막으로 정책의 지속성이 필요하다. This paper address the building of eco-city as a way to increas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Attracting creative people in the global economy requires the living and working environment that can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One way to do it is building a sustainable city or eco-city. Through case studies about the city of Leicester, UK and Curitiba City, Brazil, this study identifies and emphasizes characteristics in both hardware and software dimensions in the region. The characteristic in the hardware dimension includes sustainable dwelling and cultural facilities, sustainable industrial activities and transportation systems, and recycling. The characteristic in the software dimension includes collaborative governance, shared notions about environmental problems, public participation, leadership, and continuity in policy implementation.

      • KCI등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오염부지 활용방안 연구 - 매개조직의 역할을 중심으로 -

        명성준 ( Myung Sung-j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18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2 No.1

        환경오염이 심한 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과 재개발은 환경정책, 지역개발정책의 많은 관심사이다. 오염지역 특히 물관리 유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의 재개발은 다수의 지방정부, 시민단체, 그리고 이익단체들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지속가능한 발전의 정책이념을 반영한 관리 및 개발이 쉽지 않다. 미국 터틀크릭유역 지방정부들의 지역발전 노력에 대한 사례연구는 개발과정에 참여한 기관들의 적응역량, 이해관련자들의 소통채널, 그리고 주정부 및 연방정부의 외부자원이 함께 작용하여 IMEF란 중간조직을 구성하였다. 중간조직으로서 IMEF는 다수 이해관계자들이 서로의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역할을 하였고, 지역대학을 참여시켜 중재자(facilitator)의 역할을 수행토록 하였다. 중간조직은 지역 내 거점의 개발을 넘어서 지역의 미래를 설계하며 지속가능한 발전과 같은 정책이념을 실제에 반영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Sustainable re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challenged regions has been a major interests in the field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olicy. Difficult are always developing watersheds in which a multiplicity of local governments, nonprofit and civic organizations, and interest groups are tangled up in complex ways. Imbuing policy idea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in a diversity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re even more harder in complex policy environment. This case study analyzes efforts of local government and stakeholder organizations in a watershed and identifies adaptive capacity of stakeholder organizations, their communication channels and networks, and external resource from entities from state and federal levels. Actors in the watershed established an intermediate organization, IMEF, which provides a place for dialogue and deliberation among stakeholders. IMEF recruited a local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s and have them play a role of facilitator. The intermediate organization helps communities in the watershed build a long-term plan based upon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ile undertaking sustainable development projects in the first place.

      • KCI등재

        Collective Action for tackling complexity: An Evolutionary Model for Watershed Management

        명성준( Sung-Jun Myung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08 국가정책연구 Vol.22 No.2

        Watershed management is a complex process by which a number of actors pursue their own interests in a shared space. Selfish behaviors ina watershed often cause the tragedy of the commons, which refers to collective failure. To avoid the collective failure requires collective action for the actors to coordinate their action for the pursuit of the survival of the whole watershed. In taking the system perspective, this article looks for the room for improvement in prior discussion and suggests the two: (1)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s capacity to cope with complexity and (2) the learning of the actors to adapt for the avoidance of collective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