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staglandin A₂-induced Apoptosis is Not Inhibited by Heme Oygenase-1 in U2OS Cells

        Kyoung-Won Ko(고경원),Sun-Young Lee(이선영),Ji-Hyun Ahn(안지현),Jaetaek Kim(재택),In-Kyung Kim(인경),Ho-Shik Kim(김호식)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Prostaglandin A₂ (PGA₂)는 사람 골육종 세포인 U2OS 세포주에서 apoptosis와 heme oxygenase (HO)-1의 발현을 함께 유도하였다. PGA₂에 의한 apoptosis는 HO-1의 과도한 발현이나 HO-1에 대한 small interfering RNA에 의한 발현저하에 의하여 변동되지 않았으나 H₂O₂에 의한 세포사망은 HO-1의 발현 수준에 반비례하여 변동되었다. 또한 thiol antioxidant인 N-acetyl-L-cysteine (NAC)은 PGA₂에 의한 세포사망과 HO-1의 발현 증가를 모두 차단하였지만, non-thiol antioxidant인 butylated hydroxyanisole (BHA)과 ascorbic acid는 세포사망과 HO-1의 발현 유도를 차단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PGA₂는 산화성 손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PGA₂의 thiol-reactivity에 의하여 apoptosis와 HO-1의 발현을 유도하며, HO-1의 발현은 PGA₂에 의한 apoptosis와는 독립적인 현상이거나 기능적으로 apoptosis 유도의 하부에 위치하고 apoptosis의 진행에는 기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Prostaglandin A₂ (PGA₂), one of cyclopentenone PGs, induced both apoptosis and heme oxygenase (HO)-1 expression in U2OS cells. PGA₂-induced apoptosis was not perturbed by either over-expression or knock-down of HO-1, whereas H₂O₂-induced cell death was inversely modulated by the expression level of HO-1. In addition, N-acetyl-L-cysteine (NAC), a thiol antioxidant, blocked both apoptosis and HO-1 expression induced by PGA₂. But, non-thiol antioxidants like butylated hydorxyanisole (BHA) and ascorbic acid did not block either apoptosis or HO-1-induc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GA₂ induces both apoptosis and HO-1 expression, which are critically related to the thiol-reactivity of PGA₂, but not oxidative stress, and HO-1 expression may be independent or functionally located downstream of apoptosis by PGA₂ without contribution to apoptosis progression.

      • KCI등재
      • 한국산 거미의 종 목록(2015년도 개정)

        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이준기(Jun Gi Lee),이준호(Jun Ho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1

        한국산 거미 목록을 최근 분류체계와 새롭게 추가된 분류군을 총망라하여 재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거미류의 수는 총 48과 281속 79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전 김과 김(2010)의 발표보다 2과 16속 69종이 많았다. 이전의 김과 김(2010)의 목록에서 이용된 분류체계와 비교해 크게 변동된 사항으로는 기존의 코리나거미과(Family Corinnidae)에 속하는 3개 속(Genus Cetonana 괴물거미속(개칭), Genus Paratrachelas 어리괭이거미속, Genus Trachelas 괭이거미속)과 2개 속(Genus Orthobula 십자삼지거미속, Genus Phrurolithus 도사거미속)이 각각 괭이거미과(Family Trachelidae)(신칭)와 도사거미과 (Family Phrurolithidae)(신칭)로 분리, 신설되었으며(Ramírez, 2014), 밭고랑거미과(Family Liocranidae)의 족제비거미속(Genus Itatsina)이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의 1속(Genus Prochora)에 하위 동종이명(synonymy)으로 편입됨(Bosselaers & Jocqué, 2013)에 따라 Prochora 속의 국명이 족제비거미속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오소리거미과(Family Zoridae)가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에 하위 동종이명으로 편입되었으며(Ramírez, 2014), 기존에 미투기거미과에 속해 있던 1속(Genus Cheiracanthium 어리염낭거미속)이 미투기거미과로부터 분리, 신설된 장다리염낭거미과(Family Eutichuridae)(신칭)로 분류되었다(Ramírez, 2014). 그 밖에 속, 종의 단위에서 분류군 신설, 동종이명, 오동정 등의 분류 체계 변동 사항이 있었으며, 이를 본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근래에 추가된 2종의 무자격명(Nomen nudum) 처리된 종과,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집(2012)에 기재되었으나 논문으로 정식 발표되지 않은 미기록종 22종을 별도로 기술하였다. 한국산 거미류는 접시거미과(101종), 꼬마거미과(84종), 왕거미과(79종), 깡충거미과(73종), 그리고 늑대거미과(57종) 이하 순으로 종수가 많았으며, 위의 5과가 전체 종수의 약 50%(394종)을 차지하였다. 전체 795종 중 한국산 고유종은 173종(21.8%)이었고, 일본산 거미류와 512종(64.4%), 중국산과 497종(62.5%), 러시아산과 360종(45.3%), 대만산과 103종(13.1%) 동일종이었다. 또한, 구북구산(Palearctic region)이 80종(10%), 전북구산(Holarctic region)이 37종(4.7%), 그리고 세계공통종(Cosmopolitan species)이 13종(1.6%)으로 분석되었다. A revised new-version of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cluding recent systematic systems and new taxa, is presented in this paper. According to additional references in the last 5 years, a total of 795 species of 281 genera belonging to 48 families were checked in Korean spider fauna, and there are 69 species of 16 genera belonging to 2 families more than the previous check list(Kim & Kim, 2010). Typical examples of some changes in systematic systems of Korean spider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heck list(Kim & Kim, 2010) are as follows : Two families, the family Trachelidae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previously in the family Corinnidae are raised to family status(by Ramírez, 2014). In Korea, the family Trachelidae includes 3 genera(Gen. Cetonana, Gen. Paratrachelas, Gen. Trachelas)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includes 2 genera(Gen. Orthobula, Gen. Phrurolithus); The family Eutichuridae is raised to family status, which was previously in the family Miturgidae(by Ramírez, 2014). There is one genus(Gen. Cheiracanthium) in the family Eutichuridae in Korea; The family Zoridae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family Miturgidae(by Ramírez, 2014); The genus Itatsina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genus Prochora in the family Miturgidae(Bosselaers & Jocqué, 2013). One Pisaurid species(Dolomedes jirisanensis) and a Sparassid genus(Gen. Joopilia, Joopilia joopilis) are nomina nuda. Additionally, There are 22 unrecorded species, which was found by 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2) but was not described as papers, check list of them is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 this paper. Linyphiidae(101 sp.), Theridiidae(84 sp.), Araneidae(79 sp.), Salticidae(73 sp.), and Lycosidae(57 sp.) spiders are the most in the Korean spider fauna, and species in that 5 families formed about 50%(394 sp.) of the whole Korean spiders. In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Korean spider fauna was found containing 80 Pa, 37 Holarctic, 13 Co, and 173 Korean endemic species. And comparison with faunas of neighboring countries, 512 species of Korean spiders also live in Japan(64.4%), 497 species live in C(62.5%), 360 species live in Russia(45.3%) and 103 species live in Taiwan(13.1%).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전문대학 사회체육과 교육과정의 운영방향

        김호민(Ho Min Kim) 한국사회체육학회 1996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 No.-

        After anyalizing the present state of the course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s of sports and leisure (theory & pratice) of 16 junior collegs, I came to 3 conclusions. 1.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rogram, junior colleges should develop their own programs rather than follow those of 4 year colleges. 2. According to the location, gender and field of sport junior colleges should develop programs they can strengthen and develop(independently) 3. A specialized, discriminatory program should be stratigically titled to reconsider the phase of the junior colleges. The sports and leisure departments of junior college should be recon-sidered and sports and leisure specialists wanted by society should be fostered and trained.

      • 카메라 머신러닝을 활용한 산불 인식 모니터링 시스템

        단(Dan Kim),조수빈(Su-Bin Jo),도여락(Yeo-Rak Do),준기(Jun-Ki Kim),예희(Ye-Hee Kim),가현(Ga-Hyeon Kim),남호(Nam-Ho Kim) 한국정보통신학회 2023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7 No.1

        국토의 70% 이상이 산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는 매년 산불로 인해 산림 및 인명 피해, 경제적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혁신 기술을 접목하여 화재 예방의 효율성을 높이는 스마트 산불 관리 시스템 개발이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 산불 관리 시스템은 지능형 카메라를 통해 산불 발생을 확인하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한 센서 모듈을 통해 가스 및 미세먼지 농도를 모니터링하여 빠른 화재 진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머신러닝을 통한 산불 인식과 다양한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산불 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More than 70% of the land in Korea is made up of mountains, and forest fire continues to cause damage to forest, human life, and economic losses every year. Accordingly, a smart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being increased the efficiency of preventing fire by applying various innovative technologies is gaining attention. The smart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checks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using intelligent cameras and monitor factors such as gas and fine dust concentrations through sensor modules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This system enables extinguish fire quickly. In this paper, we present a smart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that monitors forest fire recognition through camera machine learning and various sensor data.

      • KCI등재

        1897년 광양군(光陽郡) 이학조(李學祚) 검안(檢案)을 통해 본 동학농민운동의 이면

        김호 ( Kim Ho ) 한국고문서학회 2017 古文書硏究 Vol.50 No.-

        본 연구는 <이학조 검안>자료를 통해 19세기말 정의로운 폭력과 그 한계를 논의하고 있다. 전남 광양의 동학교인 이학조는 1894년 광양군의 양반 조용하의 시신에 총포를 쏘아댔다. 조용하가 자신의 동료 유수덕을 체포하여 서울로 압송한데 대한 복수였다. 시신에 총을 쏘는 행위는 당시의 유교적 가치관에 반한 차마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에 조용하의 아들 조윤태는 아버지의 복수를 다짐했고 드디어 1897년 이학조를 체포하여 구타 살해했다. 그는 자신의 살인을 <인정과 도리에 비추어 당연한 일>이라고 항변했다. 시신을 훼손한 `차마할 수 없는 일(不忍人之心)`을 저지른 순간 동학농민군의 <거의(擧義)>는 힘을 잃고 말았다. 동학이 민중적 헤게모니의 맹아를 보였던 이유는 그것이 기왕의 지배이데올로기가 강조하던 `인간의 도리`를 선취하고 이를 통해 지배이데올로기에 맞섰기 때문이었다. 시신에 총을 쏘는 행위는 유교의 세속화가 진행되었던 19세기말 인정과 도리를 넘어선 부정의의 폭력일 뿐이었다. 과연 의로운 폭력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조윤태 역시 아버지의 시신을 훼손한 이학조를 재차 복수 살해하면서 의로운 폭력을 내세웠다. 정부는 법으로는 살인을 허용할 수 없었지만, 도리와 인정에 비추어 사형 대신 `장60`의 처벌을 조윤태에게 내렸다. 19세기말 조선에는 인간의 도리와 인정에 부합한다고 주장되는 수많은 폭력들이 난무했다. 폭력에 앞장선 이들은 <차마할 수 없는 모욕>에 분노하면서 스스로 <차마할 수 없는 폭력>의 경계를 넘어서고 있었다. This study is discussing about the righteous violence and its limit in 19th century through Lee Hakjo Autopsy Report. A follower of Donghak, Lee Hakjo, shot the gun to the corpse of Cho Yongha, who was a yangban of Gwangyang county. It was revenge for arresting his colleague Yu Soodeok and transporting him to Seoul, Uigeumbu. Firing on corpse was against Confucian values at that time. Son of Cho Yongha, Cho Yoontae pledged himself to his father`s revenge, and finally beat Lee Hakjo to death in 1897. He remonstrated that his murder was a matter of course in compassion[不忍人之心] and duty. At the moment they damaged the body, which couldn`t` be borne, Donghak`s uprising-for justice lost its power. The reason Donghak showed the sprout of popular hegemony was they preempted `human duty`, which the existing ruling ideology has emphasized, and stood against it. Firing on corpse was just a violence of injustice off the compassion and duty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secularization of Confucianism was in progress. Cho Yoontae also asserted righteous violence of his reprisal murder of Lee Hakjo. The government couldn`t allow murder in point of law, but sentenced 60 lashes instead of death penalty in view of benevolence. In late 19th century Joseon, violence which claimed to be justice was rampant. Raging against an intolerable insult, the people themselves who took the lead of violence exceeded the boundary of intolerable violence.

      • KCI등재

        조선초기 『의옥집(疑獄集)』 간행과 ‘무원(無冤)’의 의지

        김호 ( Kim Ho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중국 五代에 간행되었던 『疑獄集』은 1418년에 조선에서 復刊되었다. 조선초기의 위정자들은 이 책을 통해 당시 조선의 의옥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의옥은 滯獄으로 인한 문제뿐 아니라 ‘의옥은 減刑한다’는 피의자 보호의 법리 때문에 도리어 억울한 피해자를 만들기도 했다. 『의옥집』에는 60여 조항에 달하는 의옥 해결 사례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강조된 의옥 해결의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관리들의 기지가 중요하다. 속임수에 가까운 방법도 동원되었지만 범인을 잡으려는 의지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둘째, 관리의 섬세한 주의 및 관찰의 중요성이다. 『의옥집』의 저자는 五感을 모두 활용한 방법을 소개하고 위협이나 고문 없는 수사를 강조했다. 특히 과학적인 증거 수집과 추론 능력을 중시했다. 셋째, 過失의 경우 감형하고 故意 범죄는 엄형할 것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재량을 통한 ‘판결의 時中’이야말로 가장 중요하면서 도달하기 어려운 경지였다. 『의옥집』의 저자는 법의 적용 [擬律]은 율문의 입법취지를 고려한 균형 잡힌 재량 과정임을 강조했다. 요컨대 『의옥집』은 ‘無冤’을 향한 仁政의 의지가 돋보이는 저작이다. 조선초 『의옥집』의 간행을 통해 당시 조선정부가 취한 ‘刑政의 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Yiyuji(疑獄集) was a book that had originally been published during the ‘Five-dynasties’ period(“五代, O-dae”) of China, and was republished in Joseon in the year of 1418. By circulating this book, leaders of Joseon in the dynasty’s early days intended to bring resolutions to the problem that was being caused by questionable rulings as well as disputed terms of imprisonment. Cases without undisputed deliberations and solid closure led to prolonged incarcerations[滯獄], while the notion of ‘sentences should be reduced in case of questionable cases,’ which was originally meant to protect defendants, sometimes produced other kinds of victims unintentionally and needless to say unfairly. In Yiyuji, there are almost 60 examples of ‘solving questionable cases.’ And there are certain operative principles and directives as well. First, the officials in charge were asked to be innovative and bold. They were encouraged to be determined in catching the perpetrator, but were also told to-if needed-sometimes resort to methods that would border upon no less than trickery. Second, they were asked to observe meticulously. Author of Yiyuji made an introduction to methods utilizing all five senses(五感),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an investigation that would not employ threatening or torture. The author also placed special importance upon scientific investigation, careful collection of evidences and deductive reasoning too. Third, it was recommended that in case of offenses that were caused accidently or by fault should be sentenced to lesser punishments, while intentional crimes should be met with gravest consequences. And fourth, the “ruler’s discretion” is commented upon as well. The author of Yiyuji clearly stated that the application of legal clauses[擬律] is actually a process of deliberating on a matter presented and making a decision or choice based upon balanced interpretation of the law. In short, Yiyuji was a publication that clearly projected the authorities’ intention to establish a ‘benevolent governance’[仁政] by achieving the state of ‘nobody involved in a case should be left frustrated over the ruling[無冤].’ The fact itself that the Joseon authorities decided to republish the book shows us what kind of penal administration the Joseon government was aiming for.

      • KCI등재

        몽골 촉트체치 지역 동 산출지 예비조사결과

        인준(In Joon Kim),이재호(Jae Ho Lee),류충렬(Chung-Ryul Ryoo),이범한(Bum-Han Lee),진광민(Kwang Min Jin),오트곤-에르덴 다바수(Otgon-Erdene Davaasuren),허철호(Chul-Ho Heo),남형태(Hyeong Tae Nam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 자원환경지질 Vol.50 No.4

        촉트체치 지역은 남고비에 위치하며 석탄기 후기에서 페름기 초기에 관입한 흑운모 화강암 중 일부가 반암이 관입 하면서 알카리 화강암화 된 부분과 관련된 동 광상이다. 말라카이트가 집중적으로 산출되는 지역은 녹니석, 녹렴석으로 변질된 프로필리틱 변질대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격자지구화학탐사와 연장부 조사 결과 말라카이트가 산출되는 곳은 30개 지점으로 휴대용 XRF로 측정한 동함량은 1.080~18.300%로 나타났으며, 화학분석 결과 동함량은 13개 지점에서 각각 1.080%~32.900로 높게 나타났다. X-선 회전 분석결과와 현미경 관찰결과 동광물은 말라카이트가 주이며, 남동석, 퍼민제타이트, 황철석과 황동석 등이 가끔 산출되며, 그 외에 은 광물인 능홍은석이 산출된다. 또한 열수변질 광물인 딕카이트가 산출되며, 변질산물인 방해석, 녹니석, 녹염석 등도 산출된다. 광화작용은 반암관입 후에 남은 잔류마그마에서 열수용액이 올라오면서 반암 주변 일부 화강암과 정단층 상반부에만 선택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사료된다 Tsogttsetsii area, an intrusive complex associated with Cu mineralization, is located in the South Gobi, Mongolia. We performed the cross geochemical and extended exploration survey in Tsogttsetsii area. Cu mineralization in Tsogttsetsii area is porphyry Cu type related with alkali granite intruded in Late Carboniferous to Early Permian. In the concentrated occurring to malachite appears extensively prophylitic alteration zone having a chlorite and epidote. As results of the survey, Cu contents of potable XRF and of chemical composition for altered rocks ranges 1.08 to 18.3% in the 30 points and 1.08 to 32.9% in the 13 points, respectively. Ore minerals identified in XRD analysis and polarizing microscope that samples of copper oxides were composed mainly of malachite, azurite, permingeatite and cuprite and the other minerals are pyrite, chalcopyrite, pyrargyrite, dickite, calcite, chlorite and epidote. Mineralization can be considered occurring to selectively some granite of the surrounding aplite and faults in the only upper part coming up the hydrothermal solution of the remaining residual magma after the aplite intr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