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이 전문적 도움추구에 미치는 영향

        이지원(Lee, Ji Won),남숙경(Nam, Suk Ky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남녀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정서표현 양가성과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개방(접근요인)과 자기은폐(회피요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러한 매개효과가 남녀 집단별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창원지역 중학교 3학년 남녀 청소년 43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과 전문적 도움추구 관계에서 자기개방의 매개효과는 여학생의 경우에만 나타나, 정서표현 양가성이 도움추구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개방을 통해서는 도움추구를 높여주는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은폐의 경우, 남녀모두 자기은폐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방어적 양가성이 도움추구에 직접적으로 혹은 자기은폐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남자의 경우 관계관여 적 양가성이 직접적 혹은 자기은폐를 통해 간접적으로 도움추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여자의 경우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자기은폐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도움추구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evaluat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self-concealment on the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fessional help-seeking behavior andthe differences of this effect between genders. For this study, 433 male and female third year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Changwon area particip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i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In terms o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alment, self-defensiveambivalence showed negative direct correlation with help-seeking behavior or indirect negative correlationthrough self-concealment for both gender. And male student showed the relationship-focused ambivalence and help-seeking behavior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while female students showed indirec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lationship-involved ambivalence and help-seeking behavior only through selfconcealment.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애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잠재프로파일 분석: SNS 중독경향성 및 자기대상 경험과의 관련성

        최현주 ( Hyunju Choi ),남숙경 ( Suk Kyung Na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건강한 자기애(HN), 방어적 자기애(DN),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을 규명하고, SNS 중독경향성과 자기대상 경험이 이러한 프로파일 분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학생 448명의 자료를 수집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한 자기애(HN), 방어적 자기애(DN), 소외에 대한 두려움(FoMO)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은 4개로 분류되었다. 이들은 HN-DN-FoMO가 모두 보통인 ‘평균집단’, HN은 높고 DN, FoMO는 낮은 ‘심리적 안정집단’, HN은 낮고 DN, FoMO는 높은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 HN은 보통이고 DN, FoMO는 높은 ‘소외불안-취약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네 집단은 SNS 중독경향성과 자기대성경험에서 차이가 있었다. SNS 중독경향성의 경우,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과 소외불안-취약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평균집단, 심리적 안정집단 순서였다. 자기대상경험의 경우, 심리적 안정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평균집단과 소외불안-취약집단이었다. 병리적 자기애-취약집단의 평균은 가장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profiles consisting of healthy narcissism (HN), defensive narcissism (DN), and Fear of Missing-Out (FoMO)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object experience according to profiles. A total of 448 college students from Busan, Ulsan, and Gyeo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optimal profiles: average group(AG), stable group(SG), alienation anxiety vulnerable group(AAVG), and pathological narcissistic vulnerable group(PNVG). The results from ANOVA showed that the SNS addiction tendency was the highest in PNVG and AAVG, while the lowest in SG. The selfobject experience was the highest in SG, while the lowest in PNVG.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학생 상담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인식 수준과 요구도 분석

        서유진 ( You Jin Seo ),남숙경 ( Suk Kyung Na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3

        통합교육을 제공받는 장애학생 수가 증가됨에 따라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상담 제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총 6개의 영역, 36개의 세부역할로 분류하고, 초등학교 통합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장애학생 상담을 위한 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의 인식수준을 살펴보았다. 또한 Borich의 요구도 공식으로 교사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간 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총 6개영역에 포함된 36개 세부역할의 역할 필요도 인식 수준은 수행역량 인식 수준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고, 36개의 세부역할 중 32개 세부역할의 역할 필요도와 수행역량 간 인식 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5이상)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로 ``집단 따돌림, 성폭력, 알코올, 약물, 학업중단 등의 문제예방과 해결을 위한 상담``, ``장애학생 평가와 심리검사 실시와 해석``, ``장애학생의 (조)부모를 위한 상담``,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자기옹호 기술, 독립성 습득을 위한 상담``의 역할은 요구도 순위가 높게 나타나 교사의 수행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가장 많이 요구되는 역할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통합교사의 장애학생 상담수행 능력을 계발하고, 장애학생 상담 활성화를 통해 성공적인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한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As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ducation hav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counseling for those students for social inclusion has been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eacher``s roles for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6 areas and 32 specific roles, and surveyed with 168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the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of schoo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lso,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require- and presentperformance levels by using the need assessment formula.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 all of the 36 roles, the teachers`` perceptions of require-performance levels were higher than present-performance levels and for 32 out of the 36 rol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ir require- and present- performance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or more). Also, the levels of need assessment regarding counseling for bullying, alcohol, drug, and drop-out, implementing assessment for disabilities and psychological problems, counseling for (grand)parents and siblings, counseling for problem-solving, counseling for self-advocacy and independence were pretty high in each area for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teacher``s competency of providing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moreover, successful social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난독증을 자각하는 대학생의 학업 및 심리정서적 특징

        양민화(Minwha Yang),김보배(Bobae Kim),남숙경(Suk Kyung Nam) 한국학습장애학회 2021 학습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난독증을 자각하는 대학생의 학업적 특징 및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들의 성공적인 성인기 지원 방안을 제언하고자 진행된 탐색적 연구이다. 이에 난독증을 자각하는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읽기, 쓰기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4명을 개별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읽기, 쓰기 검사결과는 강/약점 및 특징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속적 비교 분석법을 활용하여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읽기이해에 약점이 있는 프로파일을 보인 그룹과 단어읽기 또는 읽기유창성 영역에 약점이 있는 프로파일을 보인 그룹이 관찰되었다. 이 중 전자의 그룹은 듣기이해에서, 후자의 그룹은 자모지식과 빠른 자동 이름대기에서 상대적인 약점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기본종성을 철자하는 것을 어려워하였으며, 특히 폐쇄음군 내에서의 오류와 울림소리군 내에서의 오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 면담에서는 부족한 읽기이해 능력과 저조한 성적으로 학업적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하였고, 이러한 어려움은 학창 시절과 더불어 대학생인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고 하였다. 한편, 이들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으며 반복 학습, 암기 전략 등 본인의 강점에 근거한 전략을 활용하여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왕따 문제 등 대인관계에서의 갈등, 낮은 자존감, 심한 우울감으로 인한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을 토로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심리정서적 어려움에 대해서는 전략적 대응이 전반적으로 미흡해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난독증 대학생들은 학습적,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고 극복 방법에 대한 필요성 역시 인지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난독증 대학생을 위한 지원 내용과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yslexia and suggests supportive measures to contribute to success in their adult life. We conducted reading and writing tests on seven college students who were aware of dyslexia, and four of them were invited to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from the reading and writing tests to identify their strengths, weaknesses, and characteristics. Transcribed data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via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es on the reading ability, the study identified a group with weakness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another group with weakness in word reading or reading fluency. The first group also exhibited relative weakness in listening comprehension, whereas the latter group displayed weakness in alphabetical knowledge and rapid auto naming.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iculty in spelling the final consonant in words; in particular, high-error frequencies were observed in the closed consonant group and the ringing sound group.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exhibited academic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which resulted in low grades and, thus, contradicted their effort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such difficulties have persisted since high school. Conversely,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were exerting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ies using their strengths, such as repetitive learning and memorization strategies.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pointed out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ch as issues of bullying,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low levels of self-esteem and severe depression. In summary, the results indicate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dyslexia were aware of their academic,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nd recognized the need for a method to overcome them. This finding suggests that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with dyslexia overcome their experienced difficulties and to realize success as adults.

      • KCI등재

        계획된 우연기술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김정은(Jeong-eun Kim),김보람(Boram Kim),이민영(Minyoung Lee),남숙경(Suk Kyung Nam)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예기치 못한 사건들이 자신의 진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실제 진로와 관련하여 적용할 수 있는 계획된 우연기술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계획된 우연을 주제로 한 관련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리하여 향후 후속 연구들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문헌 검색엔진을 통해 2010년 이후 국내 학위 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계획된 우연기술에 관련된 논문 검색이 이루어졌고, 최종적으로 96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대상 측면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주로 설문조사를 활용한 양적 연구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연구주제를 분석해보면, 계획된 우연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으로 개인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이 있었으며, 계획된 우연기술의 영향으로 인한 결과요인으로는 진로적응 및 진로행동과 같이 진로와 관련된 적응행동변인들이 많이 활용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review and organiz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lanned happenstance, which positively affects the career path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nexpected events in the rapidly changing uncertainty of modern society,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follow-up studies. To this end, the domestic literature search engine has searched data related to the planned happenstance published in domestic thesis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since 2010. Finally, 96 articles were included, and trends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methods, and content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y mainly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more quantitative research using the survey has been published. In addition, most studies used a planned happenstance career inventory (PHCI). In content analysis, pers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a planned happenstance skill. In addition, many career-related adaptation behavior variables (i.e., career adaptation, career behavior) were 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by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