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해안 갯벌 매립과 일상생활의 변화-인천 갯벌과 어촌계의 대응을 중심으로-

        노상호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7

        In this article, I aim to analyze how the modern state has changed everyday life for fishermen on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y reclaiming mud flats, especially as seen through the cases of five fishermen’s unions–Songdo, Sorae, Masian, Unbuk, and Kkeunmuri–in Incheon Cit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f Korea enacted a new law for reclaiming public water in 1924, but it prohibited local communities from participating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aking a form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colonial government systematized the top-down development of public water for the last of its rule. Fishermen and their community were, instead, forcefully reorganized into government-licensed unions. Although this colonial legacy of ‘developmental dictatorship’ was altered by the Pak Chung Hee administration in 1962, the top-down development continued in newborn South Korea. Nevertheless, local communities along the west coast, such as Port Sorae, were able to maintain their own lifestyles and utilized the development projects for their own causes.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was replaced by the new democratic government in 1987, but top-down mega construction projects continued on larger scales in Incheon. I argue in this article that fishermen’s unions, another colonial legacy, ironically function as a new focus of everyday politics in which local communities desperately attempt to minimize the impacts of urbanization. Similar to Michel de Certeau’s idea of everyday life, their folk traditions and lifestyles empower them to maintain their cultural identity vis-a-vis the urban environment. By analyzing their behavior and strategies as a case of ‘Docta ignorantia,’ I here claim that the folk tradition of the maritime community still remains strong at the local level as a way of protecting cultural identity in South Korea, which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for the last decades. 본 연구논문에서 필자는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갯벌의 매립과 개발을 주도한 근대국가와 어촌사회의 변화를 인천시 5개의 어촌계를 중심으로 역사학과 인류학의 학제간 연구방법을 통해서 고찰하였다. 갯벌의 매립을 제도화한 주체는 바로 근대국가로서 일본의 식민통치는 식민지 조선에서 바다와 갯벌의 개발을 결정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한을 정부에 부여한다. 1924년 8월 시행된 <조선공유수면매립령>은 갯벌 매립에 대한 지역민들의 의사표현을 허용하지 않았고 조선총독부는 어업조합을 중심으로 한 국가와 어민의 관계를 수직적 협력관계로 재편한다. 이러한 개발독재의 구조는 1962년 <공유수면매립법>이 밑으로부터의 의사표현을 허용하면서 개정되었지만 국가는 여전히 개발의 이익을 위해서 개발을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송도, 소래 등 인천시 어촌지역의 역사는 어촌사회가 반드시 개발독재의 계획이나 의도대로 변화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한국전쟁 이후 피난민들과 지역민들이 생존을 위해서 모여들면서 서해안에는 새로운 지역사회가 형성되었고 갯벌과 그 인접지역들은 독자적인 민속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다. 1987년 이후 서해안은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대규모로 개발되었지만 갯벌매립을 통한 도시화는 “전업”이라는 방식으로 어민들의 생활방식을 변화시키려 하였다. 그러나 소래, 송도, 마시안, 운북, 큰무리의 어촌계는 모두 자신들의 민속과 생활방식을 유지함으로써 개발과 도시화가 자신들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가능한 한 제어하려고 한다. 이처럼 일상생활(everyday life) 속에서 자신들의 문화를 유지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프랑스 철학자 미셸 데 세르토(Michel de Certeau)가 말하는 일상생활 속의 문화정치의 한 형태일 뿐만 아니라 오늘날 다문화주의의 한국적 의미와 과제를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기회가 된다. 따라서 갯벌에 대한 개발방식은 계속 변화해왔고 어촌계를 중심으로 한 어촌사회는 그 변화에 대응하였다. 예전에는 조합의 일원으로, 그리고 지금은 새로운 관광의 주체로서 자신들만의 삶의 방식을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건유우의 사양관리

        노상호 한국낙농육우협회 2001 낙농·육우 Vol.21 No.1

        건유우관리와 관련된 사항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수정일과 분만일을 정확히 기록한다. 2. 착유후기에 적절한 사료급여로 건유직전에 BCS를 3.5 수준에 맞춘다. 3. 건유기간은 소에 EK라 45$\~$60일 사이로 정한다. 4. 충분한 조사료와 분만시 적절한 신체상태유지를 위해 약간의 농후사료를 공급한다. 5. 광물질과 비타민을 충분히 공급한다. 6. 분만 3주전부터는 3$\~$6kg의 농후사료를 급여하

      • KCI등재

        Shifting Perceptions of Insects in the Late Chosŏn Period

        노상호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5 No.1

        In this paper, I examine the historical shift of Korean perceptions about insects that occurred in the late Chosŏn period. By analysing three specific cases of bees, moths, and hoppers, I argue that Korean knowledge of insects expanded its volume with the appearance of new consciousness about nature. Although Korean concepts of insects initially depended on Chinese books and Neo-Confucian natural philosophy, the eighteenth and early nineteenth century saw new voices of Koreans who perceived insects as the object of scientific research. The Chosŏn dynasty and its ruling ideology of Neo-Confucianism introduced the notion that humans and insects were inter-connected in the same realm of li. Moral philosophy not only instructed how humans could cultivate their moral integrity by watching virtuous insects but also encouraged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two. The philosophical fiction that insects could think and behave ethically nurtured early interest in insects, but some Korean intellectuals, most notably Yi Ik (1681-1763), Yi Pinghŏgak (1759-1824) and Yi Kyu-kyŏng (1788-?), realized the distance between moral philosophy and physical reality. Especially, Yi Kyu-kyŏng at-tempted to reform Korean knowledge of insects by using observation and empirical evidence. His realistic description of Korean insects reflected the intellectual efforts to relativize moral knowledge in the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fluenced by many Chinese thinkers such as Xu Guangqi (1562-1633) and Fang Yizhi (1611-1671), the Korean thinkers of the late Chosŏn period questioned how accurate knowledge of things could be found. Their discourses on the insects of Korea, therefore, give us a unique opportunity to see how Korean perceptions of nature trans-formed within their Confucian tradition on the eve of the modern era.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후기 곤충에 대한 지식이 어떠한 궤적을 통해서 변해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벌, 나방, 메뚜기를 사례로 삼아서 살펴봄으로써 조선후기 자연에 대한 과학적 지식의 발전이 성리학적 전통 속에서 형성된 자연관(自然觀)의 변화와 어떤 관련성을 갖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성리학의 ‘격물치지(格物致知)’의 방법론과 농상(農桑)을 중시하는 전통은 곤충을 중요한 담론의 대상으로 삼았지만 곤충에 대한 지식은 인물(人物)의 동질성을 전제로 하여 당위적 도덕률을 확인하는 것을 중요한 목적으로 삼았다. 곤충의 덕성(德性)과 양잠의 당위성은 인간으로 하여금 곤충을 관찰하고 연구하는 모티브가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곤충을 형이상학적 주체로 삼았기 때문에 곤충을 그 자체로 관찰하고 연구 못하는 결과를 낳았다. 조선후기 이익(李瀷)과 이규경(李圭景)은 곤충에 대한 실험적 글쓰기를 통해서 이러한 형이상학적 담론에서 벗어나서 곤충을 순수한 관찰과 탐구의 대상으로 삼으려 하였다. 조선 후기 박물학자들은 덕성(德性)과 재이관(災異觀)에서 한걸음 나아가서 조선에서 관찰로 습득한 곤충의 독특한 특성을 기록하고자 하였다. 서광계(徐光啓)와 방이지(方以智)의 영향을 받아서 이익과 이규경은 물(物)의 자체적 특성을 고찰함에 중국과 다른 조선의 곤충들에 대해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곤충에 대한 윤리적, 규범적 지식은 보다 정확하고 증명 가능한 과학적 지식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서 보이는 나나니벌, 야잠(野蠶), 벼멸구에 대한 발견적 보고는 성리학의 전통 속에서 보다 실증적인 방법을 통해서 한반도의 자연을 탐구하고자 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곤충담론은 근대과학의 전래 이전에 전통적 자연철학과 방법론의 한계를 뛰어넘고자 한 지적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40~50년대 ‘전시체제’와 국영전력사업체의 등장

        노상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7 한국문화연구 Vol.33 No.-

        In the 1940-1950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mained under the control of wartime state in colonial Korea and independent South Korea. The wartime regime created a strong notion and system that the state monopolized energy production and policy-making process, preventing any access of civilians and private firms. I would like to analyze the energy production and its policy during the long wartime period (from 1937 to 1953) by examining the formation and change of Korean Electric Power Company (Chosŏn chŏnŏp, KEPC) before and after the wars. So-called ‘reform bureaucrats’ of the Japanese wartime regime not only distrusted capitalist market economy, but also firmly believed that tight control and mobilization of critical resources were the key for the preparation and victory in modern ‘new-generation’ warfare. In colonial Korea, the KEPC was made by the state in 1943 to monopolize the energy production. The state’s control, however, did not end after WWII. In independent South Korea, the KEPC consistently demanded the state’s ownership over the electric power whereas there appeared critical voices and American pressure of demanding the privatization of energy industr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began to use the KEPC as de facto state enterprise for ‘recovery from the war’, ‘industrial development’, and ‘effective use of American aids’. In the 1950s, therefore, the KEPC extended its business and interest from hydroelectric power to thermal power and later showed strong interest in nuclear power. 한국의 전력사업(電力事業)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의 관리와 통제라는 원칙을 유지, 발전시켰다. 에너지의 생산과 배분은 시민들이나 사기업이 관여할 수 없는 국가적 사업이라는 인식과 제도가 20세기 중반 전쟁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전업주식회사(朝鮮電業株式會社)의 형성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1930년대 말부터 등장한 전시체제의 자원관리를 분석하였다. 소위 혁신관료라고 불리는 일제의 전시관료집단은 기존의 시장경제원칙을 불신하고 전쟁의 준비와 승리를 위한 자원관리, 동원체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였다. 그들은 자원과 산업의 개발이야말로 미래전의 승리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부분이라고 믿었고 결국 일제는 민유국영안이라는 전력의 국영화를 이루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낳은 전시자원관리는 해방 이후에도 계속 남한에서 존속하였다. 특히 조선전업은 지속적으로 전력국영화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거대국영기업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과 목소리는 미국 측의 민영화 요구와 함께 국영화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지만 한국전쟁 이후 전재복구, 산업개발, 미국원조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정부는 이미 조선전업을 사실상 ‘정부대행기구’로 활용하였다. 1950년대 조선전업은 수력과 화력발전의 복구, 확대를 주도하였고 나아가 원자력발전에도 상당한 관심과 지식을 축적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1940년대와 50년대 전력국영관리체제의 성립과 변화는 상당한 연속성을 보이며 에너지 정책과 개발과정이 갖고 있었던 폐쇄적 성격의 역사적 기원과 변화상을 잘 보여준다.

      • SCOPUSKCI등재

        Synthetic oviduct fluid(SOF)를 이용한 소 수정란의 배양에 관한 연구

        노상호,황우석,조충호,Roh, Sang-ho,Hwang, Woo-suk,Jo, Choong-ho 대한수의학회 1995 大韓獸醫學會誌 Vol.35 No.1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bovine oocytes matured in epidermal growth factor(EGF)-containing medium,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bovine embryos using synthetic oviduct fluid(SOF) and the effect of glucose on the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In experiment 1, oocytes, obtained from abattoir ovaries, were matured in EGF-containing medium for 24 hours, followed by exposure to Korean native cattle spermatozoa for 18 hours and cultured by utilizing co-culture system with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s(BOEC) in TCM199. In experiment 2, early bovine embryos were cultured in SOF with or without BOEC and compared with those in TCM199 with BOEC. In experiment 3, bovine embryo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glucose. Seven and ten day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developmental competence of embryos were evaluated. The rate of cleavage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EGF-containing maturation medium(70.0%) than in control(57.7%). The rates of development to morulae and blastocysts were 30.6% and 23.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rates of in vitro fertilized embryos to morulae and blastocysts cultured in SOF with BOEC(30.4%) and in TCM199 with BOEC(38.0%) were significantly(P<0.01) higher than cultured in SOF without BOEC(13.4%) at seven day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The rates of embryos to blastocysts cultured in SOF with BOEC(29.4%) and in TCM199 with BOEC(35.9%)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an cultured in SOF without BOEC(13.4%) at ten day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The rates of early embryos to morulae and blastocysts culture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glucose were 12.2% and 17.5% each ot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The results show that bovine oocytes matured in the presence of EGF can cleave better, SOF with BOEC can replace serum containing complex media, TCM199 with BOEC in bovine embryo culture and glucose have little effect on the culture of early bovine embryos.

      • KCI등재
      • 하악이부와 두개안면골격의 상관성에 관한 측모두부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노상호,이기수 慶熙大學校 齒科大學 1995 慶熙齒大論文集 Vol.17 No.2

        The configuration of mandibular symphysis is likely to be dependent upon the genetic predeterminants and/or compensatory adjustments onto functional demands. The interrelation of morphological distinctives of symphysis in conjunction to the craniofacial skeleton had been scarcely anecdotal, therefore, the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morphological modifications between the mandibular symphysis and craniofacial complex. Lateral cephalometric headfilms of 212 subjects were employed for the conventional measurements. The proportion of chin height against chin depth length was referred as chin ratio, then, Low Symphysis (LS) and High Symphysis (HS) groups were turned out by means of the chin ratio. These samples yielded 35 in LS and 35 in HS groups. The data per capi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 1.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in HS group manifested hyperdivergence and LS group showed hypodivergence. 2. Gonial angle increased as chin ratio increased and was highly correlated to the chin ratio. 3, The chin ratio presented high correlation to the vertical face height, especially in terms of the chin height to anterior face ,height and the chin depth to posterior face height. 4. The morphological configuration of chin was hardly correlated with hyoid bone 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