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의 주요 내용과 특징

        김지연 ( Kim Jiyun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0 불교 철학 Vol.6 No.-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은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주석서로, 저자를 용수(龍樹)로 번역자를 벌리마다(筏提摩多)로 지목한다. 하지만 저자 용수에 대한 진위논쟁이 지속되면서, 일본에서는 신라 승려 월충의 『석마하연론』 저술설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석마하연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석마하연론』과 신라의 불교사상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우선적으로 『석마하연론』의 저자에 대한 논쟁과 저술시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존하는 『석마하연론』의 사본과 판본 및 『석마하연론』을 인용한 문헌과 이 논의 주석서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석마하연론』의 구성과 내용을 정리하고, 말나식에 열 한가지 명칭을 부여하는 등의 독창적인 해석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석마하연론』과 원효의 『기신론소』를 포함한 신라 문헌의 사상적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석마하연론』에 나타나는 원효의 영향은 ‘熟’과 ‘就’로 확인되는 용어적인 측면과 제7 말나식을 독립된 식으로 인정하는 등의 내용적인 측면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본고의 연구만으로는 오래전부터 제기되었던 신라 승려 월충의 『석마하연론』 저술설을 확정 짓기 어렵지만, 『석마하연론』과 신라의 불교사상의 상관성을 발견하고 그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가 되었다. The Shi moheyanlun (釋摩訶衍論) is an annotated book of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大乘起信論). This book has been thought to be written by Nāarjuna (龍樹) and translated by Vṛdhimata (筏提摩多). However, many controversies about the writer continued, and there is the hypothesis in Japan that the Silla monk Woulchung wrote the Shi moheyanlun. Although some japanese monk mentioned the writer as Sillan, the study on the Shi moheyanlun is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firstly, I examined the arguments about an author and the period of creation of the Shi moheyanlun. Secondly, I looked into the manuscripts and wood-block printed books, and the commentaries on the Shi moheyanlun. Thirdly, I organi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and reveal the identity of Shi moheyanlun. Lastly I fou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hi moheyanlun and the Gisillon so of Wonhyo. From the ideological relation between them, I could develop the possibility that the Silla monk Wolchung is the author of Shi moheyanlun. There are two aspects to show the Wonhyo’s influence over the Shi moheyanlun. The one is the aspect of words as ‘熟 shu’ and ‘就 jiu’. The other is the aspect of contents that they recognize the 7th manas as the separate consciousness. Moreover, the of Shi moheyanlun claims the unique eleven names of manas. Even though it is hard to determine the hypothesis that the Sillan Woulchung is the writer as the fact, the ideological effect of Wonhyo on the Shi moheyanlun reveals the deep relation between the Silla Buddhist thought and the Shi moheyanlun.

      • KCI등재

        환경색채전문가의 자연경관이미지 평가 경험

        김지연(Kim, JiYun),이윤진(Lee, YounJin) 한국색채학회 202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color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survey on the preference for natural scenery and under what context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To this end, one environmental color expert was selected as a single case among 20 experts from the researchers 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pproached through formal and informal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has two significances. First, it was clearly confirmed in the quantitative research in the early stage of the researcher an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that followed that the problem of excluding colors in Kaplans environmental preference study was clearly confirmed. Second, in Kaplans environmental preference study, human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can affect preference evaluation. These two significances suggest specific directions for futu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will provide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ferences and colors in the natural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인용경전에 근거한 『釋摩訶衍論』의 저술시기 고찰

        김지연(Kim Jiyun)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5 No.-

        『釋摩訶衍論』은 『大乘起信論』의 주석서로 龍樹가 저술하고 5세기 초에 筏提摩多가 번역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논은 「序」를 지은 요흥황제라는 인물의 실존문제, 『出三藏記集』 및 『開元釋敎錄』등의 經錄에 기록이 없는 문제, 번역자에 대한 자료가 남아있지 않은 문제 등의 이유로 「序」에서 밝히는 저자와 번역자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모치즈키 신코(望月信亨), 타니가와 타이쿄(谷川泰敎), 모리타 류젠(森田龍僊), 카가와 에이류(香川英隆), 나스 세이류(那須政隆) 등이 『석마하연론』의 저술시기를 다루면서 다양한 설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해 본고는 『석마하연론』에서 밝히는 『摩訶衍論』의 소의경전 100부의 목록과 이 논에 인용된 경전을 근거로 하여, 『석마하연론』의 저자와 번역자의 진위를 밝히고 저술시기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석마하연론』에 언급된 경전들을 살펴보는 것은 저술된 시기뿐만 아니라, 인도에서 저술된 경론들이 중국에 유입되어 번역되고, 중국에서 찬술되는 경론에 반영되는 과정을 고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 검토한 결과, 용수 이후의 저술 및 중국에서 찬술된 경전과 5세기 이후에 번역된 경전들이 인용되어 있었으므로, 저자와 번역자에 대한 「序」의 기록은 사실이 아님을 밝혔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중심이 되는 實叉難陀․ 法藏․ 善無畏․ 金剛智․ 戒明․ 宗密을 기준으로 저술시기를 살펴보았을 때, 『大乘起信論義記』에 인용된 『楞伽經』의문장이 『석마하연론』에 그대로 사용된 점에 비추어 법장의만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석마하연론』이 밀교적인 성향을 드러내면서도 선무외․금강지가 번역한 『大日經』과 『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經』을 인용하지 않았고, 그들의 사상도반영되어 있지 않았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선무외(716)나 금강지(719)의 入唐 전에 저술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The Shi moheyan lun (釋摩訶衍論) is an annotated book of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大乘起信論). This book has been thought to be written by Nāgarjuna (龍樹) and translated by Vṛddhimata (筏提摩多) in 401. However, there are problems; neither the record of this book nor the name of the translator Vṛddhimata can be found in compilation of notes on the translation of the Tripiṭaka such as the Chu sanzang jiji (出三藏記集), etc. From these reasons, many controversies about the writer and translator continue. Many scholars, like Mochizuki Sinkou, Tanigawa Taikyou, Morita Ryusen, Kagawa Eiryu, Nasu Seiryu, and so on, studied the time of writing and presented various theories. In relation to this debate,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writer and translator of the Shi moheyan lun, preceding studies through 100 sutras which the Moheyan lun (摩訶衍論) is based on, along with several quoted sutras in this book. One result of this study is, sutras which were written after Nāgarjunaand translated after the 5th century are quoted in the Shi moheyan lun. Therefore, it is noted that the record of the preface that mentioned Nāgarjuna (龍樹) and Vṛddhimata (筏提摩多) as the writer and translator respectively is not true. Furthermore, the time of writing is considered by focusing on people like Śikṣānanda (實叉難陀), Fazang (法藏), Śubhakarasiṃha (善無畏), Vajrabodhi (金剛智), Kaimyo (戒明), and Zongmi (宗密). Consequently, it was found out that a sentence of Dasheng qixinlun yuji (大乘起信論義記) of Fazang is cited in the Shi moheyan lun. Also, the sutras, which were translated by Śubhakarasiṃha and Vajrabodhi, and their ideas were not reflected in the Shi moheyan lun. Based on these facts, the Shi moheyan lun was probably written from Fazang's later years to before the time in which Śubhakarasiṃha (AD. 716) and Vajrabodhi(AD. 719) came to the Tang Dynasty.

      • KCI등재

        환경 선호도 평가에 색채가 미치는 영향 - 자연경관을 중심으로

        김지연(Kim, JiYun),이윤진(Lee, YounJin) 한국색채학회 202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colors affect Kaplans information variables that predict environmental preference,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the color matching principle inherent in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is a follow-up study. As for the research method, 20 experts were surveyed twice on 70 natural landscapes of various color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first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coherence, mystery, and legibility affect the preference for natural scenery, but complexity does not. It was confirmed that coherence and legibility affect each other among information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econd survey, about 82% of the subjects answered positively that color has an effect on the information variable that contributed to evaluating the prefere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Regarding the hue, coherence and mystery were mainly influenced by similar hue series, and complexity and legibility were mainly influenced by contrast hue series. Regarding the color tone, it was found that the coherence was bright and calm, the complexity was vivid, the mystery was bright and calm, and the legibility was vivid and brigh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ame hue series for coherence, the complementary color hue for complexity, or the hue and tone that the subject likes overall affect the prefer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effect of color on information variables, which was not discussed in detail i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Kaplans information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in-depth research on the colors inherent in the natural environment by using it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 추상적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카메라-스크린 사이의 인터랙션 방법론

        김지연(Jiyun Kim),김호남(Honam Kim),차보리(Bori Cha),이현진(Hyun Jean Lee)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박물관, 과학관, 미술관 등에서 실시간 카메라와 스크린을 매개로 체험자와 스크린 사이의 인터랙션 방법론을 활용하는 체험형 콘텐츠가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콘텐츠에서 체험자 역시 스크린 위에 움직이고 반응하는 대상물로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체험자는 스크린 위의 자신의 모습을 보며 보다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적 작업에 참여하게 된다. 하지만 때때로 체험자가 자신의 모습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경우, 콘텐츠의 상호작용적 의미를 미처 파악하지 못하고 단순한 체험만으로 작품에 개입하는 한계점을 지닐 수도 있다. 본 연구는 체험자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되, 지나친 나르시시즘적 몰입을 극복할 수 있는 추상적 인터페이스로 접근한 인터랙션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스크린을 매개로 한 인터랙티브 수 · 과학 게임 콘텐츠 프로토타입인 〈Move Us〉를 통해 제안된다.〈Move Us〉에 적용된 추상적 인터페이스는 추상적 레벨을 심화시켜 새로운 인터페이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재미와 몰입을 유도하는 동시에 학습 정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는데 역할 한다.

      • KCI우수등재

        An Interpretation of ‘the Initial Mark of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in the Shi moheyan lun

        김지연(Kim Jiyun)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6 No.-

        『大乘起信論』은 성립된 이후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주석가들의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되고 있다. 주석서에 나타나는 『대승기신론』에 대한 이해에는 당시의 사상적 경향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주석서들을 함께 고찰함으로써 시대적 흐름에 따른 사상적 변화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에 주목하여, 『대승기신론』에서 究竟覺을 밝히면서 “마음이 처음 일어남을 깨달아서 마음에는 처음 일어난 상이 없다[覺心初起心無初相]”고 서술한 부분에 대한 「起信論疏」, 『大乘起信論義記』, 『釋摩訶衍論』의 해석을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대승기신론』은 최후의 깨달음의 단계에서 제거되는 不覺相을 ‘生相’이라는 용어 대신에 ‘初相’으로 표현한다. 이에 대해 세 주석서는 모두 ‘초상’을 ‘생상’으로 정의하지만, 생상으로 규정되는 불각상과 생상을 끊는 지위는 각각 다르다. 생상을 業相, 轉相, 現相으로 보는 『기신론소』와는 다른 관점에서, 『석마하연론』은 『대승기신론의기』와 동일하게 생상 이전의 주상에 전상과 현상을 포함시킨다. 하지만 『석마하연론』은 가장 미세한 불각상을 단순하게 제10지에서 제거한다고 하는 􋺷대승기신론의기􋺸 보다는, 제10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無垢地에서 소멸한다고 하는 『기신론소』와 의견을 같이한다. 그래서 구 경각을 因滿位와 果滿位로 나누어, 전자는 제10지로 두고 후자는 『대승기신론』의 染心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如來地라고 설정한다. 이러한 『석마하연론』의 해석은 서로 다른 두 단계에서 동일하게 업상 하나만을 제거하게 되는 구조적 모순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석마하연론』은 생상인 업상의 생성과정을 구체화하여 獨力業相, 獨力隨相, 俱合動相이라는 독창적인 세 가지 생상을 제시한다. 그리고 구합동상을 제10지에 연결하고 독력업상을 여래지에 배대하여, 모순을 해결하고 논리적 체계성을 갖춘다. 이것이 『석마하연론』에서 『대승기신론』의 초상을 세 가지 생상으로 나누어 독자적인 해석을 한 이유이다.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e implication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s (大乘起信論, AMF) phrase “be aware of the very first arising of mind. [As a result] the initial mark is removed from mind (覺心初起心無初相)” made in the three representative commentaries such as the Gisil lon so (起信論疏, GS), the Dasheng qixin lun yiji (大乘起信論義記, DQY), and the Shi moheyan lun (釋摩訶衍論, SML). All three commentaries define ‘the initial mark’ as ‘the mark of arising(生相)’.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S, ‘the mark of arising’ is defined as the mark of karma (業相), the mark of transformation(轉相), and the mark of manifestation (現相). The SML views the latter two marks as the mark of abiding as does the DQY. Meanwhile the SML does not agree with the DQY which says the minute mark is cut off simply at the tenth bodhisattva ground, but agrees with the GS which mentions it is extinct at the undefiled stage (無垢地), a higher stage than the tenth bodhisattva ground. Depending on that, ultimate enlightenment is divided into the fulfilling cause (因圓滿), and the fulfilling attainment (果圓滿). At this point the SML is faced with a structural discrepancy, for only one mark, which would be eliminated at two different stages, is left. For this reason, the SML creatively analyzes the production processes of the mark of karma into three marks-the mark of karma which functions by itself (獨力業相), the mark of derivate that functions by itself (獨力隨相), and the mark of movement by combination (俱合動相). In addition, the last mark is connected with the tenth bodhisattva ground, and the first mark is involved with the stage of Tathāgata. This is the reason why the SML expounds ‘the mark of arising’ of the AMF as three marks of arising with its own peculiar view.

      • KCI등재

        로제 카이와의 놀이 이론으로 살펴본 SNS 문화 현상

        김지연 ( Kim Jiyun ),전수진 ( Jun Sooj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의 사용률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SNS는 우리에게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며 하나의 새로운 문화로 자리 잡았다. 특히 코로나 시대에 SNS를 통한 관계 맺기가 더욱 활발해졌으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다양한 플랫폼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지 디지털 기기를 통해 원하는 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었고, 미디어를 통해 놀이와 놀이 문화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요한 하위징아, 로제 카이와,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의 놀이 이론과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많은 SNS 플랫폼 중국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인스타그램(Instagram)과 유튜브(YouTube), 틱톡(TikTok)을 중심으로 오늘날 다양한 SNS 플랫폼에서의 문화 현상, 놀이 문화에 대해 로제 카이와(Roger Caillois)의 놀이 유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카이와의 경쟁(agon), 우연(alea), 모의(mimicry), 현기증(ilinx)로 분류된 놀이의 네 가지 특성을 바탕으로 SNS에 반영된 놀이의 특성에 대해 서술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SNS에서 나타나는 오늘날의 문화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의 놀이문화에 대한 현시대적 맥락과 의미에 대해 파악하고자 했다. 본 연구자는 카이와가 제시하였던 놀이 속성에 대한 6가지 조합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새로운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현대 문화 현상과 놀이 유형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과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놀이의 개념과 근본적 가치를 돌아보고, 오늘날의 놀이 문화에 대한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활성화되길 기대해본다. Recently, as the usage rate of social network ser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NS) and interests have increased, social media has become a must-have and a new culture in our daily lives. In particular,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made people more active to form relations with SNS, and various platforms are being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Now, we can enjoy the games with digital devices anytime and anywhere, and we can enjoy entertainment and its culture through diverse media. Specifically,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ories on play by Johan Huizinga, Roger Caillois, and Hans-Georg Gadamer. Next, analysis on the cultural phenomena of most actively used SNS platforms in Korea, such as Instagram, YouTube, and TikTok, was conducted by applying Caillois' Theory of Play to entertainment culture. In particular, the elements of the play reflected in SNS were examined by the four characteristics of the play: Agon, Alea, Mimicry, and Ilinx, Looking at the cultural phenomena of the current SNS this way helped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mporary context and meaning of today's play culture. Furthermore, this research offered a new analysis with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six combinations of play attributes proposed by Caillois and presented new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for contemporary cultural phenomena and types of play.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o reexamine the concept and fundamental value of play, and various follow-up studies on today's play culture will be proceeded.

      • 가상현실 개발 과정 중 의사소통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새해(Saehae Chung),김지연(Jiyun Kim),김형신(Hyungsin Kim)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오늘날 복잡한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학제간 융합 연구의 관심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융합연구단의 시너지를 통한 혁신적 연구 결과에 대한 기대를 보여주기 보다는, 연구자들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현실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러 어려움 중 가장 큰 문제점은 다른 학문 분야 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개발자 인터뷰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구체적 사례를 통해서, 의사소통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고찰을 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