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여성 ACOA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김혜련(Kim Hae-Ryun),전선영(Jeon Sun-Young),김정희(Kim Jung-Hee)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성인자녀들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관련이 있는 변수들에 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즉, 아버지를 알코올 중독자로 둔 여성 ACOA들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과 가족기능, 부모와의 애착,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는 463명의 여대생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에 160명이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이루어졌다.<br/>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알코올 중독자 선별척도, 부모와의 애착 척도, 생활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Beck의 우울 척도, 가족환경 척도 등이 조사되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이용한 경로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심리사회적 적응과 가족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은 부모와의 애착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뿐만 아니라 심리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가족기능은 부모와의 애착과 심리사회적 적응, 구체적으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에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의 애착은 가족기능과 심리사회적 적응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유무는 여성 ACOA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버지의 알코올 중독 변수로만 여성 ACOA의 적응에서의 어려움을 설명하려는 가정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아진다. 마지막으로 알코올 중독자를 아버지로 둔 여성 ACOA들에 관한 임상적 함의와 이론적 함의들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urther understanding of variables, besides father's alcoholism, which relates to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ADAF(adult daughters of alcoholic father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br/> alcoholism, family functioning, parental attachment and the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the ADAF. From a larger sample of 463 female college students, 160 ADAF and a matched group of non-ADAF were identifi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is survey was conducted in Seoul and Gyungi-do area.<br/>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Korean Version of 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elf-esteem",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Family Environment Scale". <br/> Path analyses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 Findings indicated that father's alcoholism had no direct effect on both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the ADAF and the family functioning. But father's alcoholism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al attachment. Family functioning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attachment to parents as well as psychosocial adjustment. Finally family functioning is important cause for parental attach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specifically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utcomes only. Therefore parental attachment was function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psychosocial adjustment. <br/>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father's alcoholism did not predict outcome.<br/> We need to reconsider the assumption that direct link exists between adult adjustment difficulties and the presence of father's alcoholism. Implications for clinical and theoretical work with ADAF are discussed.

      • KCI등재

        알코올의존자의 초기 도움요청에서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김혜련(Kim, Hae Ryun),류지수(Ryu, Ji Su)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1

        본 연구는 알코올의존자의 도움요청에 영향을 미치는 유인 요인과 음주 관련 특성 그리고 그에 따른 성별 차이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알코올상담센터와 알코올의존자 사회복귀시설, 거주시설, 알코올 병동, 정신과 병원 등의 58개 기관으로부터 수거된 설문지 중 처음으로 음주 문제로 도움을 요청한 알코올의존자 153(102명의 남성 알코올의존자, 51명의 여성 알코올의존자)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성별 차이를 보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남성 알코올의존자의 도움요청 지연기간이 여성 알코올의존자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2) 여성 알고올의존자는 남성 알코올의존자에 비해 우울과 인생의 무의미함을 현재 문제로 보고 하였으며, (3) 남성 알코올의존자는 여성 알코올의존자에 비해 성생활 문제, 재정적 문제, 실업 등을 현재 문제로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 차이를 고려한 알코올의존자를 위한 서비스로 여성 알코올의존자에 대한 집중적인 초기 서비스의 제공, 여성 알코올의존자 개입 시 음주 문제 이전에 `우울`, `인생의 무의미함`에 초점을 둔 서비스의 제공, 남성 알코올의존자 개입 시 과도한 음주로 인한 문제인 `성생활 문제`, `실업`, `재정적 문제` 등의 이슈를 고려한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였다. 또한 서비스 제공에서 가족력과 배우자의 음주 문제인식 등을 포함할 것을 강조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gender types of alcohol dependents differentiate the alcohol-related characteristics and factors that influence help-seeking for drinking problems. The participants of interest were narrowed down to alcohol dependents who have never attended the clinic before. The sample of 153 participants (102 male and 51 female participants) was collected with support of 58 institutions such as alcohol counselling centers,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and residential centers for alcoholics, alcohol hospitals and mental hospital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1) male participants tended to take longer delay of help-seeking for drinking problems than female participants, (2) female participants reported depression and meaninglessness of life as their current problems more than male participants, (3) male participants reported troubles in sexual activities, finance and employment as their current problems more than female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services for alcohol dependent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Intensive service for female alcohol dependents in their early stage, service focusing on depression and meaninglessness of life for female alcohol dependents, and service considering sexual activity problems, financial and employment problems for male alcohol dependents were suggested. Also we emphasized to include family history of the alcohol dependents and screening of drinking problems of the spouse in the servi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부모의 알코올 중독 여부에 따른 자녀역할과 청소년 자녀의 내면화 문제와의 관계

        김혜련(Hae Ryun Kim),정윤경(Yun Kyung Chung),박수경(Soo Kyung Par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알코올 중독 여부에 따라 자녀역할과 청소년의 내면화 문제가 달라질 수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중·고등학생 2.803명이며 설문조사는 자기보고식으로 실시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자녀역할과 내면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영웅 역할은 우울·불안, 위축, 신체화 증상, 자존감 등 모든 내면화 문제들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으며, 희생양 역할과 잊혀진 아이 역할은 우울·불안, 위축, 신체화 증상과는 정적인 관계가, 자존심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마스코트 역할은 위축과는 부적인 관계가, 자존감과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마스코트 역할과 잊혀진 아이의 역할이 내면화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의 알코올 중독 여부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마스코트 역할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강한 것으로 나타났던 반면 마스코트 역할이 자존감에 미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잊혀진 아이 역할은 부모가 알코올 중독일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존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반면 영웅 역할과 희생양 역할은 청소년의 내면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문제를 개입할 경우 가족 내에서의 자녀역할 개념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roles and internalizing problems among school based adolescents in Korea and to explore whether parental alcoholism moder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roles on internalizing problems. Participants were 2,803 adolescents recruited from 22 high schools in Seoul City. To select a sample, we divided Seoul city into four areas and selected randomly two or three schools in each area. Slightly over half (58.5%) of the sample was male. In order to assess parental alcoholism we used the CAST-K. Children`s roles were assessed by Children`s Role Inventory and divided into four types, i. e. hero, mascot, scapegoat, and lost child (Potter and Williams, 1991). For internalizing problems we used K-YSR and Self-Esteem of Rosenberg(1965).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uggested that hero, scapegoat, lost children`s roles increased the level of anxious/depressed, withdrawn, somatic complaints among participants while mascot role decreased the level of withdrawn and increased on self-esteem. Parental alcoholism moderated negative impacts of mascot role on somatic complaints while parental alcoholism moderated positive effects of mascot role on self esteem. Parental alcoholism moderated negative impacts of lost child role on self esteem.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oles and differences between COAs and non-COAs when they develop intervention program for internalizing problems among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혜련(Hae Ryun Kim),박수경(Soo Kyung Park),김혜성(Hae Sung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0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5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의 발생과 관련 변수를 살펴보고, 각각의 집단에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대한 개입 시 고려해야 할 함의를 모색해보는 데 목적을 둔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 2,795명을 대상으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과 관련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여자 청소년의 34%, 남자 청소년의 15.3%가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여자청소년의 경우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약물을 남용할 가능성이 있을수록, 우울하고 불안할수록, 자신의 체중에 만족하지 않을수록 그리고 친구들이 구체적인 외모에 대하여 비판할수록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자청소년의 경우는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우울하고 불안할수록, 자신의 체중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을 보일 확률이 높았다. 흥미로운 연구결과는 주관적인 경제적 상태와 친구와의 대화는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여자 청소년의 혼란스러운 식이행동에 친구로부터의 외모에 대한 비판이 영향을 미친 반면 남자 청소년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여자 청소년이 외모문화로부터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는 고등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혼란스러운 식이행동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mong school based adolescents and gender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appearance culture factors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e sample consisted of 2,795 adolescents for grade 7 to 12 living in Seoul. Results showed that 34% of female and 15.3% of male met the criteria of the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hich scored 3 more on the scal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or female adolescents, grade, weight satisfaction, risk for substance abuse, depression/anxiety, and appear criticism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while for male adolescents, grade, weight satisfaction, and depression/anxiety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s. Thus,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need to be aware of the critical nature of adolescents` disordered eating behaviors and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this growing social concern. Futhermore, school-based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s a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prevent their high risk-taking behaviors.

      • KCI등재

        직장인 음주와 직무수행과의 관계

        김혜련(Hae-Ryun Kim),박수경(Soo-Kyung Park),이은진(Eun-Ji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직장인 음주 연구들은 ‘근무시간 외 음주’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근무시간 중 음주’와 직무수행과의 관계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 음주에 ‘근무시간 외 음주’ 뿐만 아니라 ‘근무시간 중 음주’에도 주목하고 직무수행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N구의 보건복지 관련기관 종사자 577명이다. 연구결과, 지난 한 달 동안 근무시간 중에 음주를 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 대상자의 49.3%였고, 대부분(48.2%)이 음주회식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간 중 음주’와 ‘근무시간 외 음주’와 직무수행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근무시간 중 음주’는 ‘결근하였다’와 ‘직장에서 몸을 다쳤다’는 문항을 제외한 모든 직무수행 문제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인 반면 ‘근무시간 외 음주’는 직무수행 문제들 중에서 ‘일을 잘 하지 못했다’라는 문항하고만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사회학적 요인, ‘근무시간 중 음주’, ‘근무시간 외 음주’ 모두를 함께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한 결과, 남성과 건강상태, 직무기간, 근무시간 중 음주가 직무수행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인 음주에서 특히 ‘근무시간 중 음주’가 직무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근무시간 중 음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음주회식에 대한 보다 면밀한 관심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Previous studies related to drinking problems among Korean employees has focused on not drinking on the job but drinking off the job. Thus,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on the job and work performance among employe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use including drinking on the job and drinking off the job and work performance among 577 employees working at the health or welfare related agencies in N-gu of Seou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univariate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to examine which alcohol us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work performance among employees. As for alcohol use, 49.3% of participants reported drinking on the job in the past 30 days and 48.2% of participants reported drinking in a company dinnerin the past 30 days. Univariate analy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use including drinking on the job and drinking off the job and work performance showed drinking on the job was associated with all work performance items except being absent and being hurted were not associated with work performance. Meanwhile, drinking off the job was related to only did not do the job wel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demonstrated that gender, subjective health status, service period, and drinking on the job.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more concerns about drinking on the job, especially drinking in a company dinner among employee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우울의 구조적 관계

        최윤신 ( Yun Shin Choi ),김혜련 ( Hae Ryun Kim ),김한나 ( Han Na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5 No.-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살 사고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모색하고자 대학생 자살사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부모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우울을 중심으로 자살사고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4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남녀 대학생 4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매우 적절하게 나타나, 부모의 알코올 중독, 가족기능, 우울, 자살사고간의 관계를 잘 설명하는 모형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가설 4개 중에서 부모의 알코올 중독과 가족기능이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설1, 2), 그리고 부모의 알코올 중독과 우울 사이에서 가족기능의 매개효과(가설 3)는 유의미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부모의 알코올 중독이 대학생 자녀의 자살사고에 이르는 경로에서 가족기능과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기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전략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three factors that are known to be closely linked with their suicidal ideation, namely: alcoholism of parents,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 in order to seek social welfare means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four hypotheses and conducted a survey aimed at 418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AMOS statistical software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urvey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was proven to explain effectively the relation between alcoholism of parents, family func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because it showed a high suitability index. In addition, among the four hypotheses, the study show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the depression-hypothesis 1 and 2 is statistically meaningful not only in the process of parental alcoholism and family function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lso,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function-hypothesis 3 is also meaningful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lcoholism and depression. However, in the study, family funct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depression-hypothesis 4 was rejected because they a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he process of parents` alcoholism leading to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social welfare intervention strategies in order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