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상담자의 자기돌봄(self-care) 연구 동향과 관련 변인 탐색

        김하늬(Ha-ni Kim),고은숙(Eun-suk Ko),손은령(Eun-young Son),문정욱(Jung-wook Moon) 한국교육상담학회 2022 교육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자기돌봄 관련 연구의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관련 변인을 분석하여 상담자를 위한 직업 환경에 필수적으로 자기돌봄을 적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분석 및 절차 방법은 3차의 선정기준을 통해 총 33편의 문헌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상담자의 자기돌봄 연구의 일반적인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연도 별 출판방식,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상담자 자기돌봄 측정 도구의 활용도를 함께 파악하였으며, 개인적 돌봄과 전문적 돌봄의 영역별로 관련 변인을 분류하고 특성에 맞게 4개의 요인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상담자 자기돌봄 연구는 2014년도 이후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특정 대상에 초점을 두지 않은 일반상담자,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측정도구는 주로 아동상담자의 자기돌봄 척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셋째, 상담자의 자기돌봄 관련 변인은 총 4개로 분류하였고 이 중, 소진 및 스트레스가 가장 많이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자 자기돌봄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 of studies on counselors' self-care published in South Korea was examined and related variables were explored. We reviewed the abstracts based on specific criteria: 33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First, publication method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depending on year were examined to find out the general research trend on counselors' self-care. In addition, the counselor's self-care measurement scales were identified, and each related variable was classified into personal and professional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counselors' self-care began to increase gradually since 2014. General counselors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of the study,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Second, regarding the measurement scale, Self-Care Scale for Child Counselors was mainly used. Third,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counselors' self-care, burnout and stress have been studied the most.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 of the studies on counselors' self-care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관련 변인 간 메타분석

        김하늬(Ha Ni Kim),손은령(Eun Young S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관련 변인을 확인하고,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평균 효과크기를 확인하는데 있다. PRISMA flow chart를 기반으로 문헌을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54편을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에는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하였고, R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패키지를 이용하여 동질성 검정, 출간 편향 검정, 효과크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을 적용하여 높은 효과크기, 중간 효과크기, 낮은 효과크기로 구분하였다. 총 54편의 분석 대상 논문의 상관계수를 이용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진로정체감,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중심 스트레스대처방식, 부모애착, 내현적자기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아분화, 심리적독립, 사회적지지, 진로장벽의 총 15개의 주요 대학생 진로미결정 관련 변인을 도출하였고, 4개의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각 요인은 진로 선택․행동불안 요인, 준비․자율성부족 요인, 개인 심리 · 정서 요인, 사회적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계량화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진로 준비 · 자율성부족 요인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문제해결중심스트레스대처방식, 부모애착의 순이었고, 진로선택 · 행동불안 요인의 효과크기는 역기능적진로사고, 진로성숙,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 · 정서 요인은 각 내현적자기애, 심리적독립, 자아분화, 사회부과적완벽주의의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 요인의 효과크기는 진로장벽, 사회적지지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조절변인은 출판형태, 측정도구, 개별요인으로 투입하였고, 방향성에 따라 효과가 상쇄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정적효과와 부적효과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정적효과는 측정도구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출간형태와 개별요인은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효과의 경우, 출간형태와 측정도구의 각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별요인은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나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미결정 연구의 방향성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 variables regarding career indecision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meta-analysis. For this analysis, a total of 54 papers on career indecision were used, and accordingly 13 main variables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were derived and classified as four factors(lack of self-directedness, choice/commitment anxiety, psycho/emotional difficulties, lack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s of lack of self-directedness were shown in the order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self-efficacy, stress coping styles, and parents attachment. The effect sizes of choice/commitment anxiety were shown in the order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 career maturity,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effect sizes of psycho/emotional difficulties were shown in the order of covert narcissism, psychological independence, self-differentiation,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sm. The effect sizes of lack of social support were shown in the order of career barriers, social support. Second, the modera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nd by setting them as publishing types, measuring instruments, and individual factors. The positive effects did not appear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ar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ing instruments, however, publication types and individual factor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In terms of the negative effects,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of the publication types and measuring instruments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s moderated by the individual factors.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 학교적응의 관계

        김하늬(Ha,Ni Kim),손은령(Eun-Young S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청소년시기의 학교적응은 청소년의 지적 발달과 사회 구성원으로서 원활한 성장을 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학교적응 향상을 위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정서적 유대감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공 동체의식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문화수용성을 매개로 알아보고자한다. 연구목적에 따라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1 패널, 초4 패널의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016년도 중학교 1학년 학생 1999명,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962명 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중·고등학생들의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성, 학교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었으나 다문화수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구조적 관계의 분석 결과, 중·고등학생 모두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직·간접적으로 학교적응에 효과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발달에 따라 학교급 별로 청소년에게 더 중요한 가치와 신념을 세우고 진로탐색 및 결정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공유와 소통 관계를 가지고 바람직한 학교생활을 통하여 사회 공동체로서 확고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ce is essential for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and healthy growth as a member of society. it is important for them to cultivate a positive self-perception and social-connectedness in order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elf-esteem and community spirit in adolescence, mediated by multicultural acceptance, affect their school adjustment. To meet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sed the 7th year’s panel survey data on 1st grade and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Nation Youth Policy Institute and conducted analysis on adolescents including 1,999 students in their 1st year of middle school and 1,962 students in their 1st year of high school. After, this study performe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lf-esteem, community spirit,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while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 students’ self-esteem, community spirit, and school adjust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alysis results of structural relationship showed that both self-esteem and community spirit were directly and indirectly effective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Overall,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adolescents must cultivate more important values and beliefs by each school class, share them with others to create a sense of bonding, and communicate smoothly with others to have a successful school life.

      • KCI등재

        학교급 전환기 청소년의 또래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우울, 삶의 만족도의 관계

        김현주(Kim, Hyun-joo),박소리(Park, So-r)i,김하늬(Kim, Ha-ni),이효경(Lee, Hyo-kyoung),손은령(Son,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학교급 전환기를 맞이하는 중3 학생과 고3 학생이 경험하는 또래의사 소통과 자기효능감, 우울,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생애 발달적 측면에서 청소년의 삶의 만족 향상 방안에 대해 이해를 얻고자 하였다. 특히,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부적 정서가, 청소년의 환경적 지지를 줄 수 있는 또래 의사소통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이하 KCYPS) 중1 패널의 중학교 3학년(3차년도, 2012)과 고등학교 3학년(6차년도, 2015)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의사소통과 자기효능감, 우울 은 삶의 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또래의사소통은 자기 효능감과 우울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성인기 전반으로 이어지는 청소년의 건강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자기효능감과 우울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또한 전환기 청소년의 환경적 배경이 인지·정서적 요소의 교육과 상담을 통해 삶의 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er communication experienced by ninth and twelfth graders who will undergo school transiti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is, the study aimed to gain an understanding on ways to improv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from a life-span developmental perspective. It especially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a positive attitude toward oneself and negative emotion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mmunication, which can provide environmental support for adolescents,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data of ninth grade (third year, 2012) and twelfth grade (sixth year, 2015) of the 7th Grade Panel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The key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er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Second, peer communication affected life satisfaction indirectly by the media of self-efficacy and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and depression in promoting adolescents’ healthy and satisfactory lives that lead to adulthood. Also,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of adolescents in a transition can improve life satisfaction through training and counseling on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 KCI등재

        외상 후 성장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국내 KCI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상옥 ( Lee Sang Ok ),김수진 ( Kim Su Jin ),손은령 ( Son Eun Young ),김하늬 ( Kim Ha Ni ),이재성 ( Lee Jea Sung ),민교 ( Min Qiao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논총 Vol.42 No.1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KCI 등재 학술지를 중심으로 외상 후 성장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총 203편의 외상 후 성장의 연구를 대상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 외상 사건 유형, 연구 방법, 연구변인을 분석 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행연도별 동향은 2016년에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별 동향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자들이 경험한 외상 사건 경험의 특성으로는 대인외상을 보고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 중 변인관계를 밝히는 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변인별 동향은 외상 후 성장이 종속변인으로 된 연구로 외상 후 성장에 관련 한 변인 중에는 인지적 요소에 관한 변인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에 대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posttraumatic growth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KCI-registered journals from 2014 to 2019. A total of 203 posttraumatic growth studies were analyed focusing on, the year of publication, the subject of study, the type of trauma the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 variables. The main result were as follows. The highest number of publication was in 2016, the subjects most studied were adults, and the trauma most reported on in personal trauma. Among quantitative studie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 was to revea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 with posttraumatic growth being the dependent variable.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cognitive factors were the most studied.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