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유해 물질 유입에 따른 생물체의 행동 반응 분석 및 인식

        김철기,차의영,Kim, Cheol-Ki,Cha, Eui-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5

        본 논문에서는 자동 추적 시스템을 이용하여 카바메이트 계열의 농약인 카보퓨란의 치명적인 투여에 대하여 반자연적인 조건에서 반응하는 깔따구의 움직임을 관찰하였다. 4령기에 있는 깔따구를 $6cm\times{7cm}\times{2.5cm}$ 크기의 서식 장소와 $18^\circ{C}$의 수온, 명기와 암기를 각각 10시간, 14시간의 조건에서 관찰을 하였다. 추적 시스템은 깔따구 몸체의 부분 점들을 탐지하여 추적하도록 하였다. 모든 실험은 반자연적인(semi-natural) 상태에서 진행되었으며 약제 카보퓨란(Carbofuran 0.1mg/l) 처리 전 후 이틀씩 모두 4일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약제의 처리후에 압축된 지그제그 형태로 나타나는 "떨림 현상"과 같은 비정규적인 행동들이 종종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약제 처리된 종들의 행동 변화를 탐지하기 위하여, 웨이블릿 분석이 다른 움직임 패턴들을 특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산 웨이블릿에 기반하여 추출된 파라미터들은 약제처리 전후의 움직임에 대한 다른 유형의 패턴들을 표현하기 위하여 인공 신경망을 통하여 학습되었다. 이러한 웨이블릿과 인공 신경망의 통합 모델은 특징화된 움직임 패턴들의 발생 시점을 탐지할 수 있었으며, 수질 모니터링을 위한 독성 물질의 유입을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는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Using an automatic tracking system, behavior of an aquatic insect, Chironomus sp. (Chironomidae), was observed in semi-natural conditions in response to sub-lethal treament of a carbamate insecticide, carbofuran. The fourth instar larvae were placed in an observation cage $(6cm\times{7cm}\times{2.5cm)}$ at temperature of $18^\circ{C}$ and the light condition of 10 time (light) : 14 time (dark). The tracking system was devised to detect the instant, partial movement of the insect body. Individual movement was traced after the treatment of carbofuran (0.1ppm) for four days 2days : before treatment, 2 days : after treatment). Along with the other irregular behaviors, "ventilation activity", appearing as a shape of "compressed zig-zag", was more frequently observed after the treatment of the insecticide. The activity of the test individuals was also generally depressed after the chemical treatment. In order to detect behavioral changes of the treated specimens, wavelet analysis was implemented to characterize different movement patterns. The extracted parameters based on Discrete Wavelet Transforms (DWT) were subsequently provided to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be trained to represent different patterns of the movement tracks before and after treatments of the insecticide. This combined model of wavelet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was able to point out the occurrence of characteristic movement patterns, and could be an alternative tool for automatically detecting presences of toxic chemicals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quality monitoring.

      • KCI등재

        디지털콘텐츠 저작권보호 도구로써의 디지털 워터마킹 성능 비교

        김철기 ( Kim Cheol K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창작물에 대한 소유권 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의 복제와 변경의 용이성으로 소유권 보호를 위한 다양한 별도의 방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워터마킹기법의 경우 특히 영상에 대한 소유권 분쟁의 해법으로 근래에 각광을 받고 있는 기술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워터마킹기법 및 활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2D 이미지 창작물에 대한 워터마킹 기법의 올바른 선택 기준을 위하여 JPEG 압축 기술인 DCT에 기반한 방법과 JPEG2000 압축 기술인 DWT에 기반한 방법의 성능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00장의 사진, 애니메이션, 그래픽 등 다양한 장르의 이미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인위적 공격을 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공격 후 삽입된 워터마크의 검출 여부와 워터마크 삽입 전후의 화질 변화도를 측정하였다. 본 논문의 최종적인 목적은 실험 결과에 기반하여 디자인 관련 창작작업에 있어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준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 importance of copyright about visual creation as a new technology in the area of visual design and image archiving is emphasizing rapidly. Especial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sy duplication and modification of digital contents such as visual desig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techniques for various protection purposes such as ownership claiming and authentication. To solve above problems, the watermarking technique is one of the most concerned techniques and is solution about image ownership. But comprehension of watermarking and application is insufficient so far. In this paper, to propose a good criterion of watermarking about 2D image creation, we will compare with DCT based method and DWT based method(the DCT is used for JPEG compression, the DWT is used for JPEG2000 compression). For performance tests, we used one hundred images from several jenre such as photography, animation, graphic, and measured watermarking extraction after some attacks. And we measured image quality before and after watermark insertion. This paper aims to support base for copyright troubles in design related creation works.

      • KCI등재

        ART2 알고리즘을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김철기(Kim Cheol-Ki),김광백(Kim Kwang-Baek)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3 지능정보연구 Vol.9 No.3

        In this paper, we suggest a method of robust watermarking for protection of multimedia data using the wavelet transform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we decompose a original image using wavelet transform at level 3. After we classify transformed coefficients of other subbands using neural network except for the lowest subband LL3, we apply a calculated threshold about chosen cluster as the biggest. We used binary logo watermarks to make sure that it is true or not on behalf of the Gaussian Random Vector. Besides, we tested a method of dual watermark insertion and extraction. For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we decompose a original image using wavelet transform at level 3. After we classify transformed coefficients of other subbands using neural network except for the lowest subband LL3, we apply a above mentioned watermark insert method. I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found that it has a good quality and robust about many attacks.

      • KCI등재

        붓 터치에 기반한 신인상주의 회화의 질감 비교 분석

        김철기 ( Kim Cheol K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5 No.-

        본 연구에서는 쇠라와 시냑으로 대표되는 신인상주의 작품을 대상으로, 점묘법의 도입을 통해 표현된 질감의 과학적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을 위하여 GLCM에 기반한 하라릭(Haralick) 특징 변수를 적용하였다. 하라릭 특징 변수는 질감에 대한 2차원 통계치를 추출하기위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화가에 대하여 75개씩 질감 데이터를 랜덤하게 추출하여 20개의 특징 변수값을 측정한 후 통계적 의미를 검정하기 위하여 독립 t-검정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두 화가의 질감에 대한 14개의 특징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쇠라의 경우 시냑에 비해 명암도의 차이가 큰 픽셀들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픽셀들간의 유사성이 낮아지게 되고 변이도가 큰 질감이 느껴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시냑의 경우 인접한 픽셀들간의 상관성이 쇠라에 비해 높으므로 명암도의 차이가 적고 에너지와 동질성이 크므로 상대적으로 질감이 대체적으로 균일한 편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 texture`s scientific meaning of Neo-impressionist painters who, working with Seurat and Signac, helped develop the Pointillist style. We uses GLCM based Haralick`s feature variables to analyze paintings. It is a good tool to extract 2D statistical values about painting`s texture. In this study, after we randomly extract 75 texture images per painter and measure 20 feature variables, we use a independent t-test for finding statistical meanings. Throughout experimental results, we can confirm the existence of texture`s differences in 14 feature variables among two painters. In comparison to Signac,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appeared between intensities. The results are confirmed that has the low-similarity between pixels. And it is known that texture have large variability. In the case of Signac, on the other hand, because texture correlation between adjacent pixels have high relative intensity, so texture is generally uniform.

      • KCI등재

        모션캡쳐시스템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기술의 동향 분석

        김철기 ( Kim Cheol Ki ),손원준 ( Son Won J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19 No.-

        정보기술 및 문화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근래에 들어 다시 각광을 받고 있는 분야가 모션캡쳐 분야이다. 모션캡쳐시스템의 경우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과 같은 문화 산업 뿐만 아니라, 의학, 군사 등 여러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다. 국내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3D 애니메이션의 열풍과 함께 모션캡쳐 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모션캡쳐시스템 및 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션캡쳐시스템의 이해와 활용을 돕기 위하여 현재까지 개발된 시스템의 소개와 적용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모션캡쳐시스템의 흐름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The interests about motion capture has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few years because of the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ulture technology. It`s efficiency is increased not only culture industry such as movie, animation, game, but also several industry areas such as medical, military, etc. In domestic, the concerns are increased about application of motion capture data with 3D animation wave since 1990s. But, so far, many people don`t understanding motion capture system and use of motion data. This paper aims to predict trends of motion capture system through analysis of application case and introduction of conventional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인터랙티브 영상의 시청자 행태모델 정의를 위한 감성어휘연구

        김철기 ( Cheol-ki Kim ),손준혁 ( Jun-hyuk Son ),이상걸 ( Sang-geol Lee ),차지현 ( Ji-hyun Cha ),김승환 ( Seung-hwa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4 No.-

        연구배경 근래에 들어 인터랙티브 영화, 광고, 다큐멘터리 등과 같은 새로운 형식의 영상이 등장하였다. 또한 사용자 경험 및 상호작용 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관련 연구들은 오픈 시나리오 기반의 가상 게임공간이나 전시공간, 광고와 같은 한정된 분야에 집중되어 있거나 매우 단순한 형태의 상호작용만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시청자의 욕구 및 행태모델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청자가 느끼는 감성어휘 기반 행태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상호작용의 모달리티 정의에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감성어휘의 정의 및 분류를 위하여 비디오관찰법과 문헌연구, 웹 검색을 병행하여 적용하였다. 추출된 행동유형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기 위하여 디자인, 사용자, 심상영역으로 사용자의 욕구를 정의한 후 단일동사와 결합동사의 형태로 요약하고 관련 형용사를 매칭시키는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추출된 어휘들에 대하여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하여 디자인, 사용자, 심상영역 별로 사용자 욕구를 정리해본 결과, 디자인영역은 기능욕구와 조형욕구로 나뉘었으며 기능욕구는 다시 난이성, 우수성, 신규성, 청각, 시간성으로 세분화되었고, 조형욕구는 그래픽(색채, 심미성, 명암, 청탁, 촉각, 온도, 밀도), 사운드(고저, 대소, 원근, 심천, 광협, 균형, 장단), 모양(원각, 후박, 예둔, 층위, 수량)으로 세분화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도출된 형용사의 경우 향후 언어적 감성평가법과 비언어적 감성평가법에 모두에 적용가능하며, 궁극적으로는 사용자의 상호작용 정의를 위한 반응 모달리티에 응용될 수 있다. Background Recently, new forms of visual media such as interactive movie, advertisement, and documentary have showed up.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and interaction related studies is simultaneously increasing. However, most of the relevant studies are mainly focused on such limited areas like open-scenario based virtual game space, exhibition space, or advertisements and not to mention the usage of very simple form of interaction. The reason behind this problem is due to the lack of studies on viewer desires and behavior model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viewer behavior models based on the emotional vocabulary generated by viewers, for further usage on defining interaction modalities. Methods In this study, video observance method, reference research, and web search were applied at the same time.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of defining user desires as design, user, and realm of the imagery, and summarizing as both single and compound-verb forms, then matching with relevant adjectives. Result As a result of organizing user desires by design, user, and realm of the imagery categories through the affinity diagram on extracted vocabulary, the design category was divided into functional wants and formative wants. The functional wants were then subdivided into relative difficulty, excellence, novelty, auditory, and temporality. Also, the formative wants were subdivided into graphic(color tone, aesthetic relativity, light and shade, clarity, sense of touch, temperature, density), sound(height, size, perspective, depth, breadth and narrowness, balance, length), and shape(roundness, thickness, sharpness, levels, quantity). Conclusion The adjectives drawn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both verbal and nonverbal sensibility assessment methods, and ultimately to responsive modality for defining user interactions.

      •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한 영상의 노이즈 제거

        김철기(Cheol-Ki Kim),강이철(Yi-Chul Kang),김강석(Gang-Sok Kim),차의영(Eui-Young Cha)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웨이블릿 디노이징 기법은 웨이블릿 계수들이 thresholding에 의해 부가적인 가우시안 노이즈들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필터에 기반한 다른 많은 변환들처럼, 웨이블릿 scaling방법들은 이미지의 경계선들의 근처에 블러링 현상이나 인공적인 잡음들이 나타나게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웨이블릿 변화 필터의 구현 배경은 경계선 부분의 손실 없이 이미지의 노이즈 제거를 위한 것이다. 많은 이미지 향상과 회복기법들은 이러한 붕괴 처리의 효과들을 위한 보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뉴럴 필터, 퍼지 필터, LMS L-filter, quadratic filter, sigma filter 등은 이러한 이미지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수학적인 도구들이라고 할 있다[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