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사고 기반 의료인문학 수업 개발과 의과대학생의 인식

        노재희,이애화,Jaehee Rho,Aehwa Lee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4 의학교육논단 Vol.26 No.1

        Amid the increasing interest in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medical humanities course that utilized design thinking to foster creative thinking, problem-solving, and collaboration skills that pre-medical students should possess. The course's efficacy was assessed by evaluating improvements in core design thinking skill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mong 83 first-year medical students after planning and implementing a design thinking course. The 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students along the course of the class were examined using the template analysis techniqu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study's primary findings showed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step-by-step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content utilizing design thinking and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in a class. Moreover, the course improved students' core design thinking skills effectively, and in a balanced way. These results illustrat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in medical school through a medical humanities cours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medical humanities course can help medical students showcase their abilities to collaborate and solve problems in the real world.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design thinking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design thinking-based courses.

      • KCI등재

        정렬법을 적용한 학생 스트레스 척도의 측정 동일성 검증 및 잠재평균 분석

        노재희(Jaehee Rho),류지훈(Ji Hoon Ry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20 교육평가연구 Vol.33 No.4

        학생 스트레스 검사와 같이 다양한 하위 모집단군에 걸쳐 이루어지는 검사에서 그 측정 도구가 타당한지 검증하는 것은 중요한 절차이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스트레스 척도가 지역규모 및 성별에 따라 측정 동일성 확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4차년도(2016년도) 데이터인 학생 6,773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측정 동일성을 검증하였다. 분석에는 다집단의 잠재평균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어 전통적 다집단 분석 방식의 한계를 보완한 정렬법(alignment method)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트레스 척도는 지역규모 및 성별에 따라 전체적으로 측정 동일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8문항 중 2문항에서 지역규모, 성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였다. 이는 해당 척도를 사용하여 학생의 지역규모 및 성별 간 스트레스를 비교함에 있어,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인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In tests that span a variety of subpopulations, such as the student stress test, it is an essential to verify that that the measurement tool is valid. This study used the response data of 6,773 students, the data of the 4th year(2016) in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3, in order to verify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student stress scale by region size and gender. In the analysis, the alignment method,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multi-group analysis method,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tent means of the multi-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scale satisfies the overall measurement invariance in groups of each region size, and gender.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2 of the 8 items in groups of each region size and gender. This means that some items requires more careful attention in interpretation when comparing the stress levels of students in relation to the region size and gender with this scale.

      • KCI등재

        컴퓨터 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문제양식, 과제복합도 수준에 따른 인지부하의 측정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노재희 ( Jaehee Rho ),조일현 ( Il-hyun Jo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구조에 따라 학습 설계를 위한 지침을 제공하는 인지부하 이론을 기반으로 컴퓨터 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문제양식과 과제복합도 수준에 따른 인지부하의 변이를 생리심리데이터 중 시각데이터를 활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인지부하가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84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기반 환경에서 문항을 풀이하는 동안 동공크기를 측정하였다. 문항은 총 여섯 문항으로 세 가지 문제양식과 두 가지 과제복합도 수준에 따라 공직적격성테스트(PSAT)의 기출 문항 일부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문제양식에 따라 측정한 인지부하 지표변수인 동공크기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가 문제양식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고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과제복합도에 따라 측정한 인지부하 지표변수인 동공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측정된 인지부하 지표변수는 학업성취도를 통계적으로 예측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생리 심리측정법을 통해 학습자의 인지부하를 객관적으로 측정하였으며 문제양식 간에 학습자의 인지부하 지표변수에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컴퓨터 기반 문제풀이 환경에서 과제복합도가 높은 문항의 인지부하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변수를 검증하였다. Based on Cognitive Load theory which provides guidelines for effective learning design regarding learner’s cognitive structure, this research employs the visual data from psycho-physiological data to show changes in the level cognitive load according to a problem-modality and task complexity, and to examine if the observed cognitive load can predict the academic achievement. To do this, there participated 84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the capital region of South Korea, and they each took one computer-based problem solving while their pupil responses were measured during the experiment. A total of 6 questions were asked and a portion of PSAT with three problem-modality and two levels of complexity were selected. The research showed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gnitive load index variables depending on the problem-modality.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different cognitive process takes place when a learner solve problems. Second,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in the cognitive load index variables in relation to the task complexity, and the measured cognitive load index variables did not predict the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has following significance that cognitive load of learners was measured objectively through psycho-physiological method and a difference in learners' cognitive load index variables exists depending on problem-modalities. Also, the index variables were verified to measure the cognitive load of items with high complexity in computer-based problem solving environment.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의 온라인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 양상에 대한 질적 연구

        강예지(Ye Ji Kang),노재희(Jaehee Rho),김도환(Do-Hw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최근 COVID-19로 인해 전면 온라인 수업 실시하게 된 의과대학 사례에 주목하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습이 어떤 자기주도적 양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 온라인 수업을 통해 교육과정을 이행한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의과대학 학생들은 변화된 학습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에게 적합한 물리적 환경을 새롭게 선택하고, 교수자가 업로드한 강의 동영상의 수강 순서를 자율적으로 배치하며 수업을 이수했다. 이 과정에서 방대한 학업량을 자랑하는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학습 일정을 자신의 학습 패턴에 맞춰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선호되는 부분 중 하나였다. 또한, 학생들은 온라인 동영상 재생과 관련한 반복, 배속, 멈춤 등의 기능, 인터넷을 사용한 정보 검색을 온라인 학습에 적극 사용하였다. 이러한 정보 검색은 때때로 학생 개인의 흥미와 관심이 있을 시 추가적인 심층 학습을 발생시켰다는 점에서, 온라인 수업은 공식 교육과정의 내용을 넘어선 확장된 학습의 기회를 주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강의식 수업을 기반으로 한 수업 설계, 의학지식 중심의 암기식 학습 양상을 보였던 기존의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습 특성들과는 다르게, 온라인 학습 상황 속에서 자기주도적으로 변화된 상황에 적응해나가며 수업을 이행하는 의과대학 학생들의 경험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는 향후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가 되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recent cases of medical schools implementing full-scale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and aims to analyze the asp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mong medica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on 12 students who followed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rough online classe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0. As a result, medical students adapted to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by selecting the best-fit learning environment for their studies, and autonomously arranging the video lectures the professors uploaded to fit their schedules. One of the most preferred aspects of this transition was that the medical students-who boast an intense academic workload-could now manage their study schedule to suit their learning patterns. Students also actively utilized the tools available on the online education system such as repeat, speed, stop, and internet searching for information. Such online information-seeking behavior while listening to online classes sometimes created additional in-depth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when their interests aligned with the course material. This means that online classes gave extended learning opportunities beyond the formal curriculum. These research findings are meaningful as they discuss th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adapting to the changes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 by leading self-directed study in an online education system, unlike the traditional lecture-based course design and memory-based learning. This study hopes to serve as a useful foundation for future improvements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에 대한 연구

        강예지(Ye Ji Kang),김미현(Mihyun Kim),노재희(Jaehee R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medical students who have attended the middle and high school out of Korea.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by in-depth interviewing with five students who lived and attended middle and high school abroad and entered the Korean medical school through a overseas students admission track. This study reveals that they were experiencing academic and emotional difficulties. Because of long stay abroad, they have difficulty in reading and writing with Korean language, in which lectures are given. Language issue led to academic difficulties. They take Korean language is their personal problem and try to solve by themselves with little help from others. In addition, they wanted to feel a sense of belonging. They try to become a part of classmates in medical school or form a peer group among similar returning students in university. By doing so, they try to adapt to Korean university cultur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foreign culture. They get most of cheers and support primarily from family. This study help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faced by returning college students in medical schools and developing medical school curriculum to reflect increasing diversity of students in medical schools. 본 연구는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이 대학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재외국민 특별전형으로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재학 중인 다섯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6월부터 8월까지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은 학업적 어려움과 정서적 어려움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학업적으로는 한국어 능력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특히 읽기, 어휘, 글쓰기 영역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한국 학생 에 비해 학업 역량이 뒤쳐진다는 인식을 가졌고, 한국 교육방식에 낯섦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국 대학생은 이 같은 어려움을 개인의 문제로 감내하고 스스로 해결하는 소극적 대처 양상을 보였다. 또한, 대학생활 초반에는 의과대학 공동체를 자 신과 분리하여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정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국내 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가족의 지지와 응원을 통해 위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은 점차 자기이해와 반성적 성찰, 학업과 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마인드를 통 해 귀속 집단에 적응하며 의과대학 학생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해 나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이 경험하는 대학생활에서의 어려움이 의과대학이라는 교육 환경 맥락 전체 속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음을 암시한다. 이 연구는 의과 대학 교육과정의 다양성을 보완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